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2 복습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909046
복습하고 있는데, x^2+alphax+beta는 허근인가요? (beta>0)
x-r을 인수로 가지면 점근선이 되니까....?
궁금하네용
형님 누님들 수능 잘 보시길 응원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제발ㅜ
-
2페 두개 틀린거 석나가는데 ㅋㅋ
-
둘다 1컷 될까 는 영어89ㅅㅂㅅㅂㅅㅂㅅㅂ 차피 과탐 조져서 상관없으니 좋아쓰!
-
언미영사지 백분위로 73 94 4 96 89 4 2 4 1 2 입니다 제발 ㅠㅠㅠ
-
건동홍 될까요 0
언미영화지 백분위 89 94 1 80 95
-
본인 수능 결과 0
국어 87 언저리 수학 77 영어 3 국수 사이좋게 2 입갤할듯 ㅋㅋㅋ
-
Ebs??
-
오늘 서울에 있는 모 고등학교에서 세번째 수능을 봤습니다 자리는 홀수 21번이고...
-
수능이 망했군. 1
그래그래 그건 사실이야
-
화학 수능 답 1
54321/31552/31353/24425 맞을까요?
-
1컷 : 92 2컷 : 84 3컷 : 76
-
분명히 기억 속에서는 3번 찍은것 같은데 가채점에는 2번 찍어서 틀린 문제가...
-
국어 답 1
다운이 안되는 이유가 뭔가요
-
인원도 많고 표점도 높고 암기량도 비교적 적어서 사탐할때 사문은 무조건 해야한다는 주의였는데 엄..
-
체감난이도 어떤거같나요?
-
D-364 쓰러지지 않을 TEAM03은 개추 ㅋㅋㅋ 1
가보자고~
-
문제보니 어렵고 빡빡해서 요즘 물생명에 익숙해졌다면 말릴 확률 커보임..
-
ㅇㅇ
-
ㅈㅂㅈㅂㅈㅂ
그냥 fx 한번에 구하고 하나씩 대입해버면 되지 않나용
n=1일 때만 놓고 생각한다면 1이 아닌 실수 p와 k에 대해 (x-p)(x-k)를 인수로 가져도 괜찮죠!
g(x)가 x-r을 근으로 못가지는게 맞겠죠..?
f(x)=(x-1)^2(x-r)로 두었을 때 g(x)가 (x-r)을 인수로 가져도 (x-1)을 인수로 갖지 않는다면 등식이 성립합니다. 이후 n=2일 때 f(x)=(x-1)^2(x-2)임을 확정지을 수 있고, n=3과 n=4에서 g(x)를 결정하실 수 있습니다.
아 그런 생각은 못했네요..ㅎㅎ 극한값이0이니까, 분자의 x-1 인수>분모의 인수 x-1라서
분모가 x-1을 근으로 안 가질수도 있겠군요!!
근데, 삼차함수면 최소 한 점에서 만나지 않나요?
그게 x-1아닌가..?
x-1을 인수로 가지는 이상 나머지는 근으로 안 생기는것 같은데(뇌피셜..ㅜ)
일단 아래 풀이는 맞을까요?
n=1일 때, f(x)=(x-1)^2(x-r)로 두면 g(x)가 (x-r)을 인수로 가져도 괜찮습니다. x가 1로 가는 극한을 조사하는 상황이기 때문에 (x-1) 외의 인수는 극한이 발산하는 데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그래서 g(x)가 (x-r)을 인수로 가져도 괜찮습니다. (x-r)(x-p) (p는 1과 r이 아닌 실수) 도 괜찮고 (x-r)^2도 괜찮습니다.
만약 r=1이라면 f(x)=(x-1)^3이고 g(x)=(x-1)^2(x-k)인데 k=1이라면 등식이 성립하지 않아 k가 1이 아닙니다. 그런데 k가 1이 아니면 n=2일 때 f(x)=(x-1)^3에서 등식이 성립할 수 없기 때문에 모순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r이 1이 아닌 실수이고, n=2와 n=3 그리고 n=4일 때도 마찬가지로 생각해 보시면 g(x)가 (x-2), (x-3), (x-4)를 인수로 갖지 말아야 함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아 지금 깨달았는데,
(가)조건에 의해서 g(x)는 x-1을 근으로 가지는거 아닌가요?
네, 정확히는 g(x)=(x-1)Q(x)로 두었을 때 Q(x)의 인수에 대해 이야기한 것이라 생각해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x-1)을 추가로 인수로 갖는지 그렇지 않는지

감사합니다:)정의역이 모든 실수라든지 그런 경우에는 약분 불가능한 0인수가 분모에 있으면 님 말대로 되는게 맞는데
이 문제처럼 정의역이 한정되어 있는 경우면 분모에 약분되지 않는 0인수가 있더라도 항상 수렴할 수 있죠 분모가 0이 되는 지점이 정의역 내에 포함만 안 되면
아, 그러면 문제에 모든실수에 대해서... 이런 조건이 있어야 제가 사용하는게 인정되는건가요?
f와 g 모두 다항함수이기 때문에 정의역은 실수 전체의 집합이 맞습니다. 다만 말씀하신 것처럼 n=1, 2, 3, 4일 때 각각 x=1, 2, 3, 4에서의 극한을 조사하기 때문에 x=1, 2, 3, 4 '근처'만 고려하는 것으로 바라볼 수 있고, 따라서 x가 1로 갈 때의 극한을 조사할 때 분모에 1이 아닌 실수 k에 대해 (x-k)가 있더라도 극한이 발산한다거나 함수 f(x)/g(x)가 수직 점근선을 갖는다거나 생각할 필요가 없죠!
정확히 말하면 책참님 말이 맞습니다
저는 n이 한정되어 있다는 걸 말하고 싶었습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
정말 감사합니다!! ㅜ답변자님 아니였으면 큰일났었겠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