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영어 빈칸 걱정하지 마세요. 패턴이 있습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898301
안녕하세요! 수능을 데이터로 분석하는 팀 아드바크입니다.
수능이 하루 앞으로 다가온 지금, AI로 분석한 인사이트를 여러분에게 알려드리기 위해서 이렇게 찾아뵙게 되었습니다.
수능을 앞둔 고3분들과 N수생을 위한 요약
1. 수능영어 독해 지문의 난이도를 조절하는 방법은 주제를 어렵게 하는 것과 논리구조를 어렵게 하는 것,
두 가지로 구분된다.
2. 두 가지는 원래 독립변수다.
즉, 주제의 난이도가 같더라도 논리구조를 어렵게 만들 수도 있고,
논리구조가 같더라도 주제를 어렵게 가져갈 수도 있다.
3. 평가원은 두 방식을 각각 또는 동시에 사용하며,
6평과 9평에서 항상 두 가지를 모두 실험해보는 경향이 나타난다.
그런데 작년에 비해 올해는 주제의 낯섦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이 특히 민감했다.
4. 따라서 올해 수능에서 평가원은 정답률 40%대의 적당한 빈칸 문제를 낼 때
논리구조를 어렵게 하는 대신 주제를 쉽게 가져가거나(9평 34번),
주제를 어렵게 하는 대신 논리구조를 쉽게 가져갈 가능성이 크다(6평 33번).
즉 둘다 어렵게 내긴 쉽지 않을 것.
5. 결론은 수능에서, 주제가 너무 어렵다면, 논리구조가 이해할 수 있는 수준으로 나올 것이니
찬찬히 문장의 의미 변화를 따라가며 읽으시면 되고,
논리구조가 복잡한 지문은 그래도 이해할 수 있는 주제로 나올 확률이 높으니
너무 걱정하지 말고 본 실력대로 잘 보고 오시기 바랍니다. 화이팅!
근거는 무엇인가? 하면 아래의 긴 분석글을 읽어봐주세요 ㅎㅎ
------------------------------------------------------------------------------------------------------------
우선 이번 6평 32번과 34번입니다.
딥러닝 모델을 활용해 두 지문의 논리구조를 분석해볼까요?
아드바크 내부에서 사용하는 방법론으로 해당 지문들의 논리구조를 대표할 수 있는 feature를 추출하구요,
31번 문제와 34번 문제의 논리 구조를 3차원으로 축소시키면 아래와 같습니다.
(왼쪽은 32번 문제, 오른쪽은 34번 문제)
두 사진에서 1번 문장 좌표에서 마지막 문장 좌표까지 비슷한 그래프를 그리죠?
이 뜻은 두 문제의 문장간 논리 구조가 거의 비슷하다는 겁니다. (통념/반박 구조라고 보통 부르는 그것이죠)
그런데 32번의 오답률은 55%, 34번은 78%였습니다.
무엇이 차이였을까요? 바로 주제입니다.
두 지문의 주제는 각각 32번 - '창의성에서 유용함의 중요성', 34번 - '개인별 음악적 인식 모형 형성 과정의 공통점과 차이점' 입니다.
무엇이 더 쉬운 주제인가요? (당연히 32번이죠)
결국 논리 구조는 같으나 주제의 차이 때문에 큰 오답률 차이가 발생했고,
이 때문에 평가원은 9월에서 6월 34번처럼 괴랄한 주제는 가급적 피하는 모습을 보였다고 생각할 수 있겠죠.
덕분에 9월 모의고사는 3등급 50%라는 슈퍼 물등급컷이 나왔습니다.
결론은 무엇이냐.
평가원에게 6월과 9월은 수능을 위한 실험의 장이고,
올해 평가원은 논리 구조를 같게 가져가면서 주제 난도를 조절해 주제에 대한 학생들의 민감도를 테스트했습니다.
주제의 낯섦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은 매우 민감했습니다.
따라서 올해 수능에서 평가원은 정답률 40%대의 적당한 빈칸 문제를 내기 위해
논리구조를 어렵게 하는 대신 주제를 쉽게 가져가거나(9평 34번),
주제를 어렵게 하는 대신 논리구조를 쉽게 가져갈 가능성이 큽니다(6평 33번).
즉 둘다 어렵게 내긴 쉽지 않을 겁니다.
그래서 수능에서 주제가 너무 어렵다면, 논리구조가 이해할 수 있는 수준으로 나올 것이니
찬찬히 문장의 의미 변화를 따라가며 읽으시면 되고,
논리구조가 복잡한 지문은 그래도 이해할 수 있는 주제로 나올 확률이 높으니
너무 걱정하지 말고 본 실력대로 잘 보고 오시기 바랍니다.
수험생 여러분 모두 고생 많으셨고, 좋은 결과 있으실 겁니다.
화이팅!
---
저 그래프, 원래 다 저렇게 나오는 거 아니냐구요?
참고로 논리구조가 평이한 문제(6평 33번)는 요렇게 나옵니다.
더 자세한 원리가 궁금하시거나, 팀 아드바크에 대해 알고 싶으시다면 쪽지나 카톡 주시면 답변드리겠습니다.
질문과 인사이트 공유는 언제나 환영입니다 :)
(카카오 아이디 sang459)
-------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N수형들 도와줭 4
시험지에도 이름이랑 수험번호 써야됨?
-
[세계지리,세지] 아프리카 연계교재 언급 횟수 및 백지도 3
안녕하세요. 비그늘rainshadow입니다. 아프리카 지역지리 대비 자료입니다....
-
과목 ㅇㅈ 5
다들 화이팅
-
수능 6
왜내일임
-
정법짛문 0
부서제도 문서주의 대통령 국무총리 중요안건인가여? 형식적 + 실ㄹ적 법치주의둘다...
-
8시에자야지 1
굿아이디어
-
편안하게보고와야징
-
말이 안 되네 진심 아악
-
WoW
-
마렵네
-
다들 잘 보세요 0
파이팅
-
전자발찌 어떻게 해야하나요? 감독관한테 미리 말하면 되나요?
-
사문 하수 질문 1
사문 하수라 평가원 3 아슬아슬 하게 뜨는데 적중예감 진짜 더럽게 어렵더라고요그냥...
-
다들 폰 보면서 조용하게 기다리는게 ㄹㅇ.........
-
듣기 한두개씩 틀리는데 영향 있으려나..
-
저는 예전에 수능 개말아먹은줄 알았어요 ㅋㅋㅋ 매기기전까지는 절대모르니까...
-
피곤하고 그래서 컨디션 조절하려고 1시간정도 자려는디 그냥 공부하고 피곤한 상태...
좋은 인사이트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