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수학 분석및 총평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961593
1. 총평
2025학년도 수능 수학 영역은 9월 모의평가와 비슷한 방향을 유지하였으나, 난이도는 약간 높아진 것으로 보입니다. 2024학년도 수능과 비교했을 때, 공통 과목의 난이도는 약간 쉬운 편이었고, 선택 과목은 다소 어렵게 출제되어, 9월 모의평가와 마찬가지로 1등급을 변별하고 선택 과목 간 유·불리를 줄이려는 의도가 보입니다. 다만, [확률과 통계] 과목은 다른 선택 과목들보다 난이도가 상대적으로 낮았습니다.
2. 세부 출제 경향
[공통 과목]
2024학년도 수능과 비교하면 수학Ⅰ과 수학Ⅱ의 문항 수는 각각 11문항(37점)으로 동일했지만, 수학Ⅱ의 난이도는 약간 낮게 출제되었습니다. 이는 2025학년도 6월과 9월 모의평가와 같은 경향을 반영한 것으로, 특히 변별력 있는 문제로 수학Ⅰ의 단답형 15번(‘미분’)과 22번(‘수열’)이 출제된 점이 특징입니다. 그러나 9월 모의평가보다 계산량이 많아 전반적으로 체감 난이도는 높았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확률과 통계]
미적분과 기하에 비해 절대적인 난이도는 낮았으며, 2024학년도 수능과 비슷하거나 약간 쉬운 수준으로 출제되었습니다. 2025학년도 9월 모의평가와 비교했을 때도 다소 쉬웠습니다. 가장 어려운 문제는 단답형 30번이었으며, 주요한 4점 문제로는 28번(경우의 수), 29번(통계), 30번(확률)이 출제되었습니다.
[미적분]
2025학년도 9월 모의평가와 유사한 흐름을 유지하며, 단답형 29번과 30번을 통해 변별력을 높였습니다. 난이도는 2024학년도 수능보다 약간 높고, 9월 모의평가보다는 더 어려웠습니다. 주요 4점 문항으로는 28번(적분법), 29번(수열의 극한), 30번(미분법)이 균형 있게 출제되었습니다.
[기하]
2025학년도 9월 모의평가와 비슷한 방향을 유지하면서, 단답형 30번에서 변별력을 확보했습니다. 난이도는 2024학년도 수능과 비슷하고 9월 모의평가보다는 약간 어려운 수준이었습니다. 주요 4점 문항으로는 28번(공간도형과 공간좌표), 29번(이차곡선), 30번(평면벡터)이 출제되었습니다.
3. 난이도
2025학년도 수능 수학영역 각각의 선택과목의 난이도를 2025학년도 9월과 2024학년도 수능과 비교하여 정리해보았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ㅅㅂ 1학기학점 박앗는데 어카지
-
친척동생 성적인데 이거 교차하면 어디까지 갈 수있을까요? 서성한 가능한가요?
-
올해 화작했는데 3
언매 공부량 생각해보면 화작이 좀더 이득일수도..
-
언매 미적 영어 생1 지1 원점수 98 100 82 45 44
-
6월부터 개강하는 시대나 강대에서 반수하면 급식비/교재비 등등 학원에 무조건...
-
실제 성적표 나오면 좀 올라갈라나? 지금에서 좀만 더 올라가면 좋겠는데 메가 백분위 정확한거 맞음?
-
고려대 성균관대 한양대 중앙대 컴공 쪽으로 논술 썼는데 어디까지 가야할까요? 고대 성대 성논 최저
-
최악의 컷예상 5
언매 94 수학 92 한지 48 사문 47 이럼 재수확정ㅋㅋㅋㅋㅋㅋ아 ㅋㅋ
-
화작 기하. 생명1 지1 문과로 넣어도 국숭세단은 힘들까요ㅠ
-
담배말리네
-
작년엔 나 포함해서 80퍼는 사라졌었는데
-
괜찮아보일까요?
-
응응.. 32211로 하자
-
이게 한국사라는건데...
-
실전개념만 있는것 말구 최대한 자세히 나와있는 개념서 추천 부탁드립니다 노베용도 괜찮아요
-
확통 30 59 40 33 미적 48 31 21 18 기하 47 33 48 8
-
전자공학과 가고싶은데
-
홍대 가능한가요 4
평소에 21112 받다가 이번에 그냥 멘탈 갈리고 망해서 그냥 단념하고 홍대...
미적분에서 오타났어요
난이도는 2024 수능보다는 약간 낮고로 수정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