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 방학 100% 활용하기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0205695
1. 아침에 일어나 하루 스케줄 정리하기
이건 전날 저녁에 해도 괜찮습니다. 전날 저녁이나 당일 아침에 일어나 하루를 어떻게 보낼지 정리를 해보는 것입니다.
또한 이를 그저 머릿속에만 정리하는게 아니라 종이에 직접 써보시면서 하루를 어떻게 보낼지 계획하셔야 합니다.
계획된 하루와 계획되지 않은 하루는 능률에서 매우 큰 차이를 보입니다.
또한 종이에 직접 본인의 하루 공부나 일과 총량을 종이에 적어놓으면 시간이 지나고 다시 훑어봤을 때 본인을 점검할 수 있습니다.
저번달에는 내가 얼마나 공부했는지, 이번달은 내가 얼마나 공부했는지 분석하면서 공부하셔야 합니다.
사실 공부는 본인을 얼마나 잘 분석하느냐에 따라 공부 효율이 달라지기 때문에 본인의 공부 스케줄을 기록하는 것으로 시작하셔야 합니다.
2.내게 최적화된 시간 찾기
아마 공부를 하시다 보면 본인이 스스로 느끼실 것입니다. 아침엔 졸려서 집중이 죽어도 안되는 사람이 있고, 아침에 가장 또렷한 사람도 있죠.
본인이 언제 가장 공부가 잘되고 집중이 최대치인지 찾아내야 합니다.
그리고 이에 맞게 공부 시간표를 조정해야 합니다. 집중이 잘되는 시간에는 좀 더 어려운 과목(수학, 국어)을 공부하고 집중이 잘 안되는 시간에는 좀 더 쉬운 과목(탐구, 한국사 등)을 공부합니다.
이렇게 공부가 잘되는 시간대는 컨디션에 따라 매번 바뀔 수 있습니다.
또한 노력으로 공부 시간대를 바꿀 수도 있죠.
그러니 겨울 방학에 공부를 하면서 아침, 점심, 저녁으로 본인에게 맞는 시간에 최대한의 효율을 내는 공부를 하셨으면 합니다.
제일 공부가 잘되는 시간에 바싹 공부를 하고 쉬면 더 좋죠.
3.최적의 수면 시간 찾기
이건 컨디션 관리의 차원에서의 이야기입니다.
의욕만 앞서서 밤 새서 공부하고 이러면 제대로 집중도 못하면서 힘들기만 하죠.
그러니 본인이 얼마의 시간은 최소한 자야 컨디션이 회복되는지 여러번 실험을 하면서 확인해보세요.
저의 경우 그냥 자면 10시간도 자는데요, 6시간을 자도 10시간 잔 것과 비슷한 컨디션이어서 수험생 때는 6시간씩 수면을 하고 주말에는 10시간을 잤었습니다.(제가 잠이 많은 편이거든요)
제가 이렇게 이야기하는 것들의 핵심은 전부 ‘본인에 대해 자세히 분석’해보라는 것입니다.
이런 저런 분석을 학기 중에 하기에는 상당히 부담이 되니 이를 미리 겨울 방학에 해보라는 것입니다.
이렇게 본인에 대해 아는 학생은 모르는 학생과 같은 시간을 공부하더라도 더 높은 효율을 보입니다.
짧은 시간 안에 큰 성적 상승을 원하면 이런 밑작업을 해보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50분까지 밖에서 오들오들 ㅠㅠ 괜히 나왔엉 좀 안에 있을걸... 다시 들가긴 귀찮..
-
게으름 대처방법 14
일단 저지르고 미래의 나한테 맡기는 거임
-
진학사 3-4칸이 고속 연초라 너무 당황스럽네요..뭘 믿어야되죠
-
카톡할 때마다 느끼는데 일단 수식어구가 많음 괄호쓰는 ㅉㄸ처럼 그리고 콤마같은거...
-
전반적으로 정답률 꽤 낮고 단일 문제가 역대급 정답률이라 만점자가 꽤 적을고같은데 …
-
게임 뭐하지 14
흠
-
얘가 14살 얘가 20중반 참고로 둘다 꼴초
-
돈도 없고 귀찮고.... 헤메코 다받으면 10만원 넘어서 참아야하나 싶기도ㅜ
-
여붕이들 댓글좀 10
물소짓좀 하게
-
ot 보고있는데 ㄹㅇ 믿음이 가네요
-
ㅇㅈ 3
야식
-
땅따먹기
-
갑자기 궁금해진거 16
제 이미지 어떰 비호감 고닉이면 슬픈데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