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황분들 궁금한거 잇어여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0176447
원래부터 국어 잘한사람…도 좋지만 3에서 1로 올렸다 이러신 분 있으실까요?
문학은 그나마 잘하는데 비문학에서 휘청휘청해요
그날 컨디션에 따라서 읽는 속도나 그런게 너무 다르고…
제일 컨디션 안 좋은 날 푼게 제 점수라고 생각하고 있거든요…
올리신분 잇다면 어떻게 올렸는지, 지금 제가 하고 있는게 맞는지 모르겟어요
으앙 국어 진짜 어떻게 올려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서울대 동점떨 0
저같은 분 있나요.. 하 진짜 ㅜㅜ ㅅㅂ
-
제목 어그로 죄송합니다 부모님이 지원해주신다고 수능 한번더 쳐보는거 어떻냐고...
-
ㄱㄱ
-
동국대 기계 기다리다가 생각지도 못한 컴공이 됐습니다
-
이러케 뜨고 새로고침 하면 원상복구 되는데 어케삼뇨
-
국어 선택과목 0
24수능 국어 높3 25수능 국어 높4 두 시험 다 언매에서만 25분정도 썼습니다...
-
생각보다 본인이 자랑스러워하는거 만큼 타인은 간지나게 안보는거같음
-
화2 내년 표점 2
설대 목표인데 화1러들이 탈출하면 화2가 내년에는 표점 높아질 것 같은데 맞나요?
-
그래도 밤이라 얘 조금은 바래다 주고 걸어갔는데 얼어뒤지는줄 지하철역에서 피채우고...
-
그것도 공부해야 하면 좀 짜증날듯
-
어제 술먹은 후기 10
ㅅㅂ소주는 그냥 식용 손소독젠데 왜 먹는거야 칵테일 존맛탱
-
으악
-
탈르비 11
홍대 붙어서 탈르비합니다 그동안 응원해주시고 도와주신 모든분들 정말 감사드려요 더...
-
처음 해보는데 대학생 된 기분임
-
을 어떻게해야할까요. 일단 구조독해를 하고 그읽그풀아 맞는것같아서 섞어서 들을려는데...
-
현역이고 정시로 에리카 높공 붙었습니다 국어랑 수학이 실력보다 조금 잘 나왔으나...
-
멍청하게
-
유전 들어간다
-
님들의 수강신청이 올클이 될것입니다 아마도요
-
습관됨
-
홍대 문과중에 0
129.40으로 되는 학과 있나요?
-
도쿄대 본고사 왜케 계산 파티엿을가 계산을 많이한다한들 계산만 하는건 좀
-
현 상황; 수1, 수2 중3에 한번 돌렸고 지금 다시 돌리는 중 / 미적분 특강...
-
아직 최종컷은 다 못 구해서 여기까지 올립니다 추가 제보는 쪽지로 부탁드립니다
-
남을 괴롭히는 사람에게는 평안이 없고, 남을 도와주는 사람에게는 불안이 없습니다....
-
현정훈 러쉬 0
언제부터 수강신청해야됨
-
MS, 세상 뒤집을 양자 칩 공개... 수년내 AI 학습속도 100배 2
미국 마이크로소프트(MS)가 양자 컴퓨터 상용화의 최대 걸림돌로 꼽혀온 양자 오류와...
-
강의 듣는걸 안좋아하는데 독학서도 없고 대부분 인강 듣거나 현강 들으시나요?
-
ㅈㄱㄴ
-
어떻게 해야 공부를 잘 하게 될까?
-
반수 질문.. 2
1. 보통 반수는 언제부터 준비하나요? 1학기부터하나요? 2. 2학기때는 휴학하는게 일반적이죠?
-
우리나라는 입시만 미국처럼 할려고 하는 것 같습니다. 제가 미국에서 초등학교만...
-
(세계여행) 발트해 3국 추천 관광지 순서대로 가보기 0
발트해 3국 라트비아를 네이버 추천 관광지 순서대로 모두 가보기
-
챗지피티 1
하긴 내가 다양한 교육 관련 글?을 많이 쓰긴했지 하하 챗지피티 수쥰 ㅋ
-
징징대지마라 4
징징이냐
-
물어보기!
-
피고내 3
더자구시포
-
아침부터 기분나쁨 좀이따 10시에 수강신청인데 분위기반전 드가자
-
그냥 걸어다니고 싶음 내 1년을 갈아넣은 곳
-
건대 안갈건대 0
부산대 갈건대
-
홍익대학교에서 복수전공을 하려면? 홍익대 전공제도 (1) 0
대학커뮤니티 노크에서 선발한 홍익대 선배가 오르비에 있는 예비 홍익대생, 홍익대...
-
늦버기 2
으흐흐
-
존나고생했다 3모 전교1등하고 정시선언하고 서울대가는 상상하면서 공부중이다 ㅇㅇ...(제발)
-
등급컷 믿을만함?
-
음 그래그래 2
일병 3호봉인데 4번째 휴가인것은 사실이야 음 그래
-
으윽 4
너무 일찍 일어낫어 졸려…..
-
ㄹㅇ 어케함???? 돈 벌어야하는데 나
-
조금 무섭네요
-
미필 4수 체대 건대 체육교육과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좋아요만 누르고 도망가지마세요.

저는 그룹화 되는 개념이 제일 도움 많이 된 것 같아요 a 랑 b가 나오면 a' b'이렇게 읽는 거죠 설명이 될 지 모르겠네요 ㅋㅋ저 수능 3에서 1 갔어요
으어 어떻게 했어요 ㅠㅠ 쪽지 보내봐도 괜찮을까요 ㅠㅠㅠㅠㅠ
도움이 될지는 모르겠지만요..
도파의 신경론을 안다면 해답을 이해하기 편할 텐데 혹시 아심?
그으게 머죠
뭔가를 할 때 신경을 할당한다고 표현한다면, 그게 무슨 일이냐에 따라, 그게 얼마나 익숙한 일이냐에 따라 투자되는 신경의 양이 다를 것임
님이 뭔가를 잘하려면 절대적인 신경의 양을 늘리는 방법도 있겠지만, 솔직히 이 부분은 재능의 영역이 더 크기에 개인이 어찌하기 힘듦
어차피 님이 할당할 수 있는 신경의 양이 정해져 있다면, 낭비되는 신경을 줄이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음. 이를 테면 굳이 이해하지 않아도 큰 맥락에서 이해할 때 지장이 없다면 굳이 그걸 이해하기 위해 애쓸 필요가 없다든가
또는 익숙한 일이라면 투자되는 신경의 양 자체가 적을 것임. 비문학 지문에서 자주 나오는 논리 전개 방식을 인지한 채로 그 틀에 맞춰 읽는다면 이해가 더 수월할 테고, 배경지식이 많은 주제를 읽을 때도 더 수월하게 읽힐 가능성이 큼
수능 국어 커리큘럼은 님의 신경의 양을 늘리기 위한 게 아니라, 그 신경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쓸지에 대한 가르침에 가까움. 이 관점에서 보면 결국 충분히 효율적으로 신경을 분배하는 상태에서는 성장의 여지가 없다고 해석될 여지가 있는데, 그게 맞음. 그래서 국어가 재능이다 소리 나오는 거고, 반대로 말하면 적어도 그 지점에 도달하기 전까지는 성장의 여지가 있다는 의미로 받아들이고 공부에 정진하면 될 일임
큰 틀에서 설명했으니 이걸 구체적으로 적용해보자면, 주제에 대한 최소한의 배경지식을 갖춘 채로, 전개 방식을 예측하면서, 불필요한 내용에 대한 이해를 버리고 큰 틀에서 이해하며, 그걸 바탕으로 문제를 풀 때 정오를 판단하기 위해 따져야 할 부분을 명확히 알고 푸는 게 바람직한 예시겠죠
또 뭔가 나중에 나올 거 같은 암기사항이나 적용해야 할 수식, 일련의 과정 등 머리에 넣어두고 지문을 읽기엔 버거운 내용이 있다면 굳이 머리에 넣어둔 채로 읽기보단 따로 필기 혹은 표시해둔 채로 나중에 문제 풀 때 그 부분을 써먹을 수도 있고
핵심은, 모든 걸 이해하려 하지 말고, 모든 걸 암기하려 하지 말라는 거임. 님이 천재가 아닌 이상 능력에 한계가 있도, 주어진 능력 안에서 최대한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방식으로 주어진 문제에만 답하는 게 님이 할 일임
모의고사 때마다 시간에 너무 신경 써서 지문을 읽다가 다시 맨처음으로 돌아간 적이 많은데… 이런건 어떻게 할까요….
만약 큰 틀에서 이해한 채로 문제로 넘어갔는데 문제에서 세부내용을 요구했고, 이 부분이 기억나지 않아 지문에서 다시 찾는 거라면, 애초에 지문을 읽을 때 나올 거 같은 내용에 표시를 해두는 방법도 있음
아예 큰 틀에서조차 이해를 놓친다면 님의 능력을 넘어선 속도로 읽고 있다는 얘기니 속도를 줄여야 함. 시간 오버돼도 이건 어쩔 수 없이 받아들여야 함. 시간 초과 문제는 훗날의 님이 해결해야 할 과제이지 당장에 문제 풀 때 이해도 못하고 계속 백하는 게 결코 좋은 일은 아님
내가 3->1가긴함 (23to24)
쪽지 보내봐도 괜찮을까요..?
걍 댓글 질문이 깔끔하지 않나.
올해 초에 강기본 강기분 수강하고 뒤늦게 안맞는 걸 알아서 혼자 그냥 기출 몇개 풀었어요 당연히 성적은 그대로고… 9월 말 쯤에 심찬우쌤 알아서 독서편만 강의 들었어요 지금은 독서편 끝내고 국일만 독서 푸는 중입니다 문학은 전부터 컨디션 영향을 안받기도 했고 나름 자신 있는 부분이라 괜찮았어요! 아 그리고 선택은 화작인데… 이걸 연습을 안하다 보니까 평소에 2개씩 틀리던걸 오늘은 5개… 틀렸네요 제가 공부를 꾸준히 안한 것도 있겠지만 뭔가… 슬프네요…어엉….ㅠㅠ 심찬우쌤이 시간 신경 쓰지 말고 풀라 했었는데 혼자 뽑아서 푸는거였지만 시간을 계속 보게됐고 그러다 보니까 생각하면서 풀지 못했던 거 같아요… 이 점도 어떻게 해결해야할지 너무 막막합니다… ㅠㅠㅠ 너무 긴글이라 귀찮으실 수도 있겠지만 그래도 보내봐요 ㅠㅠㅠㅠㅠ
오늘 2025 수능 혼자 뽑아서 풀어봤는데 정말 제가 풀어본 것 중에 제일 낮은 성적이라서 갑자기 불안해지고 걱정 돼서 써봐요 ㅠㅠㅠㅠㅠ
그냥 강민철이 시키는거나 심찬우가 시키는거 혹은 국일만 하나만 쭉 밀기만했어도 좀 덜할텐데 귀가 얇은게 탈이네
심찬우쌤 강의를 계속 듣다가 수능날로 끝나서 국일만 했어요 강민철 선생님은 듣는 내내 이해가 안갔고 조금 어려웠던 거 같아서 계속 듣는다고 해도 이해를 못할 거 같다고 판단해서 멈췄었어요ㅠㅠ 이거도 제가 스스로 판단해서 내린 결정이겠지만…
저 올해 9모 2컷이였는데 저는 제가 못하는 독서에 치중한게 아니라
문학을 오히려 더 열심히 해서 시간을 확 줄임여 글고 뭘 버릴 지가 보여야 해여 실모 많이 풀다 보면 보이는데 여기서 시간 늘리겠구나 같은 문제를 나중에 빼고( 독서 기술 보기 같은...) 시간 확보가 중요한듯함니다. 국어는 실수 싸움보다도 시간 싸움 같아서 시간 확보가 엄청 중요하다고 생각해여
잘하는 부분을 더 신경 쓰는 거 말씀하시는 거죠!??
넹넹 못하는 건 정말 끝이 안나요 ㅋㅋㅋ 엄두가 안 난달까... 재종 1년 다녔는데 끝내 독서는 정복 못하고 문학빨로 독서에 35분-40분 박았어요 시간을 쓰니깐 다 맞긴 하드라구여!
24수능으로 대학가셧나유..??, 24때 문학 진짜 어려웟는데 그렇게 하신거면 ㄷㄷ
24 때 국어 백분위 100을 받긴 했는데.... 치대는 수시로 간거구 ㅜㅜ 이번에 리트라이 했어요!
진짜 대단하시네
비문학 문제를 풀려면
1. 지문을 이해하고
2. 이해한 내용을 바탕으로 문제를 풀어야 해요
지문을 읽고 앞에 나가서 설명할 수 있을 정도로 이해가 된다면 문제에 집중하고
아니라면 지문을 이해하는 연습을 하는게 좋을 것 같아요
컨디션 관리는.. 저 같은 경우에는 일어나자마자 문제가 잘 풀리더라고요
자신에게 맞는 환경을 찾아보시는 걸 추천드려요
시간을 신경 쓰지 않고 풀어야 머릿속에서 잘 생각 정리가 되는데 풀 때마다 시간을 너무 신경 쓰게 돼서 급해지고 바빠져서 제대로 글을 못 읽는 거 같아요… 컨디션은 어떻게 할 수가 없으니 제가 관리해야겠지만…!!
지문 이해하는 연습에서는 진짜진짜 시간 재면 안 된다고 생각해요
천천히 화이팅입니다
그럼 모의고사 같은 건 나중에 풀어야할까요..? 너무 안푸는건 뭔가 불안해서요 ㅠㅠ
정답은 없겠지만.. 조급해지지 않기만 떠올리면서 조금씩은 풀어도 괜찮지 않을까요
국어는 정석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