비문학 경제 지문 제재 단원별 정리 제6판.list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0527030
안녕하세요, 디시 수갤·빡갤에서 주로 활동하는 무명의 수능 국어 강사입니다.
몇 년 전에 정리했던 수능 국어 및 각종 국어 시험 비문학 기출문제 제재=소재를 업데이트하는 중입니다.
25 수능 비문학 사회에 법 관련 지문(인터넷 ID의 명예주체성에 관한 판례의 입장)이 등판했기 때문에
26 수능에는 아무래도 경제 관련 지문이 나오지 않을까 싶어 경제 제재부터 정리했습니다.
다만, 정리한 제가 부족한 점이 많아 주의하면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상업적으로 이용하지 않고 원출처만 제대로 밝혀주신다면 얼마든지 복붙하셔도 괜찮습니다.
---
문제·정답(+해설) 다운로드 링크
◆ 수능·모평·학평
- EBSi 기출문제 다운로드 페이지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수능 전용 페이지
- 서울시 교육청 기출문제 다운로드 페이지
◆ 경찰대학 1차 기출문제
◆ 사관학교 1차 기출문제
◆ LEET 언어이해
◆ MDEET 언어추론
목록에 반영된 기출 국어 시험
◆ 대학수학능력시험 및 모의평가 언어/국어 영역
- 1994~2025 본수능
- 2003~2025 모의평가
- 2005 수능 예비평가, 2014 수능 예비시행, 2022 수능 예시문항
◆ 전국연합학력평가 언어/국어 영역
- 고3 : 2002년 3월~2024년 10월
- 고2 : 2002년 6월~2024년 10월
- 고1 : 2002년 6월~2024년 10월
◆ 2006~2025 경찰대 1차 언어/국어 영역
◆ 2002~2025 사관학교 1차 언어/국어 영역
◆ 법학적성시험(LEET) 언어이해
- 2009~2025 본시험
- 예비시험(2008년 1월 시행)
◆ 의·치·약학교육입문검사(M·D·PEET) 언어추론(※ 2013년 이후 영역 폐지)
- 2005~2012 본시험
- M·DEET 예비검사(2004년 2월 시행) 및 PEET 예비검사(2010년 1월 시행)
---
미시경제학 개관
◆ 경제학의 기본 가정 및 수요·공급의 원리
- 04년 9모(고2) 20~23번 - 경제학의 대전제: '합리적 경제인'
- 10년 6모(고1) 28~31번 - 의사결정에 고려하면 안 되는 '매몰비용' 개념
- 09년 11모(고1) 31~34번 - '경제적 의사결정'의 4가지 원리
- 11년 4모 41~43번 - '무차별곡선'과 '예산선'
- 09년 10모 41~44번 - '수요·공급 곡선'의 도출
- 14년 3모(고1) 40~42번 - '수요의 가격탄력성'
- 21년 6모(고1) 33~37번 - (상동)
- 14년 6모(고1) 22~24번 - '수요의 소득탄력성'
◆ 소비자이론(+경영학-마케팅)
- 14년 3모 A형 19~22번/B형 20~23번 - 소비자의 '대안 평가 방식': 보완적 v. 비보완적
- 13년 4모 A형 16~19번/B형 17~20번 - 소비의 '네트워크 외부성'
- 09년 3모(고1) 33~36번 - '유행효과(bandwagon effect)'·'속물효과(snob effect)'
- 16년 6모(고1) 23~26번 - (상동)
- 11-6평 32~35번 - '유명인 광고 모델'의 경제적 효과
- 15년 7모 B형 21~23번 - 소비 심리의 '맥락 효과'
- 11년 11모(고2) 28~30번 - '묶어팔기(bundle)' 마케팅
- 19년 10모 30~35번 - 마케팅에 활용하는 '연관성 분석'
- 15년 11모(고1) 20~23번 - 소비자의 '가격지각(price perception)' 과정
- 11 사관 1차 13~16번 - STP전략 수립을 위한 지각도 활용
- 18년 11모(고1) 16~20번 - 소비자의 '관여도'를 고려한 마케팅 전략 'FCB Grid 모델'
- 16-9평 A형 22~26번 - '소비자 정책'의 사회적 기능
- 22-9평 4~9번 - (가) '독점적 경쟁 시장'에서의 '광고'의 기능 / (나) '광고'가 사회 전반에 미치는 영향
- 11년 3모(고2) 48~50번 - '기펜의 역설'
- 10년 7모 43~46번 - '현재 소비'-'미래 소비' 간의 상충 관계
- 19년 3모(고2) 21~25번 - 어빙 피셔의 '2기간 소비 모형'
- 14년 4모 A형 16~19번/B형 22~25번 - '소득보조'·'가격보조'가 수급자 소비에 미치는 효과
- 22년 3모 4~9번 - (가) 정책 딜레마의 출구 전략 / (나) 보조금의 지원 유형별 재정 효과
- 08년 10모 17~19번 - '최고·최저가격제'의 효과
- 10 사관 1차 33~36번 - 가격제한제의 효과
- 13년 3모(고1) 21~23번 - '가격 거품(bubbles)'의 발생 및 부작용
- 12 경찰대 1차 15~18번 - 재해·재난시 가격폭리 금지에 관한 상반된 견해
- 17년 3모(고2) 26~28번 - '기대효용이론'으로 설명하는 개인의 '위험회피성향'
- 13 사관 1차 34~38번 - 불확실성하의 의사결정
- 17 수능 37~42번 - '보험'의 경제학적 원리와 제도적 보완 장치
◆ 생산자이론
- 16년 9모(고2) 23~26번 - '명시적 비용'과 '암묵적 비용'을 합친 '기회비용'
- 15년 3모(고1) 27~30번 - '손익분기점'
- 12-9평 35~37번 - '규모의 경제'와 '평균비용/한계비용 가격설정'
- 20년 9모(고2) 16~21번 - 생산자이론의 '비용 이론' 개관
- 23년 11모(고1) 26~30번 - 원가회계의 원가 분류 기준
◆ 생산물시장이론(약칭 '시장이론')
- 14년 3모(고2) A·B형 24~27번 - 시장 구분의 지표 '시장집중률'
- 02년 11모(고2) 56~60번 - '시골 의사'의 '가격 차별'
- 16년 3모(고2) 23~26번 - '가격차별'의 유형별 성립 조건
- 04년 11모(고2) 20~23번 - '독점 기업'의 부정적 영향
- 07년 6모(고2) 29~32번 - 일상 속의 '이부가격제'
- 17년 3모 16~20번 - 독점 기업의 '이부가격설정'
- 23년 6모(고2) 33~38번 - (가) 완전경쟁시장과 비교한 독점시장의 사회적 악영향 / (나) 공정거래법상 독과점 폐해 방지 규정
- 10 수능 20~23번 - 공정거래위원회가 '대기업의 M&A를 규제'하는 근거
- 17년 6모(고1) 19~22번 - 특정 재화를 거래할 때 '경매' 제도를 이용하는 이유
- 24 경찰대 1차 21~25번 - 게임이론을 활용한 과점시장 분석
- 12년 4모 19~21번 - '복점 시장'의 '전략적 균형' 형성과 '담합'
- 21년 3모(고2) 37~42번 - (가) 리처드 도킨스의 '이기적 유전자' / (나) '게임 이론'을 통해 본 '이타적 행동'의 원리
◆ 생산요소시장이론(약칭 '요소시장이론')
- 15-6평 A형 28~30번 - '인센티브 계약'의 유형별 장·단점
- 15년 3모 B형 17~20번 - '소득-여가 선택 모형'
- 14년 11모(고2) A형 21~24번/B형 24~27번 - '노동시장'의 '지대추구현상'
- 13년 9모(고1) 25~27번 - 소득 분배의 불평등 지표: '10분위 분배율' v. '로렌츠 곡선' v. '지니 계수'
- 06년 9모(고2) 47~50번 - (상동)
◆ 시장/정부의 역할 및 한계(약칭 '시장/정부 실패')
- 14년 7모 A형 25~27번/B형 23~25번 - '후생경제학'의 '파레토 최적' 개념
- 08년 3모 18~21번 - '공공재'·'공유자원'으로 인한 시장 실패
- 12 수능 29~30번 - 경제학의 '외부성'
- 08-6평 19~22번 - '위치적 외부성'
- 08년 7모 37~40번 - '외부효과'와 '정부 개입'의 필요성
- 15년 10모 B형 21~24번 - '조세 부과'로 인한 사회후생의 '사중손실' 발생
- 09-6평 43~45번 - '조세 전가 현상'
- 24년 7모 10~13번 - 조세 부담의 법적·경제적 귀착
- 14 경찰대 1차 34~37번 - 조세 부담의 귀착과 가격 탄력성
- 22년 11모(고2) 26~30번 - 립시&랭카스터의 차선의 이론
- 15 LEET 언어이해 4~6번 - '차선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제학적 원리
- 25-6평 4~7번 - 과두제적 기업경영 비판과 대안
- 06 MDEET 언어추론 20~22번 - 한국 재벌 총수의 전횡 방지를 위한 '기업 규제 강화' 주장
거시경제학 개관
◆ 국민소득 계산 및 국민 경제의 순환 과정
- 11년 9모(고2) 24~26번 - 대공황 이후의 거시경제학 통사(1930~1990)
- 17년 6모(고2) 38~42번 - 국민소득의 측정 지표 비교: 'GDP' v. 'NNP' v. 'GNP'
- 14 사관 1차 B형 19~22번 - 실질GDP와 경제성장률
- 19년 6모(고2) 38~42번 - 물가지수
◆ 소비함수
- 14년 10모 B형 27~30번 - 밀턴 프리드먼의 '항상소득가설'
- 13년 11모(고2) A형 18~21번/B형 17~20번 - '항상소득가설'과 '생애주기가설'
◆ 투자론(+경영학-재무관리)
- 05년 3모 24~28번 - 주가 결정 이론: '효율적 시장 가설' v. '자기 참조 모델'
- 11년 7모 29~31번 - 주가 차트의 '기술적 분석법'
- 22년 4모 10~13번 - 영업레버리지 효과
- 19년 7모 16~20번 - 대표적 재무비율 분석법 '듀퐁 ROE 분해'
- 11 수능 44~46번 - '채권'의 '이자율 기간 구조'
- 15년 3모 A형 23~26번 - 국고채 시장의 '금리 결정 방식'
- 12 LEET 언어이해 18~20번 - 여러가지 '자본 구조 이론'
- 14년 10모 A형 26~30번 - 마코위츠의 '현대 포트폴리오 이론'
- 16년 7모 24~27번 - 'M&A(기업 인수&합병)'의 개념 및 유형별 장·단점
- 09년 7모 17~19번 - M&A에서 나타날 수 있는 '승자의 저주'
- 10 LEET 언어이해 4~6번 - '기업가치평가'의 패러다임 전환이 '법정'에 미치는 영향
◆ 화폐·금융론
- 17년 4모 22~26번 - 유동성 기준 '통화 지표' 분류 및 '화폐의 신용창조' 과정
- 20년 9모(고1) 16~20번 - '은행'의 '금융중개' 및 '예금창조' 기능
- 09년 6모(고1) 26~29번 - '금융기관'의 유형별 역할
- 17년 9모(고1) 27~30번 - 자산관리에 반드시 고려해야 할 '금리'
- 23년 3모(고1) 19~22번 - 금리-유동성 관계와 유동성 함정
- 15년 3모(고2) 20~23번 - '실질 금리'와 '피셔 방정식'
- 17년 7모 37~42번 - '금전소비대차(차입/대출)계약'의 법적·경제적 효과
- 06 수능 52~55번 - 파생상품의 하나인 '옵션'의 특징
- 19년 11모(고2) 21~26번 - '선물'을 예시로 본 '파생상품'의 원리와 기능
- 18 사관 1차 16~20번 - 선물·옵션의 원리
- 20 수능 37~42번 - 'BIS 비율'을 예시로 본 '국제법'의 규범성
◆ 실업 및 인플레이션
- 20년 4모 21~25번 - '실업' 문제 해결을 위한 거시경제학자들의 정책 처방
- 18년 7모 33~37번 - '실업'의 원인별 유형 분류 및 '베버리지 곡선'의 이용
- 09 MDEET 언어추론 35~37번 - 새로운 노사관계 모형 '유연안정성(Flexicurity) 모델'
◆ IS-LM 모형 및 거시경제의 일반균형
- 15년 4모 B형 21~23번 - '경제안정화정책'의 유형별 효과
- 20년 3모(고2) 38~42번 - 단기 '경기 변동'에 대한 여러 거시경제학파의 논의
- 18-6평 22~25번 - 통화 정책의 운용 방향: '준칙주의' v. '재량주의'
- 19년 9모(고2) 34~38번 - 통화·재정정책의 효과 논쟁: '통화주의자' v. '케인스주의'
- 20-6평 27~31번 - 2008년 세계금융위기 후 '거시 건전성 정책' 중심으로 바뀐 금융정책 기조 변화
- 94 수능(2차) 43~45번 - 이론을 바탕으로 세워진 경제정책의 한계
◆ 경제성장론·경기변동론
- 20년 11모(고1) 20~24번 - 산업의 주도권 이동
- 23 사관 1차 4~7번 - 타바라의 '인구 발전 모델'
- 10-9평 31~32번 - 경제성장의 결정적 요인: '제도' v. '지리'
- 15 사관 1차 A형 27~30번/B형 21~24번 - 인간 자본 이론
- 16년 3모 20~23번 - '경기변동의 원인' 논쟁
- 13년 11모(고1) 19~21번 - '경제성장률(GDP 기준)'을 이용한 경기 판독법
- 09년 11모(고2) 30~32번 - '경제 지표'와 '체감 경기' 사이의 괴리가 발생하는 이유
- 25 LEET 언어이해 16~18번 - 솔로우 성장 모형
국제경제학 개관
◆ 국제무역의 원리('비교우위론' 중심)
- 24년 5모 4~9번 - (가) 자유무역협정이 국제경제에 미치는 효과 / (나) 자유무역협정 내 원산지 결정기준
- 17년 3모(고1) 20~23번 - 리카도의 '비교우위론'을 이론적으로 뒷받침하는 '헥셔-올린 정리'
- 20년 3모(고1) 38~42번 - '관세' 정책의 장단기 효과
- 12년 3모(고2) 39~41번 - 수입 규제 정책의 효과 비교: '관세(tariff)' v. '수량 할당(quota)'
- 18년 11모(고2) 33~37번 - '산업 내 무역'의 발생 원인
- 21년 7모 19~24번 - '노동 수요'의 '비교우위론'을 고려한 국제무역의 원리
◆ 국제금융론('환율' 중심)
- 08년 9모(고1) 36~38번 - '환율'의 개념
- 15년 6모(고2) 23~26번 - '구매력평가설' 기준의 '실질 환율' 계산
- 11-9평 28~31번 - 환율 변동이 경상수지에 미치는 영향과 'J커브 효과'
- 18 수능 27~32번 - 돈부쉬의 환율 '오버슈팅' 이론
- 19-9평 22~26번 - 채무국의 신용과 CDS 프리미엄의 관계
- 22 수능 10~13번 - 전후 '달러 금태환' 중심 '브레턴우즈 체제'의 성립과 붕괴
◆ 국제정치경제론('국제수지' 중심)
- 11 LEET 언어이해 4~5번 - 국가 간 채무 상환의 정치·경제적 이유 분석
- 13 LEET 언어이해 7~9번 - '최적통화지역 이론'의 한계로 일어난 '유로존 위기'
- 14 LEET 언어이해 1~3번 - 2008 세계 금융 위기의 책임 논쟁 : '정부 주범론' v. '규제 실패론'
- 17 LEET 언어이해 14~17번 - 금융 위기(2008년 이외에도) 발생원인을 설명하는 4가지 견해
기타
◆ 사회·경제사(주로 미국·서구의 근대 산업화 과정 연구)
- 12 MDEET 언어추론 23~25번 - 중세 서유럽의 농민이 '흩어진 개방 경지'를 소유했던 원인
- 18년 3모(고2) 33~37번 - 고전학파 경제학자들의 '지대(rent)' 논쟁을 정리한 마셜의 '준지대론'
- 05 MDEET(예비) 언어추론 25~27번 - 19세기 초 맬서스와 리카도의 '곡물법 논쟁'
- 09 LEET(예비) 언어이해 29~31번 - 막스 베버가 설명한 '서구 근대법'과 '자본주의'의 관계
- 10 MDEET 언어추론 38~40번 - 경제성장의 동력을 '신결합'과 '기업가정신'으로 본 슘페터의 이론
- 11 PEET(예비) 언어추론 19~21번 - 19세기 독일·일본의 근대화를 설명한 거셴크론의 '후발성 이론'
- 08 MDEET 언어추론 26~28번 - 대공황을 유발한 1920년대 미국의 경제정책 실패
- 07 MDEET 언어추론 35~37번 - J. M. 케인즈 저. '자족적 국민 경제'(1933)
- 16 LEET 언어이해 26~28번 - 20세기 중반 미국의 경제성장을 설명하는 '교육-기술 경주 이론'
- 09 LEET 언어이해 8~10번 - 한국계 이민자 1세대가 북미에서 소규모 자영업을 택하게 된 이유
- 08-9평 47~50번 - 빈곤 구제를 위한 금융 프로그램 '마이크로크레딧'의 대두
- 21 LEET 언어이해 22~24번 - 빈곤 퇴치를 위한 경제학자들의 정책 처방
◆ 재정학=공공경제학(Public Economics)
- 07년 6모(고1) 17~20번 - '세금'의 정의 및 '조세 원칙'의 의의
- 18년 3모(고1) 31~33번 - 과세의 '효율성'·'공평성' 원칙
- 12년 3모(고1) 16~19번 - '조세 정책'의 여러가지 기능
- 20 LEET 언어이해 13~15번 - '토지가치세' 부과의 논리
- 21-6평 29~33번 - '지식재산' 보호와 '디지털세'
- 09년 4모 30~33번 - '조세부담률'의 결정
- 20년 3모 16~21번 - '한계효용 균등의 원칙'으로 정당화될 수 있는 소득세의 '누진 세율'
- 18년 4모 21~25번 - '공공재'의 수요 곡선 도출 및 '클라크 조세 방식'의 예산 조달
- 10년 3모 23~25번 - '사회 보험 제도'의 의의
- 13 수능 39~42번 - '공적 연금 제도'의 운용
- 14 사관 1차 A형 19~22번 - (상동)
- 10 경찰대 1차 41~44번 - 강제적·공적 노후생계보장 정책의 효과
- 24 사관 1차 6~10번 - 공적 연금 제도의 경제적 효과
- 17년 9모(고2) 24~27번 - '기본소득제' 도입의 장점
- 08 수능 44~46번 - 공공 사업에 적용되는 '사회적 할인율'
- 19 사관 1차 27~31번 - 공공사업에 대한 비용·편익 분석
- 24 LEET 언어이해 13~15번 - 사회적 경제를 측정·환산하려는 학계의 시도
◆ 정보경제학(Information Economics)
- 20년 6모(고1) 21~25번 - '공급사슬'에서의 '채찍효과(bullwhip effect)'
- 11년 9모(고1) 17~20번 - 정보 비대칭 시장의 '신호 발송(signaling)'
- 07 사관 1차 23~26번 - 정보 비대칭 상황 해소를 위한 논의
- 12년 9모(고1) 33~35번 - 소비자의 '정보 탐색'으로 발생하는 '가격 분산'
- 10년 10모 47~50번 - '정보 탐색 비용'을 줄여주는 '상권 집적의 원리'
- 08 MDEET 언어추론 29~31번 - '정보 비대칭' 시장에서 성립할 수 있는 복수의 '전략적 균형'
- 06년 6모(고2) 52~55번 - '디지털 재화'의 특성
- 13년 10모 A형 26~27번 - '정보재'의 특성
- 17년 11모(고1) 33~37번 - '정보재' 시장의 가격결정
- 16 사관 1차 B형 24~27번 - '정보재' 시장의 특성
- 05년 6모(고2) 56~60번 - IT발달이 가져온 경제환경의 변화
- 07년 9모(고1) 16~19번 - '연결의 경제'
- 08년 3모(고1) 42~44번 - '관심의 경제학'
- 10년 9모(고1) 31~33번 - '긴 꼬리 경제학(Long Tail Economics)'
- 19년 9모(고1) 21~23번 - 새로운 소비 플랫폼 '구독경제'
- 23 경찰대 1차 20~23번 - 구독 경제 모델
- 22년 11모(고1) 38~41번 - 양면시장의 특성과 사업자의 전략
◆ 행태경제학=행동경제학(Behavioral Economics)
- 06-9평 40~43번 - '행태경제학'의 소개
- 14년 6모(고2) A·B형 22~25번 - '행태경제학'이 연구하는 인간의 '제한된 합리성'
- 12년 9모(고2) A형 25~26번 - '매몰비용 효과'
- 07년 3모(고1) 40~42번 - '초기값 효과(default effect)'
- 10년 3모(고2) 26~29번 - 다니엘 카너먼의 '전망 이론(Prospect Theory)'
- 19년 3모(고1) 16~20번 - (상동)
- 12년 3모 47~50번 - '시간 선호의 비일관성'과 '쌍곡 할인(hyperbolic discounting)'
- 19 LEET 언어이해 16~18번 - '심적 회계(mental accounting)'
◆ 법경제학(Law&Economics)
- 19년 11모(고1) 33~37번 - '거래비용이론'
- 09년 3모 30~33번 - '코즈 정리'와 '법경제학'
- 20 사관 1차 31~35번 - 코즈 정리와 게임이론으로 본 재산권 제도의 필요성
- 18 LEET 언어이해 26~29번 - 코즈 정리를 정교화한 윌리엄슨의 '기업 이론'
- 12 LEET 언어이해 9~11번 - '합리적 선택 이론'으로 설명하는 '유권자 표심'
- 14 LEET 언어이해 4~7번 - 물리학의 '상전이 이력 현상'에서 착안한 범죄학 이론
- 17년 11모(고2) 37~41번 - '경제적 유인'을 이용한 간접규제 방식의 환경 정책
- 18년 10모 16~21번 - 법경제학상 '최적 범죄 억제 비용' 도출
- 19년 4모 21~25번 - '불법행위 관련자의 책임 부담 범위'에 관한 논의
- 22년 10모 4~9번 - (가) 사전적·사후적 효율과 법 제도의 형성 / (나) 제1종·제2종 오류를 고려한 법경제학의 효율성 논의
- 13년 7모 B형 22~24번 - '시장 설계' 이론
- 08년 6모(고2) 39~42번 - '선거 제도 설계'의 경제학적 원리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진짜냐구우우웃;;
-
https://m.ytn.co.kr/news_view.php?key=202504081...
-
ㅈㄱㄴ
-
3모4떳고 지금 새기분 듣는데 등교하는 날은 강의 듣기 버거워서 강기분 독서에서...
-
저 아이린 닮고 싶어서 맨날 내가 아이린이라고 상상하니까 아이린보다 이뻐진듯ㅋ
-
백날천날 오르비 거주중인 N수 반수생들 떡밥을 학교에 있는 현역이 어떻게 따라감?...
-
여름 아닌가
-
다른 분들 의견도 궁금해서 써봅니다 교육부는 본과 3·4학년생을 중심으로 수업...
-
딱 한 번 깸
-
꼬우면 돈많게 태어나라 ㅋㅋ
-
어떻게 모든지방 자세한사정까지 다알고 하겠음 객관적인 기준이란게 있을수가있나...
-
물론 사람이 항상 생산적인 일만 해야하는 건 아니긴 해
-
또 전통놀이구나 1
-
돈많다고 공부잘하는게아니라 잘할 사람은 어떻게서든 열심히해서 성적 올리료고 함 이걸...
-
ㅈㄱㄴ
-
개꿀잼이네 학교 푸로구래밍 시간인데 개재밋노
-
본인 사는 곳애서 농어촌 지역으로 다 버리고 이사가서 중고등학교 6년 지내셈 쉽다...
-
청소 너무 싫다
-
세상은 허구한날 수학문제 벅벅 풀고 과탐 숫자퍼즐이나 맞추며 놀고 허구한날...
-
언론 분위기를 보면 2026 의대정원은 3058이라고 곧 발표할거같긴 한데요 6
교육부는 본과 3·4학년생을 중심으로 수업 참여율이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하고...
-
학교생활이 개바쁘니까 반수생각이 사라짐 찍먹은 마혀운데
-
안녕하세요 '지구과학 최단기간 고정 1등급만들기' 저자 발로탱이입니다. 지난 1년간...
-
음... 1
어떻게해서든 지각이니까 오히려 마음이 편하네 ㅎㅎ
-
지역별로 수준차이가 너무 심하다고요? 네 수시 처방해드리겠습니다~~ 그래도...
-
[잡담] 티처스에서 조정식T께서 하신말이 좀 사이다였던게 23
그 시골사는 여자애 나온 편에서 대치동 학원가 고집하고 주위에서 공부할게 없다고...
-
좋은아침 10
천원아침 흡입하기 오늘은 특식이래요
-
안알랴주면 난 어떡해
-
안녕하세요 현역때 17수능 봤던 틀딱입니다 가고싶은곳이 생겨서 내년까지 바라보고...
-
젖지대머리 2
젖지대머리
-
수학help 5
지금 미적분 이해원 하는중이에요,,수학 어느정도 한다고 스스로 생각하는데 항상...
-
학비땜에 알바 풀로 뛰는거라 했다.. 눈치보이네
-
9시간도 안남음 0
대성의 첫 앨범이 나옵니다
-
서울 강북 동네 내에서 형성된 분위기 자체가 피튀기게 공부하는게 아니라 적당히...
-
4/8 공부목표 0
근월승리 2일차 주간 키스 2일차 김승리 선택 언매 1장 끝내기 브릿지 전국브릿지...
-
모닝 4
-
메가스터디가 뭔지도 모르고 실모는 듣도 못했고 점심으로 우렁쌈밥나오는...
-
휘문평균 1
ㄷㄷㄷ
-
그치만 20년이넘도록 해본적이 없는걸요ㅡㅡ 밉다
-
정부, 오늘 국무회의서 차기 대선일 6월 3일로 확정 11
대선 입후보 희망 공직자 내달 4일까지 물러나야 (서울=연합뉴스) 홍국기 기자 =...
-
수학적 중간x 모든 행위에 중용x 맞죠? 윤사 때 배워서 기억이 잘 안나네요
-
안녕하세요. 이투스 다니는 재수생입니다.. 제가 코 훌쩍이는 소리라던지 목 큼큼하는...
-
어~ 맞죠? 0
네 존나 맞아요~
-
개체 정의 관련된 지문이 출제된 적이 있었구나 사바컴이라니 ㄷㄷ
-
[다시 간다]목동 30분 거리가 농촌?…농어촌 전형 취지 무색 2
[앵커] 교육환경이 열악한 농어촌 학생들의 입시를 돕기 위해 만들어진 농어촌...
-
요새 잠을 잘 못 자서 그런가....다들 건강 챙기셔요
-
농어촌 vs 서울 구도로 보면 안되고 농어촌 vs 지방 구도로 봐야함 5
농어촌은 서울사람에게 역차별이라고도 보지만, 실질적으로 지방사람들에게 더 큰...
-
사설이랑 모고는 여기 싹다 이해하면 문제 다 풀 수 있겠다라는 감이 오는데 수특은...
-
아 1교시 1
ㅋㅋ
-
농어촌 있어야된다고 ㅋㅋ
-
하이데건가? 지문 참 추상적이네
23 24 25 전부 법이 나온걸보아서, 이번정권에 경제가 나오긴어렵지 않나 싶습니다
뭐 모르죠..탄핵되면
https://gall.dcinside.com/hanmath/1650400
법·행정 지문 예전에 정리해둔 목록도 있습니다. 지금 업데이트 중입니다.
햐 이런거 정리해서 제본해 쓰고싶은데 시간이 없네요
https://gall.dcinside.com/hanmath/7903493
제본하실 필요는 없고 심심할 때 나무위키 비스무리 읽는 느낌으로 참고하시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