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시기다리는] (기초) 탐구는 어떻게 입시에 반영될까?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0190386
안녕하세요.
피오르 컨설팅에서 활동하고, 서울대 로스쿨에서 공부를 해야하는 정시기다리는입니다.
대체로 서울대 문과 꼴등 /사범대 제외 꼴등/ 문디컬 펑크는 제가 보낸 해들이 많습니다.
탐구는 입시에 어떻게 반영될지에 대해서, 간단한데 사람들이 많이 틀리는 경우가 있어서 다시 짚어보아요.
대체로 탐구의 백분위가 들어가는 대학이 있고, 표준점수가 들어가는 대학이 있습니다.
획득비는 일부 메디컬만 해당되는 것이라, 제가 다루고 싶지는 않고요, 각 방식의 장단점? 특징에 대해서 간단하게 다뤄볼까 해요.
먼저 표준점수를 그대로 반영하는 경우, 선택과목에 따른 유불리가 정말 극심해요.
이번에 서울대 문과 입시의 경우, 생윤 고득점자가 엄청 유리할거에요.
그리하다면 변환표준점수는 어떨까요?
앞서 '분할'이 무엇인지 궁금해할 사람들이 있어서, 분할을 세부적으로 가져와보았어요.
변환표준점수는 각 백분위에 대해 일정한 점수를 대학에서 정해주는 것인데요, 점수를 어떻게 지정하냐에 따라 분할과 공통으로 나뉘어요.
공통의 경우 (대체로) 각 백분위에 있어서 모든 탐구 표준점수를 평균내어서 변환표준점수를 내는 거구, 분할모집 단위의 경우는 사탐, 과탐을 따로 평균 내요.
사탐/과탐 분할의 경우
사탐 선택자에게 사탐 평균 변환표준점수를 적용시키고, 과탐 선택자에게 과탐 평균 변환표준점수를 적용시키죠.
문과/이과 분할의 경우에는, 문과 모집단위에게 사탐 평균 변환표준점수를 적용시키고, 이과 모집단위에게 과탐 평균 변환표준점수를 적용시켜요.
여기서 잠깐 정리하자면, 사탐/과탐 분할은 하는데 문과/이과 분할을 안하는 고려대학교의 경우, 과탐이 어려우면 어려울수록 교차지원자들에게 메리트가 있겠죠? (어려우면 각 백분위별 표준점수가 올라가니까요)
반대로 사탐이 어려우면 교차지원자들에게 메리트가 없구요.
그래서 올해부터 공통으로 넘어갈 것이라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예전에 제가 쓴 글을 재탕해서, 조금 더 효과적으로 변환표준점수를 설명할게요.
"
안녕하세요. 정시기다리는입니다.
주요대학교 사회나 과학 탐구에서는 표준점수보다 백분위가 중요합니다. 백분위 별로 '변환표준점수'라는 점수를 정해서 입시에 적용하지요.
일단 대학별로 각 탐구 과목의 백분위 별로 특정 점수를 지정합니다.
백분위 사이의 간격이 작으면 이를물보정이라 부르고, 차이가 크면 불보정이라고 합니다.
서울대 2017학년도 수능 사회탐구 변환표준점수입니다.
100 | 66.33 |
99 | 66.11 |
98 | 65.68 |
97 | 65.3 |
96 | 64.93 |
95 | 64.58 |
94 | 64.27 |
93 | 63.97 |
92 | 63.63 |
91 | 63.3 |
90 | 63.01 |
89 | 62.74 |
88 | 62.47 |
87 | 62.21 |
86 | 61.98 |
85 | 61.73 |
2017 수능 사회탐구의 각 백분위별로 0.5점도 차이가 안나는, 대표적인 물보정의 예입니다.
그럼 이 변환표준점수는 어떻게 나왔을까요? 백분위 100이면 66.33이라고 하네요?
각 (이경우는 사회)탐구과목에서 백분위 100에 해당하는 표준점수 (없다면 100과 최대로 가까운 표준점수)를 평균내서 구하는겁니다.
(65+66+65+65+67+67+68+68+66)/9=66.33
즉, 물보정, 불보정은 대학이 정한다기보단 (어.. 윤리 선택자 불쌍하다 물보정해!가 아니라는 거죠) 채점 결과에 달려있습니다.
그러면 2017년처럼 물보정인 경우, 탐구 감점자는 대입에서 어느정도 피해를 볼까요?
2017년 수능 사탐 48점의 경우, 48점의 백분위가 젤 낮았던 세계지리에서!
백분위 100에 비해 사회탐구 점수 3.03점이 깎였고, 서울대 반영비를 적용한다면 백분위 100에 비해 2.424점을 깎였네요.
백분위 100과 비교가 좀 너무하다 싶으면 대략 당시 만점 백분위의 중간값인 99와 비교해도 타격은 상당합니다.
ps. 마지막 불보정이었던 2013학년도 서울대 변환표준점수표
100 | 72.09 |
99 | 70.45 |
98 | 69.59 |
97 | 68.45 |
96 | 67.74 |
95 | 67.12 |
94 | 66.51 |
93 | 65.96 |
92 | 65.53 |
91 | 65.12 |
90 | 64.66 |
89 | 64.27 |
88 | 63.84 |
87 | 63.34 |
86 | 62.86 |
85 | 62.37 |
이 때는 점수 산출이 (사탐 점수*0.5)였으나 그래도사탐이 백분위 96이 되면.... 국어 3점짜리 하나 틀린 정도의 감점ㅇ었네요...
네줄 요약
1.물보정은 대학이 아니라 성적 양상이 결정한다.
2. 물보정인 작년 것을 대입해도 쉬웠던 과목 -2점은 국어 -2점보다 타격이 크다.
4.성적표 나올때까지 기다리자 ㅠ
----
현재도 당시와 큰 차이가 없습니다.
물론, 불 사탐이니까... 지금은 2013학년도 서울대학교와 영향력이 비슷할 듯 해요.
사탐 응시자들의 변환표준점수가 그 위력이 더 커질 것이구요.
+ 피오르에서 재능기부 프로젝트도 운영하고 있습니다.
재능기부 프로젝트 대상자 :
정원 : 총 4명(일반계열 2명, 메디컬계열 2명)
조건 :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 계층, 소득분위 3구간 이하 대상으로만 진행합니다.
(해당 프로젝트에서는 농어촌 등 특별전형도 가능합니다)
모집기간 : 12월 10일 금요일까지
조건에 해당하는 분들에 한해 무료로 상담을 해 드립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난 정상인이었어
-
내가 뭘본거지 6
진짜 개더러운걸봤는데
-
작년 수능에서 국어5 영어4 나왔는데 어떻게 공부하는 게 좋을까요 집은 강남쪽에 살아요
-
사설 국어를 풀다보면 문학 파트 옳지 않은 문제에 와 지문에 없는 선지의...
-
음침하게 혼자 오르비하는건 디폴트니까 그건 좀 빼시고
-
위치 상관없음
-
일단 여자는 그런거 같음
-
더러워요..
-
앙 2
앙
-
똥쌌어
-
대단하다 진짜
-
새 프사 어떰 3
.
-
전학 vs 자퇴 2
ㅈ반고 다니는 정파 고2인데 자퇴하고 독재다니거나 집주변 갓반고 전학 고민중입니다....
-
실험 과목들이 특히..
-
노곤한거 같음 하루종일 잤음 몸에 기운이 없어 내일부터는 안먹어야지
-
내일은 오늘보다 나아지겠지
-
제가 맨날 강아지 귀엽다고 코박고 끙끙 소리 내는데 얘가 기분좋을때마다 끙끙거리는게...
-
진리를 꿰뚫는다
-
곽준빈이나 기안84 보면 지상파 방송이 예전같진 않아도, 확실히 그 상징성 같은 것은 있지 않나요? 2
지상파에 고정으로 들어간다는 것 자체가 구독자 수와는 별개로 완전한 메인스트림으로...
-
흠..
-
나랑 마주칠때마다 ㅈㄴ웃음 곧 자살할 예정
-
꺼라
-
팩트는 인간이랑 공룡은 서로 만난적이 없음
-
아빠가 사주라 하고서 데리고 갔는데 아무것도 말 안해도 다 맞힘 게다가 재밌음 +...
-
우리집 누렁이도 아는데..
-
흠..
-
ㅇㅇ
-
겁나 하기 싫다 진짜
-
[공부] 노베를 응원하며 (부제: 이 패턴만 바꿔도 노베는 면합니다) 12
안녕하세요. 영포자 지도 전문 영어 강사 Good day Commander입니다....
-
그거 문학 교과서에 있음 내가 읽어보길 권하는 고전 수필들 - 일야구도하기(박지원)...
-
ㅊㅊ
-
흡연구역 가면 나도 냄새 떄문에 힘듦. 근데 아무대서나 피면 안되니 가야함
-
기출에 꽤 많던데 안나오는거 오히려? 좋아
-
재수생인데 이러는 게 ㄹㅇ... 다들 그냥 하는 건가요 스카독재라 너무 외롭고 별...
-
이오니아 핑크 4
어때염? 냄새 안 나나요
-
삘이 그럼
-
밥 기다리는 줄에서 어떤 사람 펨코 보더라
-
좋아요정 누구지 2
글마다 한개씩 누르는거 기요미인데
-
https://orbi.kr/00072744760 칼럼대회 많관부
-
술 마시고 싶다 0
-
저녁해장 2
-
우산 쓴 시간 3분도 안될듯
-
아무래도 일배나 그런 사이트 하는 친구겠지요? ㅜㅜ 이래서 함부러 정치성향 드러내는거 아닌가바용
-
갈테 경기부엉이부터 옮생을 함께 했던 나로선 가슴이 미어진다.다음 옮생엔 내 비서로...
-
범위가 120페이진데 인강도 없고 ㅠ
그럼 물보정인지 불보정인지는 어떤 탐구과목을 골랐느냐에 따라 달라지는 것인가요?
음 그해 전반적으로 탐구가 얼마나 어려웠는지가 결정합니다.
1컷이 50이고 2컷도 50이어서, 만점 백분위가 94인 과목이 있는데, 나머지 과목이 다 어려웠으면 불보정으로 인해 피해를 보는 것이죠.
아 그럼 대학측에선 탐구의 영향력이 너무 커지지도 작아지지도 않게 변표를 짜되 만약 특별히 난이도가 튀는 과목이 있다면 손해를 볼수도 이득을 볼수도 있다는 말씀이시죠?
대학측에서 짜다기보다는, 그냥 평균을 냅니다.
난이도가어려울수록 탐구잘본사람들이 이익을 보는데, 난이도가 튀는과목의 경우 잘본사람은 상대적손해를 봅니다.
무슨 말씀이신지 이해가 됐습니다. 답변 감사드립니다!
올해부터는 통합선발하게 될 경우 통합변표가 사실상 강제됩니다.
재능 기부 프로젝트 농어촌전형 가능한데 지원 어디서 받나요?
https://orbi.kr/00070005760
위 글 제일 아래부분에서 확인 가능하십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