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은 낭만이 아님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0333256
그 어떤 방법을 써서라도
본인이 처한 상황에서
최대의 점수를 받을 수 있다면
그 길을 택한 뒤에
빠르게 성불하는게
진정으로 현명한 판단입니다.
공대 갈 거니까 과탐해야지?
수능 과탐 타임어택 퍼즐을 푸는 것과
대학 물화생 사이의 연관성이 있을까요?
수능을 치는 목적은
자신이 원하는,
좋은 대학의,
희망하는 과를,
지원하기 위함입니다.
자신의 문제풀이 능력이 좋다고 자랑하는 용도
나는 IQ가 높다고 선언하는 용도
본인 처리속도의 우월함을 증명하는 용도
이런 게 아닙니다.
당신이 과학탐구를 선택했다고 해서
전 세계 그 누구도 알아주지 않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선택3틀도?
-
걍 3 겸허히 받아들여야겠죠 문제는...백분위 87은 떠줬으면 좋겠는데 그것도 불가일까요
-
근데 왜 진학사 평백에 4 곱하면 소수가 나오는겨
-
중간으로 계산때렸는데 96.46..? 이면 96인거죠? 진짜… 올해 상위권 유입...
-
우흥
-
언매가 엄청 쉬운 느낌은 아니었는데 언매>= 화작 느낌이네요
-
순수정시파는 이제 사망이다
-
공틀96은 4
100 나오는거임?
-
45 41 37
-
그래도 도형적성 타는 건 있고 다만 공도 <<<< 얘가 잘못하면 10분 20분 박고...
-
한지 사문 백분위 74 89였는데 65 85로 떨어졌습니다
-
시대갤 추정인데 이대로면 진짜 꿀 아님?
-
ㅋㅋ..
-
정상화되겠지?
-
메가스터디나 ebs 이투스 봐도 1컷이 88은 절대 안 넘어가는데 그냥 장난이겠지??제발ㅠ
-
수학 가형에 언매 멸망이라니 ㅋㅋ
-
물1멸망 1
ㅅㅂ
-
만백 96 예상하고 다들 조롱 ㅈㄴ했는데
-
수학 컷 높아져서 표점 낮고 변별력 사라지면 국어 탐구 잘친놈이 유리한건가요?...
공감합니다
저도 공대와 과탐의 '내용'간의 관계는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공대에 가보면 알겠지만 고등과학은 대학과학의 매우 일부분을 다루고 있기 때문에 학과 공부를 한다면 처음부터 다시 시작한다는 느낌이 들게 됩니다
그래서 흔히 사탐공대를 막아야 한다고 주장하시는 분들의 헛소리 중 하나가 과탐을 안하면 공대 수업을 못따라간다입니다
그러나 과탐의 '문제'에 초점을 맞춘다면 얘기가 달라질 수 있다고 봅니다
사탐과 달리 추론형 문제들이 다수 포진되어 있는 시험이기 때문에 난이도가 높은건 사실입니다
반대로 사탐에도 과탐만큼의 추론형 문제들을 주로 출제한다면 난이도에 대한 우위는 없어질것이구요
그리고 이 기조가 대학에서도 어느정도 이어지고 있구요
인문대학의 시험이 암기 위주라면 자연대학 시험은 추론 문제를 많이 풀게되곤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교차 지원시 사탐만을 공부한 학생들이 추론형 문제에 익숙하지 않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따라가기 힘들 수 있다는 주장은 어느정도 동의하는 바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탐구는 입시를 위한 수능 과목이기 때문에 본인의 역량에 따라 선택하는 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공대를 가고 싶지만 과탐 점수가 도저히 안나온다면 사탐으로 교체하여 현 제도를 활용하는것이
진정으로 현명한 수험생이지 않을까 싶네요
전문에 전적으로 동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