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ertia [527645] · MS 2014 · 쪽지

2015-12-07 01:05:33
조회수 14,517

학종 빠는 수험생 특징(엄격.근엄.진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043616

이 글은 매우 주관적이며 컴플을 받지 않습니다.

1. 학종이 매우 공평, 정당한 선별방식으로 인식
2. 자신이 학종으로 대학을 잘 가리라 굳게 믿음.
3. 동아리, 봉사, 교내활동이 자신의 한심한 내신을 커버 칠 수 있다고 생각함.
4. 자기 수준보다 높은 대학 갔을 경우, 학점을 어떻게 딸 것인지에 관해서는 생각을 안해봄.
5. 생각을 해 봤을 경우, 노력하면 이미 굳어버린 두뇌가 순순히 욕망에 응해 줄 것이라 생각함.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ㅇㅇㅇㄷㄱ · 599942 · 15/12/07 01:07 · MS 2015

    ㄹㅇ

  • 가나라다마바사 · 602687 · 15/12/07 01:10 · MS 2015

    학종을 많이 안좋게 보시네요. 저는 정시파이터 지만 수시로 대학가는애들 정말 대단하다고 생각하는데(저도 내신준비를 해봤기에 아는 고충)

  • 킴뱅 · 458233 · 15/12/07 01:17 · MS 2017

    대학 가보시면 진짜 학종애들은 삼보일배하면서 학교다녀야 한다고 생각하실수도..ㅋㅋㅋ

    대학가서 학점킹인 애들은 정시최초합, 특목고, 천재..

    학점 너덜너덜한애들은 정시로 와서 그동안 못 놀아서 한 맺힌 애들
    + 평생 놀꺼 새내기때 다 노는 애들, 그리고 학종...

  • 설탕절임잼 · 558263 · 15/12/07 01:19 · MS 2015

    ㄷㄷ학점따기 그렇게 어려운줄 몰랐네요

  • 가나라다마바사 · 602687 · 15/12/07 01:21 · MS 2015

    그것도 과에따라 갈리지 않나요?? 학종으로 간애들이 인문쪽가면 잘할거같은데. 물론 제 편견이긴함ㅎ

  • 킴뱅 · 458233 · 15/12/07 02:27 · MS 2017

    제가 이과라서 이과입장에서 글쓴거임ㅇㅇ 일단 공대 자연대는 과고+천재+정시최초합 트리오가 다해먹음. 물론 학기가 지날수록 그 차이가 무색해지긴함. 듣기로는 어문계열이 처음에 차이가 극심하다 들음. 언어특기자로 들어왔으면 그냥 수업시간에 요양해도 학점 씹어먹는다함.

  • 0022001 · 451290 · 15/12/07 02:05 · MS 2013

    이분 최소 대학 안나온분..
    특목고애들 수시가 더 많고요^^
    학점킹은 노력바이노력이고 대원외고를 비롯한 특목고 출신 아이들이 지방 일반고보다 잘나온다는 보장 1도 없네요^^ 정시에 학고도 널렸고 꼭 논술이 글잘쓰는것도아니고일반 학종으로온애들이 글 더잘쓰고 영어 더잘해서 정시러 씹어먹는 케이스가 다반순데..
    아 참고로 전 ky+h 전장 학종으로 다 붙어서 k대 다니고 있어요

  • 킴뱅 · 458233 · 15/12/07 02:37 · MS 2017

    학종으로 온 애들 전부 다 빠2가라는게 아니라.. 그런 경향이 높다는 거죠.. 그리고 현실적으로 그런데요..,,ㅋㅋㅋ 한치의 예외도 없이 학종은 전부 학고예약 엠생! 그런말이 아닌데..ㅋㅋㅋ 대원외고를 예로 드시는거 보니 문돌이신거 같은데 문과 중에서도 어문계열은 학종애들 짓밟힌다고 들었어요.. 다른 전공은 잘모르겠음.. 어 저 그리고 8월에 반수결심한거라 학우들 사정은 익히 알고있습니다...

  • 흠흠야 · 519163 · 15/12/07 10:47 · MS 2014

    학종애들이 4점대가 제일 많던데 제 주위에는.. 다른 학교 다니는 친구들 봐도4점 초반 학종 많습니다. 오히려 정시 애들이 제일 학고가 많아요 주변 보면 학점이
    과고>학종=논술=정시 인듯요

  • 이미 존재하는 닉네임입니다. · 486121 · 15/12/07 03:30 · MS 2013

    특목고에 수시가 많은건 과고 얘긴가요?? 외고와 자사고는 동의가 되지않네요. 학종은 택도 없고 논술도 포함한다해도 '더 많고요^^' 일정도는 아닌것 같은딩. 애초에 내신이 중요한 수시 특성상 주요대 다니는 특목고 출신중 수시(이글에선 특히 학종) 학생들이 정시 학생보다 많은 건 힘들것 같네요. 있다고 해도 대다수가 아니라 몇몇 수시에 특성화된곳 정도일듯..

  • 인간의숲 · 558402 · 15/12/07 10:05 · MS 2015

    외고 수시(특기자 제외하고) 생각보다 안많아요
    저도 정시 생각하고 입학했는데...

  • 오르비오르BB · 623211 · 15/12/07 10:33 · MS 2015

    학종:ㅄ 학종으로 6연패하셨어요? 아주 ㅂㄷㅂㄷ하시네

  • 엑스트라 · 601758 · 15/12/07 12:53 · MS 2015

    저 전장에 최초합인데 1-1 2.9나오고 전장 짤렸는데...

  • rheorkwhgdk · 617217 · 15/12/07 16:59

    내신준비랑 학종이랑은 관련별로 없는듯요

  • 자연생물 · 571656 · 15/12/08 05:19 · MS 2017

    학종은 내신도 많이 보지요. 특기자와 학종이 뒤섞여 있어서 오해가 많은 듯해요

  • 문과문과해 · 544436 · 15/12/07 01:20 · MS 2014

    ?? 특목고졸업생인데 학종으로 가서 학점 잘받는사람 많더구만요.. 성급한일반화 ㄴㄴ

  • 자연생물 · 571656 · 15/12/08 05:18 · MS 2017

    특목고에서 학종으로 갈 경우 내신도 거기선 꽤 되기에 학점도 좋겠죠. 예외는 있겠지만 일반고 출신 학종은 좀 다른듯..

  • TJZI8CrNYl0iey · 598922 · 15/12/07 01:21 · MS 2015

    특목고 출신이구요. 학종으로 이대간 친구 학점 4.x받고 매우 잘다닙니다. 서강대간 친구도 학점 잘받구요.전 정시논술학종다해봤네요. 일반화 ㄴㄴ

  • 테스트 · 523373 · 15/12/07 01:31 · MS 2014

    먼저 올라온 글에대한 일종의 반발심에서 나온글같은데 그 글보면 일반화와 주관적해석이 이글의 10배는넘어서 뭐.. 이 글 정도는 양반아닌가싶은데요

  • 킴뱅 · 458233 · 15/12/07 02:31 · MS 2017

    위에 자꾸 일반화 어쩌구 하는데 단순한 일반화가 아니라 실제로 현실이 그런거임. 무조건 학종은 병2신이고 특목고가 갑이다, 특목고 출신은 대학가서도 킹이다 이런말을 하는게 아니라 ㅋㅋㅋㅋ 당장 설곽출신 조졸생이랑 해남에서 학종으로 온 학생 둘이 같은 학교 같은 전공이라 하면 둘중에 누가 더 학점이 좋을지 돈 걸라고 하면 거의다 설곽에 걸거면서ㅋㅋㅋㅋㅋ 당연히 학종으로 가서 학점 잘받고 과탑 냠냠하시는 분들도 계시겠죠 리스펙

  • 물베 · 537835 · 15/12/07 09:19 · MS 2014

    설곽출신 조졸에서 웃고갑니다.

  • 킴뱅 · 458233 · 15/12/07 13:52 · MS 2017

    아 쓰고보니 그렇네염ㅈㅅㅈㅅ

  • 물베 · 537835 · 15/12/07 09:19 · MS 2014

    설곽은 조졸 없어요. 다시 알아보시길

  • 16학번 화이팅! · 488623 · 15/12/07 12:02 · MS 2014

    설곽 영재고로 바뀐지가 언젠데 ㅋㅋ

  • 신승범 · 592557 · 15/12/07 22:36 · MS 2015

    아버지께서 설곽 조졸하시고 카이스트 입학 하셨는데 원래 없었나요?

  • Blunder · 588561 · 15/12/07 03:15

    일반화가 아니라 사실인 경우도 믾음. 제 친구 같은 경우는 내신 4등급댄데...입시에 너무 무지해서 무식하게 동아리랑 교내교외 활동은 많이 나감...문제는 내신이랑 더불어서 모의고사 성적이 진짜 심각...

  • 킴뱅 · 458233 · 15/12/07 03:21 · MS 2017

    제 생각엔 그냥 학종맨들 스스로 자기도 나름 굉장히 힘들었는데 그 노력을 남들이 폄하 하니까 자격지심들고 화나는듯 근데 실제로 학종이 그런경향이 있는걸 어떡해요ㅋㅋㅋ 정시러들은 남들 놀때 참았던거고 그걸 대학가서도 참으면 학점 좋은거고 못 놀았던 한을 풀면 학점 너덜너덜해지는건데..학종넣고 수능 물1 5등급받은 애들은 일물 들으면 F=ma부터 다시시작

  • k7al8en2vR3Um · 613510 · 15/12/07 03:32 · MS 2015

    ㅂㅂㅂㄱ

  • 학종도 힘들고, 정시도 힘든데 정시가 더 힘듦.

  • 할매 · 614124 · 15/12/07 05:55 · MS 2015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평범한 사람 · 570666 · 15/12/07 08:53 · MS 2015

    그냥 학종으로 가고 수능 성적도 좋으면 되는 거 아님?

  • 평범한 사람 · 570666 · 15/12/07 08:55 · MS 2015

    솔직히 이과 학종도 수학 하고 과탐 1등급 정도 최저는 걸어야 한다고 생각 합니다만. (상위권 학교 예기 입니다)

  • 안녕안녕안녕 · 594404 · 15/12/07 09:28 · MS 2015

    노수시 온리정시인데 왜이리 학종 무시하는지 이해가 안감 학종생이 학점이 평균 이하라는 정확한 근거도없이 내주변에서는~ 이러면서 같은 대학 학생 폄하하는거 ㄹㅇ 극혐

  • 킴뱅 · 458233 · 15/12/07 13:53 · MS 2017

    대학가보삼. 1학기 가기전에 님도 "우리과 학종들이~ "

  • 16삼반수시대 · 559313 · 15/12/07 09:37 · MS 2015

    문과는 암기만 잘하면 학점 따기 쉽지 읺음??

  • 흠흠야 · 519163 · 15/12/07 10:44 · MS 2014

    대학교 수업은 미친듯한 글빨이 필요합니다 성실히 레포트 내는거랑

  • 치킨먹고싶다 · 593575 · 15/12/07 09:57 · MS 2015

    학종으로 본인성적보다 높은대학을 가면 많이 힘든가요??열심히해도??

  • 읏차~ · 577466 · 15/12/07 11:12 · MS 2015

    자기가 최선을 다해 노력했고 거기에 운이 좋아서 더 높은 대학에 간거면 노력으로 다 따라잡을 수 있다고 생각해요. 근데 단순히 요행에 의해서 간거면 따라가기 힘들거구요.

  • 징징이좋아요 · 453593 · 15/12/07 12:46 · MS 2013

    아뇨 대학가면 다 똑같아요 보통

  • karyuan · 600627 · 15/12/07 10:13 · MS 2015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흠흠야 · 519163 · 15/12/07 10:25 · MS 2014

    학종으로 간 제친구들 4점대 널렸고 제 주변만 봐도 정시애들 학고가 제일 많은 것 같은데... 통계적으로봐도 학종이 딸리지 않습니다

  • 현군★ · 397988 · 15/12/07 10:53 · MS 2011

    통계적인 개연성을 이야기해야죠. 몇가지 극단적인 사례만 들고 논쟁을 하려니 그냥 사상누각이잖아요 논리가.

  • Humasiba · 593519 · 15/12/07 11:04 · MS 2015

    서울대와 경희대 입학처의 통계에 따르면, 정시생보다 학생부종합전형으로 들어온 학생의 학점 평점평균이 더 높다네요. (근소하긴 하고 3~4학년때에는 비슷해지지만) 어쩌면 이런 이유에서 정시보다 학생부종합전형에서 더 많은 인원을 선발하는게 아닐까요? 요즘상황에 수능 성적만으로는 인재(?)를 구별(?)할 수 없고, 대학진학후 대학생활에의 충실도 또한 차이가 나니까요.
    그리고 학생부종합전형을 통해 학업능력이 떨어지는 얘들이 들어올 가능성이 있다는 말에는 저도 동감하는 바에요. 하지만 당연한거죠. 정량화된 평가가 아닌, 다양한 평가 요소에 의한 정성평가이니까요. 오히려 이러한 전형 덕분에, 대학 구성원의 다양성이 증대되어 더 선순환 할 수 있다고 생각해 보지는 않으셨나요? 대학은 마냥 공부만해온 얘들이 와서 공부만하다 떠나는 곳이 아니잖아요. 대학은 오직 학업만을 배우는 곳이라기 보다는, 자신과 사회에 대해 배우고 다양한 경험을 해보면서 성장하는 곳이잖아요 .그 경험의 구성요소로 학업, 대인관계 등등이 있는 거구요.
    획일화된, 정량화된 평가에 기반한 선발은 학업 능력 '만'을 갖춘 인재를 뽑는데에는 더 없이 좋겠죠. 그러나 학생부종합전형이라는 방식이 있기때문에 대학이 공부벌레(절대 나쁜의미로 쓴 단어가 아닙니다!)로만 채워지지 않고 수많은 배경과 과정을 가진 학생으로 채워져서, 학문 이외에 부수적인 배움이 더 커질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정시생이 보기에는 학종러들이 대학을 날로간다(?)는 생각이 들어서 배알꼴릴 수 있어요.(저또한 정시생으로서 그런 생각을 일시 하기도 했구요) 그러나 그들도 평가요소가 애매한 전형에서 고득점을 받기위해 끊임없이 고민하며 비교과를 쌓아야 하고 내신을 관리해야 한다는 점에서 힘들 것이라고 생각해 보지는 않으셨나요? 수능공부가 어려운 것처럼 그들또한 많은 노력을 들여야 하는 것인데, 주관적인 근거로 비판하는 것은 잘못되었다고 생각합니다

  • 조성현 · 577466 · 15/12/07 11:06 · MS 2015

    아니 주관적인 생각이면 혼자 방에서 하지 왜 글을 올리는거지? 열등감느끼나
    그리고 님이 안된다고 남들 깎아내리지 마세요. 한심합니다.

  • 조성현 · 577466 · 15/12/07 11:06 · MS 2015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원할머니보고쌈 · 525296 · 15/12/07 11:23 · MS 2014

    우리같은 수험생 나부랭이들이 생각하지 못하는 점이 있으니까 그렇게 학생부 종합을 많이 뽑겠죠
    대학에서 입학전형 만드는 사람중에 우리보다 덜배우고 무식한 사람 한명도 없음

  • 자연생물 · 571656 · 15/12/08 05:25 · MS 2017

    더 배우고 유식한 사람 열이 모여서 논쟁하다 보면 배가 산으로 가기도 하죠..

  • 설이 · 463916 · 15/12/07 11:25 · MS 2013

    수시 합격 발표도 다 날때쯤엔 이 정도 글도 그냥 애교..

  • 16학번고대생 · 581990 · 15/12/07 11:28

    둘다 해봤지만 수시가 더힘들어욯ㅎㅎ

  • 테스트 · 523373 · 15/12/07 14:22 · MS 2014

    그럼 수시제도의 의미가 없어지는군요
    정시 100프로로 가는게 모두를 위한 길이네요

  • 16학번고대생 · 581990 · 15/12/07 15:48

    오잉 그게 왜 그렇게 되죠..?
    수시가 더 힘든건 팩트지만 그 과정에서 느끼거나 배운것 또한 정시와 비교할수 없을 정도로 많은데

  • 데쌍트ㅡ · 620612 · 15/12/08 14:36 · MS 2015

    웃고갑니다

  • 16학번고대생 · 581990 · 15/12/08 14:47

    웃는 이유가 뭔지는 모르겠지만 뭐가 더 쉬운지는 개인차 아닌가요? 물론 운이 따르고 정시에서 최상위권 맞는게 쉬운일은 아니지만 저는 수시가 더 힘들었네요 특목고에서 내신따고 교내상따고 외부스펙 챙기는일이 아무나 하는 일이 아니더라구요 그렇지만 그 과정에서 배운게 많기때문에 수시를 집중적으로 준비한건 후회안합니다

  • 데쌍트ㅡ · 620612 · 15/12/08 14:49 · MS 2015

    알겠습니다

  • 나도기만하고싶다 · 617756 · 15/12/07 11:56 · MS 2015

    좋은 글에는 닥추

  • 신설f · 484934 · 15/12/07 12:16 · MS 2017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징징이좋아요 · 453593 · 15/12/07 12:42 · MS 2013

    하하 학종으로 들어와서 과탑한 사람인지라 공감을 못하겠네요ㅎㅎ

  • ba.by_so · 522396 · 15/12/07 12:47 · MS 2014

    특목고라 그런지 몰라도 우리 학교 학종 애들은 내신도 좋고 스펙도 어마무시하고 모의고사나 수능 성적도 좋아서 대단한 애들 많은데

  • 조용화 · 421721 · 15/12/07 12:49 · MS 2012

    사람마다 다른데...전 수학과인데 학종애들이 더 잘해요

  • lambsear · 529995 · 15/12/07 13:18 · MS 2014

    대부분을 학종으로 뽑는 대학은 그럼 수준 떨어지는 학교겠네요ㅋㅋㅋㅋ 너무하시네

  • Portrait · 523873 · 15/12/07 13:25 · MS 2014

    중앙대 붙은 친구들 몇이 있는데
    걔네 수능성적이 광명상가한서삼급
    =ㄹㅇ

  • 어영부영 · 482930 · 15/12/07 13:45 · MS 2013

    일반적으로 수시입학생들이 정시입학생들보다 학점이 떨어질것이라 착각하는데
    대학들 내부분석자료들을 보면 그렇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다만 졸업후에 수시 입학생들이 학교를 빛내줄 가능성이 높은가에 대한 물음에는
    회의적인 경우가 많더군요. 그래서 입학처도 고민하는것으로 압니다.
    근거 : 카더라 통신 ㅎㅎ

  • Slave_Epictetus · 519756 · 15/12/07 13:49 · MS 2014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Slave_Epictetus · 519756 · 15/12/07 13:55 · MS 2014

    조용히 공감 누르고 갑니다.

  • 안암tv · 463414 · 15/12/07 14:09

    고대가 왜 학종늘리고 대학들이 왜 정시를 줄이는지 생각해보면 될듯

  • Slave_Epictetus · 519756 · 15/12/07 14:18 · MS 2014

    http://www.nocutnews.co.kr/news/4509037 그럼 이것에 대해선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고려대만 그렇게 했을 뿐 나머지 주요 대학들은 적정 선을 유지하겠다는데요? 그리고 서울대도 2012-2013년에 정시를 멸종시키려고 작정했지만 결국 2014년에 정시 비중 확대로 후퇴한 것으로 압니다.

  • 안암tv · 463414 · 15/12/07 20:10

    혼란방지죠.. 정시 너무없애버리면 n수생들 반발도 장난 아닐테고 .. 무엇보다 수시비중은 적정선을 유지하는듯 하지만 조금씩 조금씩 늘고 있습니다. 대학이 제정신이 아니라서 정시로 더 우수한 학생들 들어오는데 정시 줄이는거 아니겠죠?

  • Homo Homini Lupus · 597641 · 15/12/07 15:51 · MS 2015

    오르비언들이 좋은 고등학교 출신이 많아서 공감이 안가고 그러는지는 몰라도 지잡고 다니는 저로서는 완전 공감되는데...내신 찢기고 독서활동 동아리 등등으로 대학교 날로먹으려는 애들 득실득실 ㅋㅋㅋ 아 물론 우리학교가 ㅆㄹㄱ라서 그렇다고 하면 반박할길은 딱히 없음. 그럴 가능성 또한 농후하기에..

  • Mamba · 558708 · 15/12/07 16:26 · MS 2015

    학종 출신이 학점 관리 훨씬 잘하던데 들어올 때 정시러들의 실력이 더 높을지는 몰라도 성실성 하나는 인정 해줘야..

  • 카카누 · 492250 · 15/12/07 17:47 · MS 2014

    최상위권대학으로 갈수록 제가느끼는건 학종이나 수시일반,지균으로온애들이 정시보다 훨씬잘하는것같아요... 그냥 주위에서 보는거말한거임

  • Camillou · 442448 · 15/12/07 20:17 · MS 2013

    학종은 아니고 현역 때 특기자 준비했었고 재수 때는 정시러로 살았는데 정시 물론 준비도 빡세고 대학 가기도 힘들지만 수시 준비도 장난아님ㅠㅠ물론 여기서 말하는 학종이 지역이름도 잘 안알려진 곳에서 갑자기 신분상승격으로 진학한 사례라면 몰라도..정시는 빡센 준비를 1년에 몰아서 하는거고 수시는 그걸 3년에 걸쳐하니 티가 안나는거지 그걸 준비하는 본인은 매순간 고민하고 노력합니다ㅋㅋ다만 차이가 있다면 논술 제외 수시는 노력에 비례하는 편이라면 정시는 아닌 사례가 많다는 것뿐..

  • Camillou · 442448 · 15/12/07 20:19 · MS 2013

    그리고 대학 수업 자체가 몇년씩 정형화된 수능만 파고 온 정시러보다 이런 저런 대외/교내 활동에 익숙한 애들에게 더 유리하다는 생각도 드네요

  • 문과출신 오버시어 · 514501 · 15/12/07 20:55 · MS 2014

    자 수시 vs 정시인가요 ㅋㅋ

  • 이대의 · 604039 · 15/12/07 21:03 · MS 2015

    그럼 해외 석박까지 밟았을 교수들이 생각이 짧기 때문에 수시 비중을 70프로나 해놓는건가

  • 자연생물 · 571656 · 15/12/08 05:55 · MS 2017

    입학사정관과 교수는 달라요. 총장이랑 교육부의 방침을 따라가지요. 교수들도 이런 입시제도 싫어하는 사람 많지요. 저는 수시 반대론자 아닙니다만 그냥 팩트라서 덧붙여봅니다.

  • 이대의 · 604039 · 15/12/08 08:18 · MS 2015

    아 전 여태껏 입사관을 교수들이 하는 줄 알았네요 지적 감사합니다

  • 원할머니보고쌈 · 525296 · 15/12/08 10:07 · MS 2014

    성대 입사관들 올해 다 짤려서 대치동에서 학원강사하고있음 ㅋㅋ

  • Humasiba · 593519 · 15/12/10 15:43 · MS 2015

    학교마다 다름. 경희대는 교수중 일부가 입학사정관 위촉교수가 되어 서류평가에 참여해요.

  • 헤쎄 · 554534 · 15/12/07 21:18 · MS 2015

    이런거 안했으면

  • 연대가고싶다 · 592798 · 15/12/07 22:46 · MS 2015

    교내대회 비리로 상타고그런애들보면 학생부종합은 없애야된다고봄난

  • 자르 · 607445 · 15/12/07 23:09 · MS 2015

    학종 비리가넘심하다생각드네요저도..해결책이필요하죠ㅎ..

  • 88117700 · 566858 · 15/12/07 23:11 · MS 2015

    학종을 없애기 전에 교내대회 비리부터 없애보는게 먼저 아닐까요..?

  • Foveon · 499411 · 15/12/11 10:51 · MS 2014

    한심한 내신이 뭣도없는 스펙으로 커버쳐진게 신기할 따름인 학종러 추가요;;

    솔직히 스펙빨 잘 모르겠네요. 뭘 하든 열심히 한 흔적을 남겨야죠. 내신이라면 더더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