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들 자꾸 171130이랑 231122를 비슷하게보던데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0471926
내가볼땐 걍 다른문제인거 같음.
기울기로 접근하자는 취지는 맞지만
그후의 추론적 성격은 엄연히다름.
171130은 기울기 그 자체에 의미를 두고있고
231122는 관계식에 의미를 두고있음.
그럼에도 불구하고 둘중 어느하나를 푼다음 다른걸 풀면 접근법이 수월한건 사실임.(왜냐면 접근법은 기울기로 같으니)
개인적으로 171130을 먼저 풀게 한다음에
한 반년뒤에 231122를 풀게하면
수학적 성취도가 크게 늘거라고 생각함.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도트폰트 질림 ㅜ
-
국어는 항상 교육청 97-99 평가원90-95 이렇게 나온듯 2
물론 현역이라 몇 번 안 보긴했는데 고2 3모 3컷박은뒤로는 계속 이런 느낌으로 나온듯뇨
-
이참에 도전해볼까?
-
걱정되네요 저기서 칸수 떨어지면.. 하..ㅠ
-
성대 논술 조발 3
오늘 4시라고 하던데 어케 생각하심?
-
민주진영 괘멸하고 보수가 장기집권 했을까요
-
수학을 ㅈ박아버려서 갈수있는 대학 폭이 확 좁아졌긴했는데 일단 기본 목표는 아주대...
-
피말린다
-
평백 80.5 2
국어 백분위 98 담임쌤이 성적표 보고 라인 가늠을 못 하심 ㅋㅋㅋㅠ
-
따뜻하네 계속 똥만 싸고 있을까
-
안녕하세요 저는 고등학교 하위권으로 들어와서 목표(부산대 공대 이상)에 비해 아주...
-
시발 나 반수하기싫어요 제발제발제발젭라
-
훌훌훌
-
그냥 불이 좀더 유리한 정도??
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