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법 글 읽고 궁금해진건데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0033356
투표 인원이 30명이고
후보가 A B C D 4명인 상황에서
1차 투표에서 A 8 B 8 C 8 D 6 이렇게 나오면
A B C 모두 2차 투표로 올라가는건가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님들 미적 27~30맞출 자신없는 공대지망 국4영2탐3,4면 확통으로 틀어도...
-
나 저격좀해줘 3
흐흐흐흐
-
일정 변경이 있어 내용 수정합니다. 11월22일 수정 출간예정일에 구매가능하도록...
-
물2 과외 받을실 분 10
물2 69수능 50점 시간 남기면서 다 맞게 만들어드림
-
정말로 입이 험해지지 않고 마음에 여유가 생긴 느낌
-
이륙 ㄱㄴ? +내신 BB인데 잘못입력함
-
07인데 저희 학교는 2학년때 탐구를 4개 다 들어버려서 사문 생윤 경제 해봤는데...
-
현 고1이고 수능 준비 하고 있습니다 수1 수2 미적 개념이랑 유형이랑 2,3 점대...
-
여기 시발 일본중국밖에없는데
-
33257수의대 1
과탐은 올해하다가 놧는데 재수하면 수의대 갈 수 잇을까요 과탐은 생지로 바꾸려합니다
-
ㅋㅋㅋㅋㅋ아니 화학 해보려했는데 사탐런을해야하겠네..
-
나따위가 무슨 고경제야 고대 보통과에 만족해야겠다
결선투표면 상위2명만 다시 하는건데, 그런 상황은 문제에서 나올 리가 없지 않을까요?
저도 그게 문제에 나올거라고 생각하진 않은데 그냥 궁금해서 적어봤어요.. 다른 투표자"들"에 대해서 논쟁이 되길래 이런 사례는 고려 대상이 될 수 있는지 그냥 궁금했어요(사탐 선택 경험도 없어서 그냥 글 읽다가 든 순수한 호기심입니다!)
제가 알기론 셋 다 올라갈걸요
감사합니다!
당선인 결정 제도는 국가마다 다릅니다. 미국 대통령의 경우 선거인단 동률일땐 원칙적으로 하원 의장이 당선인을 결정하게 되어있고,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대통령 선거에서 동률일땐 국회 표결을, 외의 다른 선출직은 고령자가 당선인이 되는 등 각자 다르지만 언급이 없다면 일반적으로는 공동2위가 모두 결선으로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