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수능 영어를 가장 효율적으로 푸는 방법 1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0419978
수능 영어를 가장 효율적으로 푸는 방법 1편
듣기 때 18~29 / 43~45를 다 푸는 방법입니다
우선 제가 영어 관련 글을 찾아보면서 느낀 건
듣기 때 독해 푸는 방법이 되게 여러가지더라구요
어떤 분은 듣기 때 그냥 듣기만 하겠다! 하는 분들도 있고
듣기를 들으면서(?) 독해를 푸시는 분도 있고(전 못합니다)
아니면 듣기 사이사이 텀이 있을 때 푸는 분들도 있는 것 같아요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듣기 사이사이 텀이 있을 때 독해를 푸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
하지만 당연히 이렇게 말씀하시겠죠..
“아니 나는 그때 독해를 풀어도 몇문제 못푼다니까?”
그래서 소개드리고 싶은 방법이 바로 이것입니다.
저는 이걸 예측듣기라고 명명하고 싶습니다.
위 사진은 2025학년도 수능 15번입니다
오답률 top 10안에 들은 것으로 알고 있어요
듣기를 직접 들을 순 없으니 눈으로 쓱 훑고 풀어보시죠.
제가 이 문제를 현장에서 푼 사고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소피아와 잭은 남매군..콘서트에 가네.. 잭은 1시간 일찍 가자고 했구나..아 근데 소피아는 몇번 가봤구나.. 오래걸려?“
”그럼 일찍 가자고 해야겠네”
저는 그래서 실제로 듣기를 다 듣지도 않고 중간에 선지 훑은 다음에 2번과 5번을 남겼습니다(훑자마자 2번을 찍는 건 위험합니다)
그리고 다른 친구들은 열심히 들을 때 저는 미리 선지를 보면서 생각을 한거죠
“음..똑같은 내용인가? 아 leaving이니까 콘서트 끝나고 얘기를 하는거구나 이거 은근 낚이겠네 ㅋㅋ”
실제로도 얼마 되지도 않는 사고과정이지만 현장에서는 1초면 충분합니다
실제로 저는 듣기 모든 문제를 이런식으로 풀이합니다.
문제에 끌려가서 남들이 넘길 때 넘기는 게 아니라
듣기의 내용을 주체적으로 예측해서
쟤는 왜 벌써 넘기지? 싶을 정도로 빨리 풀이하는 것입니다.
실제로 듣기 풀 때 저보다 시험지 빠르게 넘기는 친구 한번도 못봤습니다. 저랑 비슷하게 넘기는 친구는 봤어도요
(물론 계산 문제나 물건 사는 문제, 그림 일치문제에는 해당되지 않습니다)
대단한 내용도 아니고 누군가는 하고 있는 내용이지만
남들처럼 푸는 것보다 이렇게 푸는 것이 두배는 빠르다고 단언할 수 있습니다
처음에 이 방법이 어려울 수 있어도
한 5번만 반복해서 해보시면 이 방법이 위험성도 없으면서 속도는 올라가는 괜찮은 방법이란 걸 아실겁니다
그렇다면 이렇게 듣기를 빠르게 풀었을 때 독해는 어떤 순으로 푸는 것이 좋을까요?
물론 난이도에 따라 달라지지만
저는 1~5번까지 18~20 / 25~29를
6~12까지 25~29 / 43~45를
13~17까지 21~24를 풀게 됩니다
사실 그래서 21~24가 어려운 경우에는 듣기가 끝나고도 다 못푼 경우도 있긴 합니다
그렇더라도 시간에서 이득을 봤다는 점은 부정하기가 어렵습니다
21~24를 뒤로 빼는 이유는
듣기 중 풀 수 있는 문제 중에서 가장 고난이도이기 때문이죠
어차피 16~17 두번 듣는 분들 없잖아요?
두번째 들려줄때부터는 그냥 귀마개 끼고 쭉 푸시면 됩니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문제별 약간의 팁을 드리자면
18번은 아래 세네줄만 읽어도 되고
19번은 맨위 한두줄 맨아래 한두줄만 읽어도 되고
20번 또한 별 일 없다면 맨아래 세네줄만 읽어도 답 나옵니다
(2506이 좀 특이한 케이스입니다 / 그런 경우에는 그냥 처음부터 읽으시면 됩니다)
25번은 45321순으로 확인하시고
26번은 선지에서 지문으로 역추적하는 게 더 빠릅니다
27/28은 4/5번에서 웬만하면 답 나오고
29번도 별 이상 없으면 해석 필요 없이 앞뒤먼 살짝 따져주면 되고
40번은 요약문 보고 선지 추려서 지문에서 확인만 한다는 느낌으로 가시면 됩니다
2편은 “해석은 되는데 답이 안나오는 경우”에 대해서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질문 있으면 댓글 남겨주세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아 행벅해
-
비문학은 해도해도 안 올라서 더 열심히 할 생각인데 문학은 진짜 강기본 강기붐 다...
-
굿노트? 이것도 돈들어가네 ㅅㅂㅅㅂ
-
아 팀꼬라지 ㅅㅂ
-
롤 일망호 모집 0
하고 싶은데 옯찐따라 안구해질거 앎.. 그게 너무 슬픔
-
비오는날 한의원 0
자야지
-
시험지에 코돈표 만들고 있으면 시간 5분정도 때울 수 있음
-
수능볼때 오르비 했을것 같은데
-
3년을 이용했을때여
-
아. 2
아아아아아아아아아아아아아아아!!!!!!!!!!!!!!!!!!!!!!!!!!!!!!!!...
-
일침을 가장한 온갖 인신공격 하는 케이스 많이봄
-
갓반고 무서운점 0
문제는 수능 or more인데 1컷은 항상 90초반임
-
그렇게 노력 안하면 그 등급 평생 못 벗어난다는 무슨 말이지 이미 2등급 나오는데...
-
병원을 많이 안가봐서.. 가도 되는건지..
-
다시 들어갈까
-
아~편해 아~뒹구르뒹구르
-
도서관 안하네ㅜ 0
모르고 있던 건 아니고 어디서 시간을 보내야 할지가 문제네
-
하 너넨 걍 실모 풀어라..
-
이걸 어캐함 ㅋㅋ 3289142를 작은 숫자부터 말한다? 단기기억 Goat
-
5월은 바쁜달 2
도민체전, 전국대회 두개 뛰는달
-
안녕하세요 '지구과학 최단기간 고정 1등급만들기' 저자 발로탱이입니다. 지난 1년간...
-
팩트는 지난 2주간 누워있었다는것임 아니 사실 지난 1년 4개월간 누워있었음 언제...
-
현역 수리논술러인데 학교에서 하는 독서라는 과목 같은거 챙겨야 하나여? 독서가 자기...
-
약간 다 결과론적 얘기아님?? 솔직히 입학하기전에는 어떤애들 올지 잘 모르잖아
-
신청하신 분들 연락받은 거 있나요? 4월까지 서류확인에 5월부터 지급이라던데 서류...
-
출근도장 8
쾅쾅쾅!! 나도 근로자로 쳐주면 안댈까요..?
-
작년에 비해서 올해 쓰는 글들 보니까 뭔가 동글해진 것만 같아요
-
얼마나 어려운거죠 오늘 시험보는데 실감이 안되네요
-
6모를 보면 이정도는 나와야지 그래도 세달 공부핸는데~정도가 어느정도인가여? 전...
-
투표완료 2
-
스블 완강 후기 5
난 아직 기출 더 봐야댐 기출 재대로 하구 허드릴링 같이 해야지
-
저랑 친구해주세요 ! 22
저랑 친구하시면 혜택: 맨날 숏츠 노래 불러줌 엉덩이 때리기 가능 (다소 강요)...
-
부산대,경북대,인하대 공대가려면 정시 성적 최소 몇받아야해요? 9
알려주세요 선생님들 사탐2개에 언매 미적or 기하한다치고요! 서강 기하 200일...
-
나레테 시마와나이데~
-
검정고시 출결 1
올해부터 연고 정시 내신반영 출결도 반영하는걸로 아는데 검정고시는 출결 감점처리...
-
근로자의날개꿀
-
학교왔는데 아무도없어 근데 왜 사장은 말안해준거야
-
3강/60강이라...라이브? 같은거는 어떻게 듣는건가요??
-
https://m.cafe.naver.com/ca-fe/web/cafes/233803...
-
https://orbi.kr/00073000073/%5B%EC%B9%BC%EB%9F%...
-
ㄱㅁㄴ 0
잘자요
-
수학 도와쥬새요 0
수학 입문 엔제 시작하려고하는데 냅다 4규 하루4점 한완기 있는데 뭐부터해야할까…...
-
24 기준 56489 200일의 기적 만들어 보겠습니다 ㅋㅋ(작수는 알바하느라 안침...
-
일어나 12
넵
-
신발이 화나면? 2
나 화났슈~ 우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
-
등교합시다 3
넵 사호선 출근길
-
ㅇㅂㄱ 10
-
어우머리야 8
어째서 4시간밖에 못잔것이지
-
작 고3 9모 4 5 3 ? ?( 이때 사탐런 정법 사문 했는데 탐구 시작도 안해서...
-
살짝 긁힌다 8
고등학교 때가 제일 좋았다는 한탄들 나 살짝 긁혀 너네 때려 죽여도 중간보고...
이거보고 핫게 예측해서 개추 눌렀다
내가 영어만 2였어도 문사철이 아니라 경영이었을텐데.. 이런걸 알았다면
그냥 다 그읽그풀해서 풀면 원래 15분정도씩 남는거 아님?? (진짜 모름)
아닌 분들이 많으니까 쓴거긴 해요
엄ㅋㅋ
그냥 비틱좀 해보구 싶었어요...
캬
상상도 못했네
저거 leaving 다시 보니까 분노가 치밀어오르네
교수들 저거 문제 만들때 애들 낚일거 생각햇겟지/p>
제가 듣기에서 선지를 남기는 경우 자체가 되게 귀한데 그랬던 걸 보면 의도한 거 같긴 합니다
아 그리고 far in advance 이게 무슨뜻인지 애매햇네요

잘 읽고 갑니다듣기 15번 지금 보니까 국어 8번, 기술 지문 전체랑 사고방식이 똑같네요.. (시간에 대한 이항대립)
이게 25수능의 트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