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공부하면서 느낀점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0232260
작수 밀린 것 없었다면 (가채점상)
88 백분위 98
올해
97 백분위 99 나왔습니다 (올해는 가채점 다 적고 시간남아서 OMR 대조까지 다 한거라 밀릴 일은 없을 것 같네요)
내용은 사견이 많으니 적당히 걸러 보시는거 추천드립니다.
1. 국어 공부는 왠만하면 한 선생님 커리 쭉 타시는거 추천드립니다. 또 국어 문제를 풀 때의 순서와 같은 것도 왠만하면 한 방법대로, 수능때도 평소에 풀던 순서로 푸는거 추천드립니다.
물론 저는 고등학교 3년동안 지방학원/재수동안 독학 (연계교 일부만 해설강의)을 봤긴 하지만 국어는 과목 특성상 한 방법으로 계속 가는게 맞지 이것했다 저것했다한다면 되려 역효과가 난단 생각이 듭니다.
또한 문제풀이도 고1, 2는 구 체재라 (1~15 화작언매 16부터 공통) 이때까진 괜찮긴 하지만, 고3부터는 왠만하면 풀이 방법이라던지 순서등은 고정하는걸 추천드립니다. (다만 처음 고3 모고를 풀어보는 시기에는 자신이 독서/문학/선탁 중 어디가 약하고 어디를 잘 할 수 있는지 제대로 확인하고, 버릴 지문이 있는지, 어떤 것을 뒤로 뺀다면 집중력 고갈때문에 실수가 난다는지 등의 요소를 종합적으로 파악해서 푸는 순서를 결정드리는 걸 추천드립니다.)
저같은 경우에는 1->45까지 순서대로 푸는 것이었는데 고3과 재수동안 모든 실모+모고를 이 순서대로 풀었습니다.
+ 또한 국어평소 풀 때 자신의 페이스를 확인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생각이 듭니다, 타 과목도 공통적인 내용이지만 시간 압박이 있다면 이는 필수란 생각이 듭니다.
예를 들어 저는 독서론 5분/독서 문제당 2분/문학 25분/언매 15분을 평균치로 잡고 평소보다 밀리면 어렵다고, 그보다 빠르면 좀 쉬운거다 생각하고 긴장을 하면서 풀었었습니다. 이건 사람마다 다르니 자신만의 페이스를 찾아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물론 위 둘 다 커리를 듣거나 문제가 생기거나 시간 관리가 안되는 등으로 인해 순서를 바꿔야겠다 싶으면 틀더라도 반드시 수능에 가까워질수록 원래 하던대로 하는게 중요합니다. 저같은 경우에도 작년 수능은 문학 이슈로 인해서 중간에 언매 먼저 풀다 35번에서 막혔고 그로인해 시간이 촉박해져서 밀려버린 사태가 생긴 것 같습니다.
2. 급하게 읽을수록 더 꼬입니다.
물론 사람마다 독서 배경지식이 있어서 선지만 읽고도 답이 나오거나, 문학 서술상 특징 같은 경우에는 대부분 답이 아니게 되는 경우가 존재하긴 하지만, 결국 우리는 주어진 지문을 읽고 이해하고 문제를 푸는 게 목표입니다.
그래서 독서 지문 먼저/문학 작품 먼저 읽고 푸는게 맞다고 저는 생각이 듭니다. 그리고 안 읽힌다고 빨리 여러번보다는 한번에 제대로 읽고 이해하고 넘어가는게 시간적인 측면에서도 덜 소요됩니다.
(이 부분 방법론적인것은 Cogito Ergo Sum님께서 적으신 칼럼에서 잘 설명하고 계시니 읽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저도 해당 칼럼을 읽고 많은 걸 얻어갔었습니다.)
또 개인적인 추천은
이번 수능 독서론에서도 나온 거지만 밑줄을 적당히 그으면서 읽는 것도 중요하고 / 문학 작품 끝에 나오는 작가와 제목은 연계공부를 했다면 상당히 큰 힌트가, 공부를 하지 않았더라도 주제와 연관된 내용을 어느정도 추론할 수 있는 힌트라고 생각이 듭니다.
3. 국어 공부할 때는 시간에 맞춰서 오전에, 그리고 해당 시간동안은 확실하게 집중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제가 수능 직전에 기출 볼때 봤던 모 교재에도 똑같은 내용이 있었지만, 결국 수능 첫 교시로 치는데다 아침에 치니 컨디션 관리를 평소에도 잘해야 수능장에서도 평소 실력을 발휘할수 있다 생각이 듭니다.
또 개인적으로 이 부분에서 추천드리는건 국어 모의고사를 풀때 안 좋은 상황도 반드시 경험해보시길 바랍니다. 컨디션은 최대한 좋은 상태이지만, 수능 시간 방송이 나오게 하고 그걸 들으면서 치고, 그리고 여러 백색 소음과(특히 한숨, 다리떠는소리 두개는 예민하면 되게 거슬릴때 많으니 이거 두개는 설정해주시는 것이 괜찮을 것 같습니다), 책상 공간을 미리 줄여놓는 어떤 환경이 나올지 모르니 대비를 하는걸 추천드립니다.
또한 이와 연관되는 내용으로, 실모 어려운 것만 풀기 보다는 좋지만 가끔은 쉬운 것, 익숙하지 않은것도 풀어보시는걸 추천드립니다. 갑자기 올해 9월처럼 쉽게 나오거나 올해 수능처럼 독서 배치 바뀌는 등의 요소도 언제 바뀔지 모릅니다.
맨날 칼럼을 보기만 하다가 아직 채점결과도 안나왔는데 할게 없어서 적어본 것 같네요.
아무래도 이렇게 장문은 처음 적어서 내용이 중구난방이고 이상할 수도 있지만 모쪼록 잘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 외에도 공부 방법적인것은 제가 보편적인 수단인 인강 커리를 아예 안 탔기도 하고 개인적인 부분이 너무 강해서 물어보시면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좋아요 0 답글 달기 신고
-
걍 기출부터 할까
-
왤케 배부르지 4
음냐링
-
작수 언매 미적 영어 사문 지구 94 87 1 95 74고 지구버리고 한지하는중인데...
-
준비가 많이 다르나? 수능 준비하다가 내신 보는거 아닌가? 어떻게 접근 해야하지?
-
오렌지다
-
2학년때는 학점을 잘 받아야하지만 아직 정신을 차리지 못한듯 열정이 읍서 열정이
-
문제를 하나 풀었다고 해서 그 문제에 대한 학습이 끝난 게 아닙니다. 하나의...
-
높공인가여
-
끝나고 뒤에 다음수업있던거 깜빡하고 집옴 어쩐지지하철에사람이적더라
-
한화 이글스는 2
왜 인기가 많아요?
-
조정식 voca랑 vocabulary랑 책 다르던데 차이 있음? +어플은 뭐임
-
감이 안잡힌다 요즘 수학 내신 교재 뭐씀? 본인은 정석 쎈 했었는데...
-
저녁은 치킨 시켜먹을까 10
맛있는 치킨추천좀
-
과학기술 지문은 진짜 어마어마하다... 풀다가 토할뻔
-
삼수기록 6일차 0
국어 기출 2016수능 항부력 리트300제 2022 4-6 수학 수1 4의규칙 수열...
-
나도 살짝 맘속으로 안 되었으면 하긴 한다만 (솔직히 주변사람들 때문에) 지금 안...
-
참지못함
-
못참잖아
-
2026학년도 서울대 입학전형 안내(2025년 04월01일 발표) 0
2026학년도 서울대 입학전형 안내(2025년.. : 네이버블로그
-
님들 내일뭐할거임? 12
1윤씨 관심없고 공부하기 2.하루종일 뉴스보기,정치커뮤보기
-
반수의 아이러니 4
6월부터 달려서 될 지능이 작년 1년 달려서 왜 안되는
-
의대,약대,서울대 선배들이 직접 본인의 경험담을 공유해주는 무료 세미나가 있어...
-
심각함 곧 죽으려고 그러나
-
높게 잡으면 국숭세가 공대 현실적으로는 인가경 광명상가 공대 갈것 같습니다
-
혹시 시대 수학컨(브릿지,엑셀) 사실 분 계신가요? 3
* 2026 브릿지 4회(판완) * 2026 브릿지 전국 4회(판완) * 2026...
-
"강철용기"
-
반수러라 시간도 없고해서 컴팩트한 전형태t 풀커리 타려는데 들어보신분들 어땠나요? 좋나요?
-
조한창 김복형 정형식 김형두가 기각해서 그냥 기각될듯
-
산에 있어서 ㅅㅂ 다리아파
-
의외로 국어와 비슷한 점이 있다 다만 국어에서 독해하다보면 눈에 들어오는...
-
인용이냐 기각이냐 각하냐
-
07현역정시 설대 심심한 캬
-
설대 말고는 인설공 거의 다 미적기하 가산도 없는 걸 방금 전에 알게 됬는데,...
-
제가 9월에 자퇴해서 2차 검고만 볼 수 있어서 학원, 학교 응시 다...
-
과팅이 뭐에요? 6
과학 팅커벨?
-
얼버기 10
사실 구라고 학원알바가는중 오늘 하루 힘내봅시다
-
전교과기준 내신 3.8(2학년 2학기까지)이고 생기부는 평범한 편입니다. 마지노선...
-
사문 언제 떡락함?
-
응가 1. 명사 어린아이의 말로, 똥이나 똥을 누는 일을 이르는 말. 2. 감탄사 어린아이에게 똥을 누라는 뜻으로 내는 소리. 1
응가 1. 명사 어린아이의 말로, 똥이나 똥을 누는 일을 이르는 말. 2. 감탄사...
-
26 6 9 수능은 어떨까 2406만 해도 상상도 못한 쉬운 수학
-
현우진 확통 개정 시발점 완강했는데 좀 부족한거 같아서 실전개념 들을려그러는데 추천좀 해주세요
-
작수 12242이긴 한데 언매97 확통89 (둘다 턱걸이) 4합8 맞추려고 본거라...
-
하지만 등급컷표를 보고 물이라 해서 욺
-
‘그림과 같이‘는 왜곡 없이 그래프 준다는 얘기 아니었음? 16
올해 수특 삼각함수 문제인데 실제 그래프보다 좀 많이 왜곡되어있는데 ‘그림과...
-
국어 도식화 1
쉬운 지문은 그냥 잘 읽히는데 어려운 지문은 문장을 납득하는데 주의를 기울이다보니까...
-
한 달에 4번 쉬는 재수생임 보통 쉴때 운동,독서,산책해요 근데 내가 서울 가는걸...
-
베누스 컷 7
으흐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