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00덕) 241121 도와주실 분 구해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0035268
일단 문제는 이렇게 생겼고
아래 사진은 해설인데
[그림 1]에서
f(a)가 왜 5인지 이해가 갈 안 갑니다..
혹시 알려주실 분 계신가요?
다른 방법으로 풀어내긴 했습니다만
아래 풀이도 익혀가고 싶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이모지 그새끼 글보니까 1컷 93 ㅋㄲㅋㅋㅋㄱㅋㄱㅋ 고아새끼
-
안 그러면 저처럼 입시 망령 됨
-
메인글 재밌네 ㅋㅋ
-
Sniper On
-
[단독]‘공학 전환 몸살’ 동덕여대 “철회는 어렵다…불법 점거 책임 물을것” 16
“학생들이 이렇게 화를 내고 사태가 이 정도까지 커질 거라고는 생각 못했다.” 최근...
-
여친짤 ㅇㅇ
-
화1은 미친 과목이 맞음
-
인생사 새옹지마 21
塞翁之馬 변방 새 늙은이 옹 어조사 지 말 마 [인생의 길흉화복은 변화가 많아...
-
공통 한완기 오답해야하는데 확통을 자꾸 미루게 돼서요.. 일주일안에 개념원리,...
-
난 맞혓는데..안되는데…….ㅂㄷㅂㄷ
-
리프레쉬가 주목적이라...꾸준히 조금씩하면 그리 시간 부족하진 않겠죠?
제시된 닫힌구간에서 최댓값이 g라 했는데
최댓값은 극대 또는 양끝값이므로 t를 옮겨가며 관찰하면 g의 개형을 파악할 수 있어요
이때 이차함수의 극대를 지나 더 가면 g가 감소하기 시작하는데, t가 a를 지나고 충분히 더 간 시점에서는 증가하는것 또한 알 수 있어요.
그러면 결국 f가 다른 식으로 바뀌는 6근처에서 g가 5이상의 극소를 가져줘야 합니다. 왜냐하면 g(0)=5 인데 이게 최소이기도 하기 때문이죠. (최소, 최대는 여러개 존재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감소하는 구간과 증가하는 구간 사이에서 a가 어떤 범위여야 g가 5이상일지를 따지면 됩니다
그 구간에서 극대는 존재하지 않으므로 길이 2짜리 닫힌구간에서 최댓값(g)는 양끝값 중에서 나올 것이고, y=5 이상인 범위에서만 양끝값이 나오게 하려면 감소하는 좌끝값이 5보다 작아질때 증가하는 우끝값이 5이상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f(t-1)=5일 때 f(t+1)또한 5이상이 되어줘야 하고 이때 t=6 이므로
f(7)이 5이상이다를 풀어주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