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양대 논술 인문 오후2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0152609
제시문 (나)가
모든 존재들의 존엄성을 내세워서 이익과 고통은 동등하게 고려되어야 한다는 입장을 바탕으로 도덕적 의무를 주장한 걸로 기억하는데
공리주의적 의무를 뜻하는 건가요?
보통 공리주의는 의무론과 비교되는 입장인데
(나)제시문에서 말하는 의무는 공리주의적 입장을 근거로 한 것 같아서요
“공리주의적 의무”라는 키워드 괜찮은가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현역 인가경 극상향에 수원대 적정소신인 성적에서 재수 인가경 장학받는 성적에 단대...
-
메디컬 정시 기준 현역 2 정시 8 정도인데 좀 점유율 높은학교는 6까지도 가고...
-
문학에서는 보다 명시적인 거 체크 독서에서는 보다 일차적인 이해가 되는 것 체크...
-
어떻게 은테인데 5
이렇게 조회수 댓글이 없을수가 있지
-
날개뼈가 ㄹㅇ 개아픔
-
2026 수능 대비 수학 실모 무료 배포 (자작) (공통,미적분) 10
안녕하세요. 2026수능 대비 수학 실전 모의고사를 배포하려고 합니다. 일단 이...
-
냥대 미자공 0
몇점까지 붙을까요? 빵 시대기숙 건국 계약 한양대
-
3등이면 백만원정도 받나?
-
경제 런치고 싶은데
-
재능 문제인지 최고점 5점에서 더이상 올라가질 않네요..ㅠ
-
덕코 기부좀요 0
복권 하게 ㅎㅎ
-
https://m.youtube.com/watch?v=2p6GHc0FlyE&pp=yg...
-
0.01%확률로 너굴맨이 나타났으니 안심하라구~
-
당분간은 밤에만 올게요
-
수능이 끝난 사람만 해당 27수능때 물2를 선택한다 한국사를 필수로 응시하고 물2...
-
흠냐뇨이 2
-
고등학교 호불호 좀 갈렸을 때도 그냥 개맛있게 쳐먹는 저급입맛인데 시대도 잘 먹을...
-
ㅈㄴ 지루하다 ㅅㅂ 좀 스팩타클한 사건 안 일어나나
-
이건 팩트임
-
어우 체했나 0
속이 꿀렁꿀렁 아픔요
-
화1처럼 1컷 50된다 안된다?
-
나이 좀 있는사람이 숫기도 없고 낯가리면 나잇값못해보임? ㄹㅇ솔직하게
-
세상은 나 없이도 잘 돌아가네요.....
-
클라우드 공학과와 그나마 유사한 컴공기준으로 보았을때 어디급인가요?
-
컴공생들 0
졸업하고 한국에 있으실 건가요? 아님 외국계 취업해서 나가실 건가요?
-
남캐일러 투척. 18
음 역시귀엽군
-
작수 끝나자마자 엇캐봤냐고 디엠이랑 전화 ㅈㄴ 왔는데 다들 바로 친구 점수...
-
누가뭐라해도 0
저는과탐함 작년에 생윤 했는데 너무 못했어서
-
하루종일 상주하는애라 오히려 가려지면 신경쓰일것같음 좀 자제하면좋겠내
-
거긴 갈 수 없는 세상인걸~
-
얼마나 나나요?
-
안녕하세요! 경북대학교 컴퓨터학부 23학번 재학생입니다~ 먼저, 합격을 진심으로...
-
경제 찍먹 ON 1
자료 해석 좀 빡세보이던데 기하처럼 겉보기만 그런 거라고 믿어보고 갑니다
-
휴 차단완료 0
-
영문 국문 철학 사학 순인가요 보통?
-
계산적 센스가 많이 중요함 근데 그래서 센스 좋으면 개꿀과목이긴 함
-
많이 고임?
-
강대도 이런거 만들어주세요
-
애초에 그때는 대학 진학도 많지 않던 때 아니었나... 대단하시네
-
친구가 물지였는데 경제학과도 좋다고 해서 그냥 싸닥치고 사문 지리하라고 함 결국...
-
나는 신이다 4
나를 찬양해라
-
하 동아리 13
또 박다영편이네 교수님 대체 언제오시는겁니까...
-
러셀 오메가 0
엔수 러셀 오메가 필수로 사야된다는데 퀄 좋나요ㅜㅜ 영어랑 국어도 사야한다는데ㅜㅜㅜ...
-
이거 아니면 딱히 할만한게 없네
-
제가 과기대 수시로 최초합해서 성적우수장학금을 받아서 등록금을 만원만 냈는데요...
-
ㅈㄱㄴ
-
화이팅입니다
의무론까지 간게 아니면 틀린말은 아닌것같은데..
넵 의무론이라고 쓰진 않았어요!
의무론에서 말하는 의무는 결과에 상관 없이 행위하는 것인데, (나)에서 말하는 의무와는 성격이 다른 것 같아서요...!
공리주의는 완전 틀린 답 같습니다
전 공리주의라는 키워드를 안쓰긴 했는데 그냥 읽으면 그렇게 생각할수도 있을것같아요 공리주의라기엔 요건이 부족해서 그런걸까요?
제가 생윤을 안해서, 공리주의가 이익의 합 최대 그거 아닌가요? 공리주의적인 의무처럼 따지는 의무라기보다 무조건적인 의무, 무한한 의무 같습니다. 차라리 나보다 다에서 공리주의가 더 맞다면 맞긴한데, 역시 다에서도 공리주의적 의무는 딱히 드러나지는 않은거같아요.
다는 남의 고통이 내 희생보다 더 크더라도 기본권의 관점에서 희생할 윤리적 의무가 없다고 보지 않나요? 이거야말로 공리주의는 절대 아니죠
저도 일단 나 다 읽으면서 공리주의는 0.1도 생각이 안났는데 둘중 하나 고르라면 나 보다는 다 같습니다. 그리고 다는 남의 고통이 내 희생보다 더 크더라도 기본권의 관점에서 희생할 윤리적 의무가 없다고 보지 않나요? >> 이렇게 보신건 좀 잘못된 독해 아닐까요. 다 는 그런말 한적 없는거 같은데
이건 다 지문에 거의 명시적으로 드러나있었던 내용인데..
남의 고통이 더 크면 도덕적 의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인간의 존엄성을 침해하지 않는 범위 안에서 도덕적 의무가 발생합니다. 윤리적인 의무는 발생할 수 있지만, 아닐수도 있는 거죠. / 무조건 윤리적 의무란 없다. 이 두 문장은 완전 다른말 같은데요
다른말이라고 볼 수 없고 선생님이 말씀하신 내용을 나의 지문과 비교할때 그 포인트로 잡을 수 있는 문장인거죠 나에선 타인의 고통이 자신의 희생보다 더 크다면 재산의 대부분을 사용하더라도 희생해야할 도덕적 의무가 있다고 보았으니까요
무조건 윤리적 의무가 없다고 쓴건 아닙니다 다 내용이 인간의 존엄성의 실현을 위한 기본권이 침해되는 장기(?)의 기부 와 같은 상황에서 (생명권이라고 표현했던걸로 기억합니다만) 도덕적 의무가 주어지지 않는다고 했으니까요
남의 고통이 더 크면 << 이 조건이 공리주의적 입장 아닌가요?
공리주의는 '누구의‘ 이익인가와 무관하게, 감각능력이 있는 '모든 존재들'에게 쾌락과 고통에 관한 이익은 동등하게 고려되어야 한다는 도덕적 입장을 담고 있고, 이 내용이 (나) 제시문에 그대로 있었던걸로 기억해서요...
저도 공리주의적 의무 를 나의 키워드로 잡는거에서 오류가 있다고 보이진 않는데 제가 윤리를 공부하지 않은 입장에서 나는 좀 극단적이었던거같긴 해요..
혹시 (나)가 극단적이었다고 말씀하신 게 어떤 부분을 말씀하신 건지 알 수 있을까요?? 제가 제시문이 잘 기억이 안 나기도 해서요ㅠ
생명은 그 무엇보다 소중하므로 재산 대부분을 희생해서 살릴 수 있다면 그렇게 해야한다? 라던지 기억이 잘 나진 않아요,, 공리주의가 원래 그런건가요? 자신의 모든걸 바쳐서라도 타인을 돕는? 좀 오바스럽다고 느끼긴 한..
저도 기억이 정확하진 않아서 자세히 말씀을 드릴수가 없네요 ㅠㅠ
아아 네 기억 나네요 저는 생윤을 공부 했지만 공리주의의 개념만 놓고 봤을 때 생명의 가치를 절대적으로 보는가에 대해서는 잘 모르겠네요ㅜ 그 부분은 극단적이라고 보실 수 있을 것 같아요..!
저는 공리주의가 ‘누구의’ 이익인가와 무관하게, 감각능력이 있는 '모든 존재들'에게 쾌락과 고통에 관한 이익은 동등하게 고려되어야 한다는 도덕적 입장을 지니고 있는데, 그 점이 제시문 (나)에서 직접적으로 드러났던 것으로 기억해서 공리주의적 입장을 전제한 의무부과라고 생각했습니다
말씀하셨다싶이 (나)는 재산 대부분을 바쳐서라도 무한한 무조건적인 의무를 주장. (다)는 그런 것이 인간의 존엄성을 침해하기 때문에 불가하다는 입장. / 따라서 상황에 따라 경우가 다른 것이지, 무조건적으로 도덕적 의무가 없다. 라고 쓰시는 것은 틀린것 같습니다. 정확히 말하면 (다)는 도덕적 의무가 있다고 말한적은 없습니다. 다만 도덕적 의무를 위해 재산 침탈이나 생명 빼앗기, 도덕적 해이 문제 발생시키면 안된다고 하였습니다 / (다)는 타인을 도우면 절대 안된다고 말하고 있다 - 이렇게 쓰신것은 틀린 답 같습니다. 공리주의도 마찬가지로 적절한 키워드가 아닌거 같습니다
네 다시한번 말씀드리는데 무조건적으로 도덕적 의무가 없단 뜻은 아니었습니다 기본권의 침해로 인간의 존엄성에 문제가 되는 상황에서 도덕적 의무가 주어지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기본권이 명백히 침해되는 상황에서도 상황에따라 도덕적 의무가 발생할 수 있다고 보는건 다 지문의 해석을 과하게 하신게 아닐까 싶습니다
'타인을 도우면 절대 안된다'는 누가 그렇게 생각한걸까요,,
"남의 고통이 내 희생보다 더 크더라도 기본권의 관점에서 희생할 윤리적 의무가 없다고 보지 않나요? " >> 이렇게 쓰셨다면 틀리게 쓰신거 같습니다.
네네 그렇게는 안썻던걸로 기억합니다 '기본권의 관점에서'는 너무 포괄적이고 다 가 전하고자 했던 바/제가 전하고자 하는 바를 담지 못하는 표현이라고 생각합니다
아 그리고 마지막 문장때매 말씀드리는건데 희생할 의무가 주어지지 않는것하고 희생해선 안되는것은 서로 완전 다른거라고 생각합니다..
(다)에서 의무에 대해 논한적이 없는거 같아서 의무에 대해 쓰셨다면 좀 핀트 어긋난거 아닐까요? 문제 발문도 (가) 문제상황에 대한 견해이지, 도덕적 의무에 대한 견해는 아니였던거 같은데요
비교포인트를 어떻게 잡으셨을까요?
’도덕적 의무‘에 대한 서로 다른 견해를 비교하지 않고 문제상황에 대한 견해를 다룰수 있는거였었나?
제가 잘 기억이 안나네요
혹시 왜 그렇게 생각하시나요? (다) 에서는 남의 고통 (신장병)이 크더라도 희생할 윤리적 의무 (신장 기부 의무)가 없음을 기본권의 관점에서 주장한 것 아닌가요? 제시문에서 직접 언급한 내용으로 기억하는데요...
(나)에서는 도덕적 의무가 있디 >> 이건 유추 가능한데, (다)에서는 도덕적 의무가 있다 없다 라고 유추가 불가능하다고 지금도 생각하고 있습니다. 다만 '기아 문제' 에 대해 바라보는 견해의 차이에 대해 비교 포인트로 써주셔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나)는 기아문제에 대해 이렇게 생각한다. (다)는 기아문제에 대해 이렇게 바라본다. 이렇게 써주셔야 하는거 아닐까요? 도덕적 의무가 있다 없다 차원의 논의는 기아문제에 대해 바라보는 시선과는 약간 다르머 논제 이탈같습니다? / 기부는 도덕적 의무이다 아니다 >> 이건 자신의 견해 그파트에서 추출해내는거 같습니다
결국 기아 구호 기부가 선택이냐 도덕적 의무이냐에 대한 서로 다른 견해로 기아문제를 어떻게 바라보는지 그 차이를 추출해낼 수 밖에 없는 구조인데..
기아문제에 대해 다른 견해를 보인다는 근거를 어떻게 작성하셨을지 궁금하네요..
채점 중이라 자세히는 말씀못드리겠네요 ㅠ 대충 기아문제를 생명적 가치에 대한 견해? 로 바꾸고, (나)는 인류가 영끌하여 기아문제(생명적 가치에 대한 문제)를 반드시 해결해야 한다고 말한다. (다)는 기아문제(생명적 가치)를 어쩌구 어떠한 선상으로 바라본다. 뭐 이렇게 쓰셔야 한다고 생각해요. 그에따른 도덕적 의무는 유추는 당연히 가능합니다. 그건 설득력 있게 쓰시면 다 정답이 되는거구요.
(다)는 도덕적 의무를 지울 때 기본권과 공과를 고려해야 한다는 내용이 아니었나요? 그래서 기본권을 크게 침해받지 않고 기아 문제가 오롯이 기아 인구의 공과에 의한 것이 아니라면 도덕적 의무가 부여된다고 해석했는데요 저는
기본권을 크게 침해받지 않고 기아 문제가 오롯이 기아 인구의 공과에 의한 것이 아니라면 도덕적 의무가 부여된다고 해석했는데요 >> (다)가 이렇게 말했다기보다, 기본권이 침해되거나 공과에 의한 것이라면 도덕적 의무가 없을 것이다. 정도로 유추 가능한 것 같아요. ( 기아문제에 대해 도덕적 의무가 부여된다. 라고 명확히 말한적은 없습니다. ) //// 이렇다면 도덕적 의무가 없다 (o) >> 이에 해당하지 않는다면 의무가 있을것이다 (x, 이건 (다) 의 주장이 아님) /// (다)말고 본인 생각 쓰신거 말씀하신거면 그건 정답 가능한거 같아요
내용궁금한데 길오서 읽기싫노
원래 윤리에선 옳은 일을 제시하고 그것이 곧 해야 하는거 맞죠? 그러면 의무를 부과하는거라고 볼 수 있지 않을까요
공리주의도 이득이 되면 하라고 하니까, 이득이 되도록 행동해야 할 의무를 부과하는 것처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