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 황분들 극한 질문입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0333231
근의 좌극한값을 a로 놓으면, a의 우극한값이 근이 될것이라고 생각했는데 다른분들이 (극한은 상쇄라는 개념이 없어서 불가능하다) (극한의 정의상 불가능하다)라고 답해주셨는데 정확히 뭔말인지 모르겠습니다....
왜 제 생각이 틀린건지 설명 가능하신 고수분 계신가요ㅠㅠ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2206부터 지금까지 한번도 100점 맞아도 1등급 안뜬 경우는 없었죠?? 14
물론 그런 일이 수능에서 일어나면 폭동각이긴 한데...... 물론 탐구는 그런 일...
-
현재 일반고 3.8입니다. 모의고사 성적은 국 영 수 4 3 3 정도이구요. 사람은...
-
판단해볼까..
-
행복하고 좋은 일들만 생겼음 좋겠다
-
모기땜에 홈매트 킨건데 갑자기 러브버그들이 혼자 뒤져가지고 바닥에 배까뒤집고 누워있네
-
오늘 하루만 해
-
우리입장 말고 평가원 입장에서
-
작수 33314 한국사3 으로 4개가 3등급이었는데 6모는 22112 한국사1 이네 ㅋㅋㅋ ㅅㅅㅅ
-
왜 좋아? 왜 사랑해? 왜 생각나? 그냥 내가 전기신호 잘못주고 호르몬 조절 잘못한...
-
오늘따라 잠이 진짜 너무 안 오는데
-
그대가 보고싶어 3
올해 제대하면 튜닝 끝나고 찾아갈게 ㅇㅇ 우리 수붕수붕 애도낳고 잘살자
-
화1출신 고능아들은 다시 리턴 화1출신인데 저능아(나)는 푸근하게 2등급받고 원과목 1컷표점쟁취 캬
-
뭐 하라하는진 알것같음 근데 그걸 진짜 해야한다고 진짜?
-
하...ㅆㅂ
-
24학년도 수능 19번이에요. 정말 다양한 풀이가 존재하는 문제인데 수많은 풀이...
-
고2 논술... 0
고2인데 갓반고라 내신은 힘들고 남은건 정시랑 논술밖에 없어서 인문논술학원 여름부터...
-
이차곡선부터 막히는거 몇문제있는데 이거 원래 어려운건가요..
-
오목교역이랑 목동역중 어디서 내리는게 나음 조금이라도 적게 걸을려면 러브버그 ㅅㄲ들...
-
고2인데내년에걍 정병훈 기하 들으러 가면 되는거지? 0
미적 드랍하고 한완수 기하 바로 산다
-
슈능낭 고인물 ㅈㄴ처들어오는거아닌가이럼..
뭔 소린지 모르겠어요
근의 좌극한을 a라 할때, a의 우극한이 왜 근이 아니냐는 질문같아요
상수에다 극한을 왜 걸어요? ㅋㅋㅋ
근의 좌극한값이라는 게 f(x)에 리미트를 근-로 때린 건가요?
네 이 말 같아요 제가 잘못 말했네요
근데 어쨌든 이 사람이 그린 건 이차함수고 이차함수가 아니라고 한들 해석학을 배운 게 아니고서야 좌극한이 존재할 수 없는 함수를 생각하고 말했을 리는 없는데
a우극한은 a에 가까워지는 거죠
이게 무슨 뜻인지 모르겠는디
우극한 값으로 유의미한 상수를 정할 수 없음
A가 근 아님?
극한이랑 애초에 정해진 상수랑 같은 선상에 두면 안되는거 아님?
https://orbi.kr/00070266182
답변해주시려는 분들 이 글 보고 오시는게 이해 빠를듯요
아 뭘 보고 이런 소리를 하나 했는데 저거구나 ㅋㅋ
혹시 왜 제가 잘못된건지 아시나요?
그.. 그 문제에서 a를 근보다 아주 살짝 작게 두면 어떻게 되냐 이거잖아요?
아래 분이 실수의 완비성이라는 걸 언급해주셨는데
그게 뭔지 대충 설명하면
임의의 실수 x와 y를 골랐을 때 x < k < y인 실수 k가 반드시 존재한다는 의미입니다
그래서 그런 식으로 생각하시면 안 돼요
그러니까 a를 근보다 아주 살짝 작게 뒀을 때 우극한이 근이 나오는 a를 우리는 찾을 수가 없어요
얼마나 작은 차이로 왼쪽으로 두든지 간에 일단 차이가 생기면 그 사이에 수가 무한히 많이 생깁니다
미천한 저를 이해시켜주시다니 정말 감사합니다 ㅠㅠ
'실수의 완비성'

제발 도와주세요....저거땜에 정신병걸릴것같아요a보다 아주 미세하게 작은 수의 우극한이 a를 넘을 수 있냐를 물어보는 거지?
a라는 값의 좌극한이 존재할텐데
그 좌극한값에 우극한을 취하면
원상태의 a로 돌아오는것이 아닌가?
가 질문이에요....ㅠ
이거 읽어보셈
https://ys.orbi.kr/00063066874
일단 좌극한에 우극한을 취한다고 원래값으로 돌아오지 않음
이런 개념이 있다는걸 오늘 알았네요...
감사합니다 ㅠ
님이 뭘 물어보는 건지 모르겠음 ㅜㅜ
https://orbi.kr/00070290120
이 글입니다 도와주세요 ㅠ
좌극한이라는게 값이 아니고 걍 계속 가까워지는 상태라고 생각하시는게 편할 듯 좌극한이 상수가 될 수 없음
좌극한 값이라는게 어떤 수에 매우매우 가까운 거지 그 숫자가 된다는게 아님 그래서 근에 왼쪽에서 매우매우 가까운 점의 오른쪽으로 매우매우 가까운 점이 근이라고 할 수가 없음

다른 댓글들하고 같이 읽어보니 드디어 이해했습니다 감사합니다!!!!실수의 완비성 ㅇㅇ
굳이 풀어말하면
극한의 정의는
정확히 어떤 방향에서든간에(n차원)
임의로 어떤 반경값만큼의 거리로 근사시킬 때
수렴하는 값이라(없으면 발산)
본문의 근 왼쪽의 값과 근 사이의 거리보다
충분히 작은 양수가 존재해 극한을 취할 수 있어요.
그러니까 근이 우극한이다라는 말은
저 조건에서는 잘못된 표현입니다.

감사합니다 덕분에 새로운 개념 배워갔습니다!제가 설명드린 개념이
미적분학과 해석학의 기초 원리이기도 해요
자연대나 이공계를 지망하시면 꼭 자연스럽게 숙지하시길

몇일동안 헤맸던거라 짜증났었는데 알고보니 재밌네요
여러분들 진짜 감사합니다드디어 알았네요
저런 개념이 있는지 처음 알았어요 진짜 감사합니다 ㅠㅠ
방정식 f(x)=0의 실근 중 하나가 x=k이고, k보다 작고 k에 한없이 가까운 갑승ㄹ a라고 한다면 k=a입니다.
새로운 개념인 것이 아니라 함수의 극한 개념 자체입니다!
너무 어렵네요 극한 ㅠ
예시로 다항함수를 들어서 햇갈리시는 거 같은데 불연속함수로 들어보면 바로 이해되실 듯
그래도 다른분들 덕분에 이해했슴당
231114네요 ㅋㅋㅋㅋ 논란이 많았죠
이런 유형이 좀 몇개 있더라고요
상-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