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새 뚝 떨어진 韓 성인 문해력, OECD 평균도 안돼
2024-12-11 11:23:16 원문 2024-12-11 03:05 조회수 3,166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0496460
“알림장에 국어, 수학, 사회, 과학 앞 글자를 모아 ‘국·수·사·과 준비’라고 적었더니 국수와 사과를 들고 온 학생이 있었습니다. 학부모가 잘못 이해한 거죠”(한 초교 교사)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10일 발표한 ‘국제성인역량조사(PIAAC)’에 따르면 한국 성인(16∼65세)의 언어 및 수리능력과 문제해결능력이 OECD 국가 평균에 못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언어능력 점수는 10년 전 조사보다 크게 떨어지며 최근 논란이 된 문해력 저하 실태를 보여 줬다.
● 수치로 드러난 ‘문해력 저하’
OECD에서 10년...
-
간암에도 흡연-간접흡연이 영향...간 망가뜨리는 이유는?
05/05 18:04 등록 | 원문 2025-05-05 12:12
0 0
간암을 떠올리면 흔히 술을 꼽지만 만성 B형·C형 간염, 흡연이 간을 망가뜨리는...
-
3자 가상대결…이재명 46.5% 한덕수 34.3% 이준석 5.9%[리얼미터]
05/05 15:50 등록 | 원문 2025-05-05 09:02
4 2
3자 대결 이재명 46.6% 김문수 27.8% 이준석 7.5% 정권교체...
-
“절에서 먹는 밥이 MZ 트렌드?”…스님표 힐링 식단 4선
05/05 15:49 등록 | 원문 2025-05-05 09:01
1 3
부처님오신날을 맞아 자연의 맛을 살린 ‘사찰음식’이 건강 밥상으로 주목받고 있다....
-
“제적하겠다” 으름장에 화들짝…순천향·을지·건양 의대생 복귀
05/05 15:46 등록 | 원문 2025-05-05 13:34
4 3
(사진=연합뉴스)[이데일리 마켓in 허지은 기자] 제적 예고를 받은 5개 의대생들이...
-
[속보] 李대행 "확정된 유급·제적 철회 없어… 결원만큼 편입학 지원"
05/05 14:32 등록 | 원문 2025-05-05 14:29
6 7
이주호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5일 “각 대학은 7일까지 유급과...
-
아이유, 어린이날 맞아 '아이유애나' 이름으로 1억5천만원 기부
05/05 13:37 등록 | 원문 2025-05-05 12:26
7 5
(서울=연합뉴스) 이태수 기자 = 가수 겸 배우 아이유가 어린이날을 맞아 아동과...
-
05/05 13:03 등록 | 원문 2025-05-05 09:27
8 4
국민의힘 대선 경선에서 낙선하고 정계 은퇴를 선언한 홍준표 전 대구시장이 5일...
-
05/05 12:55 등록 | 원문 2025-05-05 09:11
0 0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외국에서 제작된 모든 영화에 대해 100% 관세를...
-
-
사법부 협박하는 민주당…“대법원장 탄핵 절차 즉각 돌입” “공수처는 대법원장 수사하라”
05/03 20:07 등록 | 원문 2025-05-03 18:02
21 25
이재명 “당이 국민의 뜻에 맡게 처리할 것” 더불어민주당 초선 의원들이 3일...
-
05/03 18:17 등록 | 원문 2025-05-03 18:14
30 26
더불어민주당 초선 의원들이 이재명 후보의 공직선거법 사건 파기환송 판결을 조희대...
-
-
05/03 15:45 등록 | 원문 2025-05-03 15:44
3 9
제21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3일 치러진 제5차 국민의힘 전당대회에서 김문수 대선...
-
민주 초선 "조희대 탄핵 절차 돌입할 것"…서울고법에 "기일 취소하라"
05/03 15:31 등록 | 원문 2025-05-03 15:13
13 5
더불어민주당 초선 의원들이 조희대 대법원장을 탄핵해야 한다는 내용의 단체 성명서를...
-
K엔비디아, 이 나라 정치 환경에선 헛된 꿈이다 [김경원의 경제 프리즘]
05/03 01:45 등록 | 원문 2025-05-02 06:01
5 5
#1 ‘구약성경’의 창세기 40장과 41장은 형제에 의해 이집트 종으로 팔려 간...
-
05/02 22:00 등록 | 원문 2025-02-27 06:04
3 2
복지부 1만4439명 잠정 집계 2011년 후 13년 만에 최고치 지난해...
-
[단독]민주당 "대법관수 14명→30명" 법원조직법 개정 법률안 발의
05/02 18:37 등록 | 원문 2025-05-02 18:17
7 12
더불어민주당이 대법관수 구성 인원을 늘리는 법안을 오늘(2일) 발의한 것으로...
-
민주연구원 부원장 “삼권분립 막 내려야… 사법부 없앨지도 고민할 시기”
05/02 16:12 등록 | 원문 2025-05-02 15:56
21 21
더불어민주당 싱크탱크인 민주연구원의 박진영 부원장은 대법원이 이재명 민주당...
“알림장에 국어, 수학, 사회, 과학 앞 글자를 모아 ‘국·수·사·과 준비’라고 적었더니 국수와 사과를 들고 온 학생이 있었습니다. 학부모가 잘못 이해한 거죠”(한 초교 교사)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10일 발표한 ‘국제성인역량조사(PIAAC)’에 따르면 한국 성인(16∼65세)의 언어 및 수리능력과 문제해결능력이 OECD 국가 평균에 못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언어능력 점수는 10년 전 조사보다 크게 떨어지며 최근 논란이 된 문해력 저하 실태를 보여 줬다.
문해력 진짜 ㅈㄴ 심각하긴 함
OECD에서 10년 주기로 실시하는 PIAAC는 미국 일본 등 31개국에서 16∼65세를 대상으로 진행하는 성인 역량 조사다. 2011, 2012년 처음 실시됐으며 2022, 2023년 두 번째로 진행됐다. 이번 조사에는 한국인 6198명을 비롯해 16만 명이 참여했다.
조사 결과 한국 성인의 언어능력은 500점 만점에 249점으로 OECD 평균(260점)보다 11점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리능력은 253점, 문제해결능력은 238점이었는데 이 역시 OECD 평균보다 각각 10점, 13점 낮았다.
10년 전과 비교하면 특히 언어능력 저하가 두드러진다. 2011, 2012년 조사에서 한국 성인의 언어능력 점수는 273점으로 당시 OECD 평균과 같았다. 하지만 이번 조사에선 과거보다 24점 하락하며 OECD 평균보다 11점 낮았다. 언어능력 점수는 모든 연령대에서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부 관계자는 “언어능력의 경우 10년 전과 이번 조사에 모두 참여한 27개국 중 핀란드, 덴마크만 평균 점수가 상승했다”며 “2010년 이후 세계적으로 스마트폰 보급이 확대되며 책과 문자를 접하는 빈도가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조사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직후 이뤄졌다는 점에서 팬데믹 기간 고립의 영향도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한국의 급속한 저출산 고령화도 역량 저하의 원인으로 거론된다. 연령이 낮을수록 세 역량 점수가 높았는데 사회가 고령화되면서 전반적으로 점수가 떨어졌다는 것이다.
실제로 분석 대상을 16∼24세로 한정할 경우 한국의 언어능력은 276점으로 OECD 평균보다 3점 높았고, 수리능력은 273점으로 OECD 평균보다 1점 높았다. 또 1차 조사 결과가 발표된 2013년 한국의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전체 인구의 11.9%를 차지했으나 2차 조사 결과가 발표된 2024년에는 19.2%로 늘었다.
OECD 보고서는 “일본, 스웨덴, 핀란드 등이 전 영역에서 우수한 성적을 보였다”며 “지난 10년간 전 세계적으로 언어·수리능력 저하가 나타났으며 특히 교육 수준이 낮은 계층에서 하락세가 두드러졌다”고 분석했다.
이병훈 중앙대 사회학과 명예교수는 “조사에 포함되지 않은 70대 중반 이상 초고령층이 급속히 늘어나는 점을 고려하면 사회 역량 측면에서 어려움이 더 커질 것”이라며 “같은 연령층 내 교육 양극화 대책도 세워야 한다”고 지적했다.
어그로성 기사.
호들갑
이원준이 양극화라고 해야 맞다는데
ㄹㅇ 상위권은 오히려 늘엇고 하위권도 ㅈㄴ 늘엇고
중간층이 없어지고 문해력 좋은 사람이랑 안좋은 사람이 극명하게 나뉘는듯
독해력은 양극화가 심해지는게 맞는거 같음
근데 배경지식은 점점 줄어드는 거 같기도 함
이번 대국민 담화 전문 보고도 국정원이 거짓말 하고 있다고 하고, 대통령이 극우 보수 유튜브 보고 비상계엄 선포했다고 선동하는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지지자 보고 정말 뼈저리게 느낍니다. 대학수학능력시험 국어 영역처럼 처음 보는 글을 10분 내로 읽고 이해해서 문제 풀도록 하는 시험이 쓰레기라고 생각했는데, 어쩌면 적어도 한 번씩은 10대 때 공부하도록 하는 것이 도움이 될지도 모르겠습니다. 10대 대 똑바로 해보지 않았다면 20대, 30대, 40대가 되어서도, 50대, 60대, 70대가 되어서도, 80대, 90대, 심지어 100세를 넘겼더라도 독서와 함께 해볼 필요가 있을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