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곧 현역되는 미적이입니다 고2 10모 88 1등급인데 시대인재 단과 들으려고 합니다...
-
몬스터 안들고 와서 편의점가서 사왔는데 마시지 말까?
-
원솔멀텍 다 듣고 난 후에 겨울방학에 기출 많은거 새로 풀건디 머가 좋을까요? 지금...
-
수능전날 잠을 설쳤을 때의 상황을 대비할 수 있겠죠
-
지금 기도중인거 0
제발 집에서 가까운 고등학교 이사와서 졸업한 곳으로 시험보려가려면 1시간가야됨
-
정석민 줄거리강의만 밥먹으면서 봤는데 충분? 9모 현소는 대비체감 확되던데
-
김승모 결과 1
마지막은 답을 잘못넣어서… 김승모 특히 3회는 등급컷-3씩 해야맞는듯 2회보다 어려운거같은데
-
지금까지 기출돌리다가 불꽃모고 4회분 끝냈슴니다 마지막 실모 추천해주세요!
-
많은거 안바란다 0
국수는 6모 영과는 9모합친걸로 나오게해줘라
-
중꺾마 3
-
딴거 공부하다가 얘 보면 표현이라든지 비유법 고사 이런것들이 머리에 쏙쏙 박힘
-
전과목 바슷하면 대충 예상 가는데 뭐는 잘하고 뭐는 3,4 이러면 예상이 안감.....
-
계속 30점 중후반이네 아....
-
국어 2506 수학 2509 물리 2506 지구 2506 2509
총회아님?
아 안보리구나 비상임이사국인듯요
국제 평화와 안전 유지에 관한 일차적 책임을 지는 B는 ~ 이사국인 을국을 제외하고 긴급회의를 소집하였다. B는 모든 상임 이사국을 포함한 다수의 찬성으로 ~
안보리에서 을국 빼고 회의 소집했는데
모든 상임 이사국이 회의에서 찬성을 했다니까
을국은 비상임이사국입니다.
안보리는
임기가 2년, 1년마다 뽑는 비상임이사국 10개국과
지위가 변하지 않는 상임이사국 영, 프 러, 중, 미 5개국
총 15개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안보리의 실질사항에 대한 거부권은
상임이사국만 갖습니다.
비상임 이사국은 갖지 않습니다.
비상임이사국인거까진 알고 있었는데 비상임 이사국도 거부권을 가지는 건 맞지 않나요?
상임이사국 5개국만,
실질사항에 대해서만 거부권을 가집니다
거부권과
찬성/반대에서 반대표를 던지는 것은 다릅니다
거부권은 만장일치제로서 한 국가라도 거부권을 행사하면 부결이 됩니다
찬성/반대는 찬성표 개수를 세서 15개국 중 9개국 찬성이면 가결됩니다.
반대투표권만 가지는 거였군요
안보리
절차사항 의결 정족수: 15개국 중 9개국 이상 찬성
실질사항 의결 정족수: 15개국 중 9개국 이상 찬성, 상임이사국 5개국 중 어느 한 나라도 거부권을 행사하지 않아야 함.
이 문제도 질문 드려요
3번 선지판단할 때
B가 미성년자일 시 가정법원의 허가를 안 받아서 입양이 무효가 되던지
성년자면 가정법원 허가 없이 친x양자로 입양할 수 있으나 친권 소멸이어서 2개 경우중 어찌되었든 틀린 선지<<로 판단하는게 맞나요
후자를 요구한 걸 겁니다
미성년자면 가정법원의 허가를 받고 입양해야 함
근데 B 입양시 가정법원의 허가를 받지 않았음
= B는 미성년자가 아님
= B에 대한 친권 존재 X
= 갑과 병은 B에 대한 친권 가지지 X
비상임이사국 임기가 2년인데 1년마다 뽑는다는 것은
5개국씩 뽑아서 그렇습니다
홀수년도에 5개국 뽑고 -> 2년 동안 함
짝수년도에 5개국 뽑고 -> 2년 동안 함
이런 뜻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