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황분들 궁금한거 잇어여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0176447
원래부터 국어 잘한사람…도 좋지만 3에서 1로 올렸다 이러신 분 있으실까요?
문학은 그나마 잘하는데 비문학에서 휘청휘청해요
그날 컨디션에 따라서 읽는 속도나 그런게 너무 다르고…
제일 컨디션 안 좋은 날 푼게 제 점수라고 생각하고 있거든요…
올리신분 잇다면 어떻게 올렸는지, 지금 제가 하고 있는게 맞는지 모르겟어요
으앙 국어 진짜 어떻게 올려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인생진짜좆됨
-
꿈의 대학이었는데 (남자임)
-
아까전에 시대인재북스 주간 랭킹 1위를 찍엇다네요한완수, 한완기도 이겻대요
-
에리카랑 가천대 둘다 건축학과일때 어디가 더 좋음
-
질받 무물보 10
질문 아무도 안해주면...울것같아
-
색 이쁘긴해
-
안녕하세요! 추가모집 시작도 전에 198건째 상담을 접수받고 짧은 칼럼을 써야겠다고...
-
일단 개학 전까지 4개년 기출 다 풀고 한완기 사서 다시 풀기
-
물론 여기 있는 사람들의 고통에 비하면 아무 것도 아닐 수 있지만 첫사랑에게 차이고...
-
털어내는것도 나쁘지 않음 억누르는 것보다는 상황이 힘들 때의 나는 어떤지도...
-
감정적이지… 누구랑 찐하게 포옹하고싶다 응응
-
열등감인 듯 분노 우울 해봐야 얼마 지나고 나면 사라지거나 잠잠해지는데 열등감은...
-
머리에 든게없음ㅈㅅ 엔수한뒤에 좋은조언 전파할게요
-
2026 수능 삼반수로 응시 계획중이고 작년에는 반수해서 2학기 휴학하고...
-
하루 목표 10
공부 5시간 밥 9시간 게임 25시간잠 42시간운동 74시간
-
저게정말궁금함
-
생1 vs 물1 2
물1이 워낙 고였다고 해서 생1으로 넘어가려고 생각중입니다물1은 고2 10모...
-
어떻게살것인가 10
매우고민이다
-
흐음 4
누가 꼬옥 안아줬으면 좋겟다 찐으로
-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컼
-
일반인 중 외모가 출중한 분들도 아이돌 옆에선 그 빛이 바랠 수 있고 고등학교까지의...
-
하는게 좋나 먹고나서 운동하는게 좋나 천국의 계단 탈껀데
-
ㅣㅣ 4
ㅣㅣㅏㅓㅏㅣㅣㅏㅓㅣㅏㅣㅏㅏㅏㅓㅓㅏㅓㅣㅣㅣㅏㅓㅏㅣㅣㅣ
-
물리가 ㄹㅈㄷ인게 9월 모평 때 5만명이었는데 수능 땐 58000명으로 8천명이...
-
ㅅㅂ
-
슬픔 후회 열등감 우울 모두 누구나 느낄 수 있습니다 그러니까 내 아픔이 전혀...
-
어때요 까보니까 저런거임 해본사람? 내가그렇다는건 아니고...
-
편의점에서 나한테 인사한새끼도 이런식으로 디시에 글 싸지르고있을거라고 생각하니까...
-
약속했으니 도전해봅니다
-
인기 있을까?
-
지금으로부터 50년 전에는 휴대폰으로 지구 반대편 사람 이랑도 얼굴보고 통화할 수...
-
숭실 vs 아주 3
숭실대는 자율전공학부랑 아주대 미래모빌리티 공학과 붙었는데 어딜가야할까요..?...
-
특히 국어가 잘 안되네..
-
지듣노 7
타상연화 노래만 남기고 사라진 영화 영화도 봤는데 흠 전 그저 그랬는데 악평이 많은
-
서성한 합격후 연고대학생 혹은 연고 합격증보면 열등감? 올라오는데(물론 금방...
-
개념인강 추천 3
아무 인강에서 개념 잘 알려주는 개념인강 추천 부탁드려요 1월에 개념 다 돌리긴...
-
강민철 김ㅇ양 2
2월까지 강기분끝내고 김ㅇㅇ쌤 시즌 e부터 시작해도 무리없나요?? 국어 3-4왔다갔다거려요
-
연대는 수능 후 면접이지만 고대는 수능 전 면접임 그래서 고대는 쓰지도 않았지 흐흐
-
작수 후기 1
입실 싱글벙글 국어 정신없음 수학 헤롱헤롱 점심시간 집가고싶어짐 영어 지루함 한국사...
-
ㅋㅋ
-
술게임어랜만 0
아오 힘들어 재ㅣㅆ어
-
수학1(공학수학 말고 교양)+기초 전자실험 및 설계 이렇게 할라는데 괜찮나요?
-
수능판 애진작에 뜬 지인이 의대증원이슈때문에 성적대로 보는거랑은 다를거야 너...
-
안녕하세요. 현우진T 수분감 2026 인강 2025 버전 책으로 들어도 무방한가요?...
-
33411.. 2
화작 미적 영어 생윤 사문인데 예체능 같은거 빼고 하면 대충 어디까지 ㄱㄴ한가요?? (목표등급임)
-
런닝머신타면서 들으면 ㄹㅇ맛도리
-
안녕하세요 혹시 요즘 정법 사문 트렌드가 어떤가요? (본인 20수능 봄.....
-
감정을 제거한 11
이성만이 남은 인간은 어떨까
-
서X대 따라하는거임? 대학 이름비슷하다고 수준도 비슷한게 아닌데;
좋아요만 누르고 도망가지마세요.

저는 그룹화 되는 개념이 제일 도움 많이 된 것 같아요 a 랑 b가 나오면 a' b'이렇게 읽는 거죠 설명이 될 지 모르겠네요 ㅋㅋ저 수능 3에서 1 갔어요
으어 어떻게 했어요 ㅠㅠ 쪽지 보내봐도 괜찮을까요 ㅠㅠㅠㅠㅠ
도움이 될지는 모르겠지만요..
도파의 신경론을 안다면 해답을 이해하기 편할 텐데 혹시 아심?
그으게 머죠
뭔가를 할 때 신경을 할당한다고 표현한다면, 그게 무슨 일이냐에 따라, 그게 얼마나 익숙한 일이냐에 따라 투자되는 신경의 양이 다를 것임
님이 뭔가를 잘하려면 절대적인 신경의 양을 늘리는 방법도 있겠지만, 솔직히 이 부분은 재능의 영역이 더 크기에 개인이 어찌하기 힘듦
어차피 님이 할당할 수 있는 신경의 양이 정해져 있다면, 낭비되는 신경을 줄이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음. 이를 테면 굳이 이해하지 않아도 큰 맥락에서 이해할 때 지장이 없다면 굳이 그걸 이해하기 위해 애쓸 필요가 없다든가
또는 익숙한 일이라면 투자되는 신경의 양 자체가 적을 것임. 비문학 지문에서 자주 나오는 논리 전개 방식을 인지한 채로 그 틀에 맞춰 읽는다면 이해가 더 수월할 테고, 배경지식이 많은 주제를 읽을 때도 더 수월하게 읽힐 가능성이 큼
수능 국어 커리큘럼은 님의 신경의 양을 늘리기 위한 게 아니라, 그 신경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쓸지에 대한 가르침에 가까움. 이 관점에서 보면 결국 충분히 효율적으로 신경을 분배하는 상태에서는 성장의 여지가 없다고 해석될 여지가 있는데, 그게 맞음. 그래서 국어가 재능이다 소리 나오는 거고, 반대로 말하면 적어도 그 지점에 도달하기 전까지는 성장의 여지가 있다는 의미로 받아들이고 공부에 정진하면 될 일임
큰 틀에서 설명했으니 이걸 구체적으로 적용해보자면, 주제에 대한 최소한의 배경지식을 갖춘 채로, 전개 방식을 예측하면서, 불필요한 내용에 대한 이해를 버리고 큰 틀에서 이해하며, 그걸 바탕으로 문제를 풀 때 정오를 판단하기 위해 따져야 할 부분을 명확히 알고 푸는 게 바람직한 예시겠죠
또 뭔가 나중에 나올 거 같은 암기사항이나 적용해야 할 수식, 일련의 과정 등 머리에 넣어두고 지문을 읽기엔 버거운 내용이 있다면 굳이 머리에 넣어둔 채로 읽기보단 따로 필기 혹은 표시해둔 채로 나중에 문제 풀 때 그 부분을 써먹을 수도 있고
핵심은, 모든 걸 이해하려 하지 말고, 모든 걸 암기하려 하지 말라는 거임. 님이 천재가 아닌 이상 능력에 한계가 있도, 주어진 능력 안에서 최대한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방식으로 주어진 문제에만 답하는 게 님이 할 일임
모의고사 때마다 시간에 너무 신경 써서 지문을 읽다가 다시 맨처음으로 돌아간 적이 많은데… 이런건 어떻게 할까요….
만약 큰 틀에서 이해한 채로 문제로 넘어갔는데 문제에서 세부내용을 요구했고, 이 부분이 기억나지 않아 지문에서 다시 찾는 거라면, 애초에 지문을 읽을 때 나올 거 같은 내용에 표시를 해두는 방법도 있음
아예 큰 틀에서조차 이해를 놓친다면 님의 능력을 넘어선 속도로 읽고 있다는 얘기니 속도를 줄여야 함. 시간 오버돼도 이건 어쩔 수 없이 받아들여야 함. 시간 초과 문제는 훗날의 님이 해결해야 할 과제이지 당장에 문제 풀 때 이해도 못하고 계속 백하는 게 결코 좋은 일은 아님
내가 3->1가긴함 (23to24)
쪽지 보내봐도 괜찮을까요..?
걍 댓글 질문이 깔끔하지 않나.
올해 초에 강기본 강기분 수강하고 뒤늦게 안맞는 걸 알아서 혼자 그냥 기출 몇개 풀었어요 당연히 성적은 그대로고… 9월 말 쯤에 심찬우쌤 알아서 독서편만 강의 들었어요 지금은 독서편 끝내고 국일만 독서 푸는 중입니다 문학은 전부터 컨디션 영향을 안받기도 했고 나름 자신 있는 부분이라 괜찮았어요! 아 그리고 선택은 화작인데… 이걸 연습을 안하다 보니까 평소에 2개씩 틀리던걸 오늘은 5개… 틀렸네요 제가 공부를 꾸준히 안한 것도 있겠지만 뭔가… 슬프네요…어엉….ㅠㅠ 심찬우쌤이 시간 신경 쓰지 말고 풀라 했었는데 혼자 뽑아서 푸는거였지만 시간을 계속 보게됐고 그러다 보니까 생각하면서 풀지 못했던 거 같아요… 이 점도 어떻게 해결해야할지 너무 막막합니다… ㅠㅠㅠ 너무 긴글이라 귀찮으실 수도 있겠지만 그래도 보내봐요 ㅠㅠㅠㅠㅠ
오늘 2025 수능 혼자 뽑아서 풀어봤는데 정말 제가 풀어본 것 중에 제일 낮은 성적이라서 갑자기 불안해지고 걱정 돼서 써봐요 ㅠㅠㅠㅠㅠ
그냥 강민철이 시키는거나 심찬우가 시키는거 혹은 국일만 하나만 쭉 밀기만했어도 좀 덜할텐데 귀가 얇은게 탈이네
심찬우쌤 강의를 계속 듣다가 수능날로 끝나서 국일만 했어요 강민철 선생님은 듣는 내내 이해가 안갔고 조금 어려웠던 거 같아서 계속 듣는다고 해도 이해를 못할 거 같다고 판단해서 멈췄었어요ㅠㅠ 이거도 제가 스스로 판단해서 내린 결정이겠지만…
저 올해 9모 2컷이였는데 저는 제가 못하는 독서에 치중한게 아니라
문학을 오히려 더 열심히 해서 시간을 확 줄임여 글고 뭘 버릴 지가 보여야 해여 실모 많이 풀다 보면 보이는데 여기서 시간 늘리겠구나 같은 문제를 나중에 빼고( 독서 기술 보기 같은...) 시간 확보가 중요한듯함니다. 국어는 실수 싸움보다도 시간 싸움 같아서 시간 확보가 엄청 중요하다고 생각해여
잘하는 부분을 더 신경 쓰는 거 말씀하시는 거죠!??
넹넹 못하는 건 정말 끝이 안나요 ㅋㅋㅋ 엄두가 안 난달까... 재종 1년 다녔는데 끝내 독서는 정복 못하고 문학빨로 독서에 35분-40분 박았어요 시간을 쓰니깐 다 맞긴 하드라구여!
24수능으로 대학가셧나유..??, 24때 문학 진짜 어려웟는데 그렇게 하신거면 ㄷㄷ
24 때 국어 백분위 100을 받긴 했는데.... 치대는 수시로 간거구 ㅜㅜ 이번에 리트라이 했어요!
진짜 대단하시네
비문학 문제를 풀려면
1. 지문을 이해하고
2. 이해한 내용을 바탕으로 문제를 풀어야 해요
지문을 읽고 앞에 나가서 설명할 수 있을 정도로 이해가 된다면 문제에 집중하고
아니라면 지문을 이해하는 연습을 하는게 좋을 것 같아요
컨디션 관리는.. 저 같은 경우에는 일어나자마자 문제가 잘 풀리더라고요
자신에게 맞는 환경을 찾아보시는 걸 추천드려요
시간을 신경 쓰지 않고 풀어야 머릿속에서 잘 생각 정리가 되는데 풀 때마다 시간을 너무 신경 쓰게 돼서 급해지고 바빠져서 제대로 글을 못 읽는 거 같아요… 컨디션은 어떻게 할 수가 없으니 제가 관리해야겠지만…!!
지문 이해하는 연습에서는 진짜진짜 시간 재면 안 된다고 생각해요
천천히 화이팅입니다
그럼 모의고사 같은 건 나중에 풀어야할까요..? 너무 안푸는건 뭔가 불안해서요 ㅠㅠ
정답은 없겠지만.. 조급해지지 않기만 떠올리면서 조금씩은 풀어도 괜찮지 않을까요
국어는 정석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