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 황분들 극한 질문입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0333231
근의 좌극한값을 a로 놓으면, a의 우극한값이 근이 될것이라고 생각했는데 다른분들이 (극한은 상쇄라는 개념이 없어서 불가능하다) (극한의 정의상 불가능하다)라고 답해주셨는데 정확히 뭔말인지 모르겠습니다....
왜 제 생각이 틀린건지 설명 가능하신 고수분 계신가요ㅠㅠ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김현우 스탠다드 4
스탠다드 책만 푸는거 괜찮나여
-
아파서 일주일째 책 못피는중임ㅇㅇ 그냥 앉는것 자체가 힘듦 중간고사 20일 남음 아...
-
으로 닉 바꾸고 하니프사함 ㅅㄱ
-
포기하겠습니다 1
근데 포기하기 전에 다 포기당해버렸다
-
저분 맞나 4
라온이가 힐을줘님 라온힐조님 맞나 ?
-
자동차 소리 신경쓰이지 않음?
-
과탐 사탐 동일시간 투자한다 했을 때 과3사1임 아님 과4사1임? 과탐을 특출나게...
-
ㅈ반고수시 지역인재 농어촌 이런게 너무 화가 남.... 중학교 때 전교 1등 하고...
-
ㅇㅇ
-
많긴하다진짜 1
-
ㅈㅅㅇㅂ이 몇명이야
-
너많따
-
동생 독서실에서 공부하다 드라마 하루에 한 편 보길래 드라마 작작보고 공부해라 누군...
-
현고2 정시를 준비하고 있는 학생입미다! 수2개념을 시발점으로 느리지만 꼼꼼히 잡고...
-
프사좀 바꾸자 1
팜하니 프사단 머지다노 ㅋㅋㅋㅋㅋ
-
나는 한번 정액의벽해봐? ㅋㅋㅋㅋㅋ
-
2026수특 곱셈정리까지 레벨3 전문항 경로 활용 연습문제 24학년도 6평 30번...
-
감귤 10
-
남미새 가자
-
존나 최고다 내가 낯간지러워서 직접 말은 못하겠다만 사랑해 친구들아
-
올해 들어서 이렇게 재밌는 영상 처음 봄
-
이원준 듣다가 갈아타려고 해요 글을 좀 너무 형식에만 치중해서 읽게되기도 하는 것...
-
인생에 항복합니다
-
ㅅ바오 돌아와 0
엉엉
-
저는 이매진 상대분은 상상모 구하시는 거로.. 호옥시나 있을까 싶어서
-
https://naver.me/55rQNhHl 변호사 수익 상하방 차이가 넘 심해서...
-
하루에 두명씩 쓴다매ㅠ
-
오늘은 금요일이니 빈칸으로 연습 해볼게요 The spacecraft...
-
1시 반에 자야겠다
-
슬슬 자볼가 6
ㅂㅇ
-
맥주 한 잔만 마신 나 자신 칭찬해
-
어느 작은 우체국앞 계단에 앉아~
-
추워 6
이불안에들어가잇기,,
-
제목 그래도 지거국 공대 목표입니다. 나이는 23살이고 군 전역 후 2학년...
-
그 사랑이 아파도 기다릴게 여기서 나
-
맞팔하실분 1
구합니다
-
게토레이엔딩일줄 ㄷㄷ..
-
점심 간짜장 저녁 불고기 피자 야식 황올 맥주
-
서울대 지망이라 영어를 드랍하고 싶은데(사실 거의 드랍인 상태긴해요) 또 혹시...
-
밤꽃 6
ㅇ
-
그렇다 5
나는 정벽이의 단단하고 고결한 내면이 좋았었다 그는 없다
-
젠장 12
난 또 기만을 봐버렸어 오르비하면 잘생기지 마라
-
잇올에서 5
동성이랑 눈 마주치면 싸우자는 의미 맞죠?
-
고2도 더프 칠수 있는 학원 없음???
-
아침마다 ㅈㄴ기분안좋고 오전내내 기분 안 좋은데 공부 시작하면 공부에만 집중해서...
-
햄 이거샀는데 2
어떤지 평가좀
-
우아한 논술 학원 다녀보신 분 있을까요?
-
..
뭔 소린지 모르겠어요
근의 좌극한을 a라 할때, a의 우극한이 왜 근이 아니냐는 질문같아요
상수에다 극한을 왜 걸어요? ㅋㅋㅋ
근의 좌극한값이라는 게 f(x)에 리미트를 근-로 때린 건가요?
네 이 말 같아요 제가 잘못 말했네요
근데 어쨌든 이 사람이 그린 건 이차함수고 이차함수가 아니라고 한들 해석학을 배운 게 아니고서야 좌극한이 존재할 수 없는 함수를 생각하고 말했을 리는 없는데
a우극한은 a에 가까워지는 거죠
이게 무슨 뜻인지 모르겠는디
우극한 값으로 유의미한 상수를 정할 수 없음
A가 근 아님?
극한이랑 애초에 정해진 상수랑 같은 선상에 두면 안되는거 아님?
https://orbi.kr/00070266182
답변해주시려는 분들 이 글 보고 오시는게 이해 빠를듯요
아 뭘 보고 이런 소리를 하나 했는데 저거구나 ㅋㅋ
혹시 왜 제가 잘못된건지 아시나요?
그.. 그 문제에서 a를 근보다 아주 살짝 작게 두면 어떻게 되냐 이거잖아요?
아래 분이 실수의 완비성이라는 걸 언급해주셨는데
그게 뭔지 대충 설명하면
임의의 실수 x와 y를 골랐을 때 x < k < y인 실수 k가 반드시 존재한다는 의미입니다
그래서 그런 식으로 생각하시면 안 돼요
그러니까 a를 근보다 아주 살짝 작게 뒀을 때 우극한이 근이 나오는 a를 우리는 찾을 수가 없어요
얼마나 작은 차이로 왼쪽으로 두든지 간에 일단 차이가 생기면 그 사이에 수가 무한히 많이 생깁니다
미천한 저를 이해시켜주시다니 정말 감사합니다 ㅠㅠ
'실수의 완비성'

제발 도와주세요....저거땜에 정신병걸릴것같아요a보다 아주 미세하게 작은 수의 우극한이 a를 넘을 수 있냐를 물어보는 거지?
a라는 값의 좌극한이 존재할텐데
그 좌극한값에 우극한을 취하면
원상태의 a로 돌아오는것이 아닌가?
가 질문이에요....ㅠ
이거 읽어보셈
https://ys.orbi.kr/00063066874
일단 좌극한에 우극한을 취한다고 원래값으로 돌아오지 않음
이런 개념이 있다는걸 오늘 알았네요...
감사합니다 ㅠ
님이 뭘 물어보는 건지 모르겠음 ㅜㅜ
https://orbi.kr/00070290120
이 글입니다 도와주세요 ㅠ
좌극한이라는게 값이 아니고 걍 계속 가까워지는 상태라고 생각하시는게 편할 듯 좌극한이 상수가 될 수 없음
좌극한 값이라는게 어떤 수에 매우매우 가까운 거지 그 숫자가 된다는게 아님 그래서 근에 왼쪽에서 매우매우 가까운 점의 오른쪽으로 매우매우 가까운 점이 근이라고 할 수가 없음

다른 댓글들하고 같이 읽어보니 드디어 이해했습니다 감사합니다!!!!실수의 완비성 ㅇㅇ
굳이 풀어말하면
극한의 정의는
정확히 어떤 방향에서든간에(n차원)
임의로 어떤 반경값만큼의 거리로 근사시킬 때
수렴하는 값이라(없으면 발산)
본문의 근 왼쪽의 값과 근 사이의 거리보다
충분히 작은 양수가 존재해 극한을 취할 수 있어요.
그러니까 근이 우극한이다라는 말은
저 조건에서는 잘못된 표현입니다.

감사합니다 덕분에 새로운 개념 배워갔습니다!제가 설명드린 개념이
미적분학과 해석학의 기초 원리이기도 해요
자연대나 이공계를 지망하시면 꼭 자연스럽게 숙지하시길

몇일동안 헤맸던거라 짜증났었는데 알고보니 재밌네요
여러분들 진짜 감사합니다드디어 알았네요
저런 개념이 있는지 처음 알았어요 진짜 감사합니다 ㅠㅠ
방정식 f(x)=0의 실근 중 하나가 x=k이고, k보다 작고 k에 한없이 가까운 갑승ㄹ a라고 한다면 k=a입니다.
새로운 개념인 것이 아니라 함수의 극한 개념 자체입니다!
너무 어렵네요 극한 ㅠ
예시로 다항함수를 들어서 햇갈리시는 거 같은데 불연속함수로 들어보면 바로 이해되실 듯
그래도 다른분들 덕분에 이해했슴당
231114네요 ㅋㅋㅋㅋ 논란이 많았죠
이런 유형이 좀 몇개 있더라고요
상-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