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2511 물2 주요문항 해설 + 앞으로의 학습 방향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0152376
얼마 전에 치루어진 25 수능에 대한 총평과 주요문항 손풀이, 그리고 앞으로 물2에 대한 선택과 학습 방향 등에 대해 이야기해보고자 합니다.
우선 25 수능 물2는 9모보단 꽤 어려웠고, 작년 수능과는 비슷한 난이도였습니다. 231120과 같은 고난도 킬러나, 230907과 같은 개념형 변별 문항 등은 없었고 늘 하던 것들을 한 시험지에 모아둔 느낌의 시험지였기에, 학습을 충실히 한 학생이라면 큰 어려움을 느끼지 않았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만 변위 벡터나 속도 벡터와 같이 각종 스킬들을 사용하여 시간을 줄일 수 있는 문제들이 꽤 있었기에 스킬들의 숙련도에 따라서 느껴지는 난이도는 달랐을 것이라 예상되네요. 주요 문항에 대한 손풀이와 함께 각각의 문항들에 대한 코멘트를 해보고자 합니다.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참고로 중간중간에 나오는 포물선 문항에서 제가 변위 벡터, 정사영, 속도 벡터와 같은 단어들을 사용하여 설명할텐데 해당 개념에 익숙하지 않으신 분들은 제가 과거에 써둔 글(https://orbi.kr/00066376736)이나 다른 분들이 써주신 칼럼 등을 참조해보시면 좋겠습니다.
5번 문항은 단진동에, 최소공배수를 통해 동시에 만나는 주기를 구하는 문항입니다. ㄷ 선지가 익숙한 내용은 아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풀어내는데 어려움은 없었을 것이라 예상됩니다.
6번 문항은 등가회로를 만들어 푸는 전형적인 회로 문제입니다. 이때 회로 전체가 아닌, 직접적으로 구하는 전류가 지나는 전선만 생각해서 전류를 구하는 점을 활용하면 쓸데 없는 도선을 고려하지 않고 계산을 조금이나마 빠르게 할 수 있겠습니다.
원운동에 관련된 실험을 해석하는 문항입니다. 익숙하진 않지만 차분하게 비례관계들을 생각하면서 풀어주면 그리 어렵지는 않았던 문항입니다. 정량적인 사고보다는, 정성적인 사고를 요구하는 측면이 더 컸습니다.
자기장 문항입니다. 도선을 돌린다는 세팅이 낯설었을 수는 있겠으나 평소에 하던 계산과 다를 것은 없어 보입니다. 이때 (가)와 달리 (나)에서는 두 자기장의 방향이 수직이라는 점을 주의하여, 단순히 더하는 것이 아닌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통해 계산하여야 합니다.
도플러 효과 문항입니다. 해당 문항은 매우 익숙한 세팅이기에, 저와 같이 문제 풀이에 익숙한 사람들은 바로 세 번째 줄부터 써내려가곤 합니다. 약간의 센스를 발휘하면 19라는 분모가 보이는 순간답은 1번일 것이라고 추정해볼 수 있죠.
과거 기출에서도 익히 볼 수 있는, 빗면에서의 포물선 운동을 해석하는 문항입니다. 정사영을 활용하여 해당 상황을 해석하는데 익숙하신 분들이라면 제가 그려둔 그림을 문제 위의 그림에 바로 입혀 빠르게 풀고 넘어가실 수 있을겁니다. 오른쪽에 왜 이런 결론들이 나오게 되는지에 대해 자세히 써두었으니 궁금하신 분들은 위에 링크를 걸어둔 칼럼과 함께 차분히 읽어보시면 좋겠습니다.
개념적인 내용들로 해결되는 무난한 축전기 문항입니다. 축전기 문항인데 전하량에 대해서 하나도 물어보지 않은 것은 개인적으로 살짝 아쉬웠습니다.
Ta는 힘의 평형을 통해, Tb는 막대B의 오른쪽 끝을 축으로 잡아 풀면 되는 무난한 문항입니다. 다만 Ta를 구하는 방법이 살짝은 뜬금 없게 느껴져 살짝 시간을 소비하신 분들이 있을 수도 있겠습니다.
250620에서와 마찬가지로, 전자기 유도에 대한 거의 모든 것을 요구하는 문항입니다. 대다수가 그래프를 바탕으로 ㄱ과 ㄴ 선지를 판단하는 과정까지는 익숙하셨을 것 같은데, 일부 학생들은 ㄷ에 나온 자기 선속에 대해 익숙하지 않을지도 모르겠습니다. 혹시라도 흔들렸다면 해당 개념을 정확하게 정리하고 넘어가시길 권해드립니다.
형태는 조금 무섭게 생겼지만, 생각보다 너무 무난하게 풀리는 문제입니다. 빗면에서의 운동 에너지 변화를 통해 변위와 속도의 관계를 이용하고, 이를 포물선 운동에 접목시켜 포물선 운동에서의 변위를 구해내는 것이 핵심입니다. 문제에서 속도의 각이 나와있기에 속도벡터를 사용하면 효율적인 문제풀이가 가능했을 겁니다.
전기장 해석 문항입니다. 늘 하듯이 전하량의 부호와 크기를 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정량적인 계산을 수행해주면 됩니다. 위의 자기장 풀이에서도 느끼셨겠지만 저는 전자기장 문제들을 풀 때에도 벡터들을 이어붙여 해석하는 것을 선호합니다. 이렇게 기하적으로 해석할 때 특수각 관계 등을 활용하면 더 빠르게 잘 보이는 요소들이 많기 때문입니다.
241120에서 나온 상대운동 그래프를 다시 가져왔지만, 조금 더 많은 것들을 숨긴 모습입니다. 상대 운동이 등속운동이라는 것을 그래프를 통해 인지하여, 두 물체의 가속도가 같다는 것을 찾은 뒤주어진 변수들의 관계를 고려하야 변위벡터를 통해 계산하면 되는 문항입니다. 이 문제의 진입장벽은 두 물체의 가속도가 같디는 것을 인지하는 것이였고, 이 뒤의 계산은 스킬 등을 능숙하게 쓸 수 있냐에 따라 계산 속도가 꽤나 차이났을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종합적으로 난이도를 따져보면 20은 꽤나 어려웠지만 다른 문항들에서 상위권 학생들이 발목을 많이 잡히진 않았을 것 같네요. 올해 표본 기준으로는 47점이 합리적인 커트라인이라고 보입니다. 이보다 살짝 높을 가능성도 아예 배제하진 못하겠네요.
앞으로 물리학2 선택하고자 고민하는 학생들이 많은 것 같아 선택에 도움될 몇몇 팁들을 조금만 첨언하겠습니다.
작년에 저에게 물2를 선택할거냐고 물어본 학생들에게 저는 그렇게 호의적인 대답들을 주진 않았던 것 같습니다. 올해도 제 생각은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화1과 화2 정도를 제외하면 현재의 물2 1등급 표본보다 높은 수준의 표본을 가지고 있다고 말할 수 있는 과목은 거의 없을 것 같습니다. 또한 21 수능 사태처럼 이 과목은 언제든지 사고가 날 수 있는 과목이기도 합니다. 본인이 서울대를 목표로 하여 투과목을 하나 끼려고 할지라도 저는 생2나 지2처럼 표본 안정성이 더 나은 과목들을 추천해드리고 싶습니다. 오직 가슴이 시킨다는 생각이 들거나, 투과목을 하고는 싶은데 다른 과목들이 영 내키지 않을 때에 물2를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학습을 하게 된다면 기출과 강의, 시중 컨텐츠(배기범 컨텐츠 등)을 중심적으로 활용하시고, 한 가지 풀이법에 의존하는 방식이 아닌 다양한 방향의 풀이를 생각해보고 최대한 시간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끊임없이 고민해보시길 권하고 싶습니다. 그것이 다 시험장에서 여러분의 안정감을 만들고, 혹시 모를 변수에도 무너지지 않는 강력한 기반이 될 겁니다. 파트별로 자세한 학습법이 궁금한 학생들은 이 글을 참고해보시면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추후에 수요가 있다면, 26버전으로 다시 글을 보완하고 수정하여 업로드하겠습니다.
25 수능을 치르시는 분들께 힘든 과목 선택하시고 공부하시느라 참 고생많았다는 말씀을, 26 수능을 치르시는 분들껜 무운을 빈다는 말씀을 그리고 싶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눌러주시고, 궁금한 점이 있으시다면 댓글이나 쪽지로 남겨주신다면 상세히 답변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0 XDK (+20,000)
-
10,000
-
10,000
-
이번엔 불 아니라 최상위권은 다 잘 갔을꺼 같은데 휘문 경기 중대 정신 숙명 진선...
-
너무 행복하다 ㅠ
-
원래는 점유소유 골랐다가 내가 대가리 깨질뻔해서 다른걸로 추천받는다
-
중요한건 바로 노무현은 살아있다는 거임
-
군수 칼럼 수요있을까요 15
여기 계신분들에 비하면 초라한 결과지만 전반적인 과정이나 애로사항 이런거 작성하면...
-
X..
-
작수는 24211 (화작 94점ㅜㅜ)이었고 3개월간의 미친 노력끝에 영어는 고정1...
-
살기싫다 12
자살
-
한선생님 커리만 쭉 탓는데 이번수능에서 언매문학은 다맞고 독서를 너무틀려서 84점을...
-
1사1과 고민 1
대학 졸업하고 다시 수능 준비하는 1인인데요. 작년에 짧게 준비하면서 2과탐 했다가...
-
지구과학 공부법 2
네이버날씨 보기
-
예상 댓) ’설물천‘
-
세종대 61명 뽑는과 최초예비 43이였고 1차 12명 2차 10명 3차 6명 빠져서...
-
제일 혜자인과목인걸로아는데 그래서 보통 다들 독학으로 해결함?? 아님 1타가 또 따로있음???
-
어제는 된찌냄새 나다가 오늘은 오징어봌음냄새나노... 참고로저는 스터디룸 1인실안에있습니다
-
유니 떴어요 2
확인ㄱㄱ
-
ㄹㅇ
-
지방사립대 갈 정도였던 애가 저정도면 성공한건가요 ㅠ
-
아 또 마주쳤어 4
나 오늘 못생겼는데..
-
시립대 행정 비전 18
시립대 행정 2차 예비 1번이라 전추 무조건 돌 듯함니다 경희 호경 등록 포기하고...
-
중앙대학교 소프트웨어학부 25학번 새내기를 찾습니다!! 0
안녕하세요 중앙대학교 소프트웨어학부 (준)제53대 학생회 ‘S_Way입니다. 힘들고...
-
어떤걸 선호하시나요???
-
국민대 합격생을 위한 노크선배 꿀팁 [기숙사, 자취방, 하숙, 고시원] 0
대학커뮤니티 노크에서 선발한 국민대 선배가 오르비에 있는 예비 국민대학생, 국민대...
-
뱃지받았어요 2
히히
-
학교 0
ㅈ같다다여기서 1년을 어케 공부하지
-
오르비 할 시간 있으면 당장에 실모부터 돌려야 하는 거 아니냐?
-
정치에 발목 잡힌 원전 수출…스웨덴 포기, 폴란드 무산 위기 0
탄핵 국면이 장기화하면서 ‘팀 코리아’로 해외 시장을 개척해 왔던 원전·방산 등...
-
다들 안녕하세요
-
물리해도 될까요 3
25수능에서 화1, 지1 선택해서 화1은 1등급 받고 지1은 4등급 받았습니다....
-
원래 인서울 공대 희망했는데 메디컬도 한번 도전해보고 싶어서 최저로 생지 할라는데...
-
ㅇㄷㄴㅂㅌ 국숭세쓰기 싫어서 3개다 건동홍+과기대 섞어쓰면 딱 3떨하기 좋은 코스인듯
-
또 망한거냐 오르비!!
-
맞팔9합니당 5
금테를 향해
-
에리카 경제 빠지실 분 없나요? 제발요ㅠㅠ
-
학고 반수 질문 5
1학기 경고받고 2학기 휴학 낼건데 수강신청은 해야하나요? 등록은 했는데 처음이라서...
-
서울대 추합 1
일정에 3차 추합은 19일 18시까지 라고 되어 있던데 2차까지 인터넷 발표하고 그...
-
돌 것도 같고 아닐 것도 같은 애매한 번호라..
-
과목 추천좀여
-
엿됐다 걍 2
오늘 약속인데 수강신청안하면 죽는자린데 아
-
스레기 4
나는 스레기임
-
문과) 단대 아주 23
단국대는 법대 아주대는 경제정치사회융합학부인데 아웃풋이 어디가 괜찮나여??
-
알려주실 분들 있나요 차단 버튼은 못 찾겠음
-
생1지1나 물1지1중에 뭐가 더 좋을까요?
-
타미더써썩 0
왜 이리 가까이 찍어 얼굴 를
-
순천향의 합격 ㅇㅈ 21
방금 전화통보 받았네요 저는 가군으로 빠집니다~
-
확인들혀
-
전날 되니까 칸수 많이 내려가서 낮공까지도 생각하고 있었는데 컨설팅에서 60%...
돌아왔구나 채태식이
그 내가아는 만채님인가?
좋은 글 감사합니다.
돌아오셨었군요
와 진짜 좋은 글 감사합니다.. 자세한 공부법도 추후에 올려주시면 정말 감사할 것 같아요!
해설 완전 깔끔하니 좋네요
물1에서 물2런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물2도 좀 하긴했었는데..
물1 1등급 표본과 물2 1등급 표본이 거의 비슷하다는 점은 고려하셔야 할 것입니다. 역학이 어려워서 넘어오시길 고민하시는 것이라면 물2로 오시더라도 긍정적인 결과는 힘들 것이라고 생각하고, 전자기 퍼즐 등에서 너무 스트레스를 받으신 것이라면 물2에서 괜찮은 결과를 기대해보실 수도 있습니다.
헉 아니 이분 언제돌아오심ㄷㄷㄷ
물1지1에서 질려버려서 물2화2지2 중에 2개로 런치려는 사람입니다.
역학보다 2단원에서 계속 오답이 나와서 이번에 수능도 거시기했고 지구과학도 1페이지에도 오답이 떠서 충격받은 상태입니다... 참고로 화2는 영재고 준비할 때 공부했었습니다. 물2,지2는 내신때 했었고요
물1의 2단원이 스트레스여서 힘들었다면 물2가 오히려 더 잘 맞을지도 모르겠습니다. 물2에서는 물1과 같은 전자기 퍼즐과 같은 형태의 문항은 거의 출제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물2화2를 선택하는 것은 표본의 안정성 측면에서 추천드리고 싶지 않고, 그럼 물2지2나 화2지2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시는 것이 적절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다만 올해 수능 지1에서 뒤통수를 맞은 느낌을 받으셨다면 지2를 선택하는 것에 대해 제고해보시기 바랍니다. 지1과 마찬가지로 지2에서도 수능날 갑자기 충격죽인 오답이 뜨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전 지2는 조금 더 고려해봐야겠네요. 이번 지1에서 심하게 뒤통수를 맞아서
물1 1등급 (25수능 18번 틀 47점) 실력이면 물2 1등급은 어렵지 않다고 보시나요? 물2도 내공도 꽤 있어서 내년에는 물2로 보려고요 (사실 1과목 표점 꼬라지를 보고 충격을...)
물1과 물2의 최상위권 표본 수준은 비슷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물1 1등급 받을 노력을 물2에 투자하시면 물2에서도 1등급을 받으실 수 있을겁니다. 다만 표준점수의 경우 내년에 물2도 물1과 비슷해지지 읺을까 살짝 우려스럽긴 하네요.
오 그렇군요 상세한 답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