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교 대비 중3 국어 학습 전략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0261928
학원에서 국어를 강의하며 매 년, 무더운 여름이 지나고 선선한 가을이 찾아오면 중3 학부모님들과 상담을 많이 하게 됩니다. 아마도 고등학교 입학을 앞 둔 지금의 시간을 어떻게 보내느냐에 따라 고등학교 성적이 많이 달라질 것이라는 염려 때문일 것입니다. 이때 많이 물어 보시는 내용은 크게 ‘고등학교에 입학에서 배워도 될 내용을 미리 공부할 필요가 있는가?’, ‘무엇을 어떻게 공부해야 하는가?’의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고등학교에 입학에서 배워도 될 내용을 미리 공부할 필요가 있는가?
대부분의 학생들은 국어를 고3이 되면서 공부하기 시작합니다. 수학이나 영어가 어렵고 중요하다 보니 두 과목을 우선 공부하고 상대적으로 쉽게 느껴지는 국어는 나중에 하면 될 것이라는 생각 때문일 것입니다. 고3이 되기 전까지 두 과목의 성적을 올려서 국어를 공부할 시간이 많이 주어진다면 그것이 가능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현실은 대체로 학생들의 상황이 그렇지가 못하다는 것입니다. 고3이 되어서도 두 과목의 공부 시간을 줄이지 못해 국어를 공부할 시간이 상대적으로 많지가 않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고3이 되어서도 학교에서 수능 시험만 준비할 수 없는 것이 현실입니다. 고3 1학기 학교생활을 보면, 3월은 바뀐 환경에 적응을 해야 하고, 4월은 중간고사를 준비해야 하고 6월은 기말고사를 준비해야 합니다. 여름 방학 이후에는 자기 소개서를 쓰면서 수시 준비로 바쁜 시간을 보냅니다. 거기에 여러 학교 행사에도 참가해야 하므로 수능 시험에 전력할 수 있는 시간은 실제로 얼마 되지가 않습니다. 이런 이유로 고3이 되어서 국어를 공부해서는 성적을 올릴 수 없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국어는 공부해도 성적이 오르지 않는다.’, ‘3월 성적이 수능 성적과 동일하다.’ 등의 잘못된 편견을 갖게 되는 것 같습니다.
국어! 공부하면 성적이 오릅니다. 물론 그 시기와 방법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국어에 대한 잘못된 생각을 갖고 있는 학생들과 부모님들도 많이 계신 것 같습니다. 국어는 수학이나 영어 등의 다른 과목과는 성격이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수학이나 영어처럼 그냥 문제를 많이 푼다고 해서 성적이 오르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학원에서는 내신이든 모의고사든 기출 문제를 편집해서 풀리는 양치기 수업을 합니다. 이런 수업으로는 어느 정도까지는 성적이 오르지만 결코 1등급의 고득점을 얻기는 어렵습니다. 그래서 3등급에 멈춰 선 성적 때문에 주변의 친구들이나 선생들과 상담을 하게 됩니다.
고3이 되기 전에 국어의 기본이 되는 어휘, 문법, 비문학 독해 방법, 문학 독해 방법 등을 미리 공부하기를 권해 드립니다. 가장 좋은 시기가 고등학교에 입학하기 전이라고 생각합니다. 상급 학교 진학에 영향을 주는 내신에 대한 부담이 없어서 국어의 기본만을 다질 수가 있기 때문입니다. 국어는 고3이 되어서 하는 것이 아니라 고등학교에 입학하기 전에 하는 것이 맞습니다.
무엇을 어떻게 공부해야 하는가?
고등학교에 입학하기 전에는 국어의 기본을 공부해야 합니다. 이때 국어의 기본은 어휘, 문법, 비문학 독해 방법, 문법 독해 방법을 말합니다. 이런 국어의 기본을 공부하고 입학하면 학교 수업을 쉽게 이해할 수 있기 때문에 모의고사뿐만 아니라 내신 대비도 쉽게 할 수 있습니다. 고1때는 대부분의 학교에서 공통 국어를 공부합니다. 이때 학생들이 어려워하는 부분이 문법입니다. 문법 공부를 미리 해 두면 학교 수업을 어렵지 않게 들을 수 있고 내신 대비도 쉽게 할 수 있습니다. 또한 국어 독해 방법을 수능이나 평가원 기출 문제 풀이에 적용하여 체득화하기를 권합니다.
고2때는 수능이나 평가원 기출 문제 풀이를 통해 수능 시험의 배경지식이 되는 현대시, 고전시가, 소설 등의 문학 작품과 경제, 철학, 과학 등의 비문학 제재를 많이 공부하기를 권합니다. 고2때는 학교에서 문학이나 독서를 공부하기 때문에 모의고사뿐만 아니라 내신 대비도 쉽게 할 수 있습니다.
고3때는 시험 현장과 동일한 환경에서 문제를 푸는 실전 연습이 중요합니다. 실전 문제 풀이 과정을 통해 자신이 부족한 부분을 알 수 있고 그 부족한 부분을 미리 채우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국어 공부는 예습이 중요합니다. 학교에서 수업할 내용을 미리 공부하고 학교 수업을 듣는 것이 중요합니다. 내용을 이해할 수 있어 수업이 재미있고 선생님들께 좋은 인상을 줄 수도 있습니다. 예습을 하려면 스스로 읽고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좋은 국어 수업은 교과 내용을 풀어서 설명하여 단순히 이해시키는 수업보다 학생 스스로 이해하고 적용시킬 수 있는 능력을 길러 주는 수업이라고 생각합니다. 좋은 선생님은 학생들의 독해력과 사고력을 길러 주는 수업을 하기 위해 늘 준비하고 노력하는 분이라 생각합니다.
자라온 성장 과정이 다르다 보니 학생들마다 성향이 다르고 학업 수준에도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고등학교 대비 중3 국어 학습 전략’에 대해, 대부분의 학생들에게 공통적으로 해당될 수 있는 내용으로 간략하게 설명을 드렸습니다. 학생들의 미래를 생각하는 ‘나무와 샘 국어 교육’은 학부모님들과 수험생들의 무료 상담을 진심으로 환영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1시간째못깨서울엇어...
-
철퇴로 정수리를 내리쳐주세요
-
사람 됨
-
잠들면 잡니다 3
자는 시간을 정하는건 바보 짜피 그 때 못 잠
-
수학 N축 적용 0
N축 그냥 오르비 어떤분께 배워서 잘 모르는데 이럴때 적용하는거 맞나요..? 푸니까...
-
난 7시 큰일났구나ㅏ 난 망해써
-
훨씬 더 멋잇게 풀어낸 인생업적도 잇는데 어디갓지........
-
주말에는 방에서 오만거 다할 수 있어서 좋네 유후
-
엔믹스 오혜원 아이브 윈터 에스파 안유진
-
또 결국엔 나만 남는 진짜 ms를 보여줘야겟군 난 11시는 되야 자
-
스카 존나 멀음 5
왓다갓다하면 그게 운동임
-
옯붕이 독서실옴 1
우으 문 잠겨있어서 다시 집감
-
음 아주 마음에 들어
-
새기분 3
5월에 시작해도 안늦나요?
-
진짜들의시간이다
-
방법은 상관없습니다
-
막 컴퓨터 얘기하고 전공 얘기하고 술 들어가니까 내가 그러더라 ㅅ발
-
캬캬
-
BD와 CP의 교점, AC와 BP의 교점, AF와 DG의 교점, AC와 BD의...
-
거실에 0
아빠가 자고있음 화장실가면 깨려나
-
잘 4
자요
-
뭐라도 할까 7
으음..
-
낭만의 언기물지 4
참가부탁
-
안되는 것을 될수도 있는 것으로 착각해서 여기까지 왔는데 안되는 것을 깨달았지만...
-
수학할 땐 맨날 새로웟는데 말이지
-
인설의 목표인데 지구랑 너무 안 맞고 점수 잘 나와본 적 없음 외우는 거에...
-
다 덮인 앞머리 있는 상태로 나가는 걸 존ㄴㄴ나 싫어함
-
레전드 ㅋㅋ, 2명은 부모님이심
-
관심없으면 아예 사실 지금 반 애들 이름도 모름 아직
-
물갈이 빠르네
-
미용실가서 생애처음 펌도 해봤고 무신사에서 옷도 사봤고 다이어트도 많이 해봤고 그냥...
-
행복하지마요 2
행복하려면 사랑한 날 잊어야 하잖아 가시가 박힌듯 숨쉴때마다 눈물이 흘러와 사는게 사는것이 아니죠
-
친구 만들까
-
눈물이 2
주르르
-
사1 과1 하시는 분들이 많이 보이시는데 사1 과1의 장점이 뭐라고 생각하시나요?...
-
잠은 짜피 못 잔다리
-
ㄹㅇ 성형 어쩌고 하는것도 막 엄청 잘생겨지고 싶어서 그런게 아니라 최대한...
-
뛸 준비하기
-
오마이갓 5
불끄고 폰하니까 눈에 피로감이 으읔
-
나답군
-
행복한 상상 하자
-
잘거야 4
7시에 기상해야해 짜증도 자고일어나면 풀리겠지?...
-
달리살기. 1
누울 때 일어나고 일어날 때 걷고 걸을 때 뛰고 뛸 때 날기
-
센츄 다신분들 0
저도 이번 3덮 국수 표점으로 신청하고 싶은데 계열기준에선 1% 넘어기고...
-
3옥레 성공. 4
하나레 바나레에테모 토키메에쿠모노오
-
ㅈㄱㄴ
-
내 스크랩은 6
90%는 컨텐츠 리뷰 글나머지는 탐구 칼럼
-
사실 새디스트임 2
ㄷㄷ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