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제 해설해주시면 생윤 황으로 인정할게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862661

수능 3일 남았는데 포스텝 이제 시작한 허수인데요
이게 왜 틀린 선지인가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서울 사는 사람만 고3친구들아 오티 간접 체험 시캬줄겡
-
암기는 잘 못하는데 두 과목이 그래도 암기 분량 적고 적성에 맞는 거 같길래 내년에...
-
수능 짝수형 썰 4
당시 통합 국어여서 1-15번 까지 화작문이고 16-45번까지 문학 비문학...
-
아 근데 언매랑 연계공부해야하는데
-
얘네연계나오면 날먹이너무세서
-
그래서 공대 안갔음 공대 갔으면 ㄹㅇ 고생 엄청 했을 듯
-
야발...
-
이해원 + 이로운 ㅇㅇ
-
배가 너무 아파 0
설사하고 난리났네 병원가야지..
-
고1 10모 국어 4, 수학 4, 영어 5, 통사 1, 통과 3 뜨는데 여기서...
-
이감 10회픽이긴한디 기출된적도 없고 다른게 너무 쟁쟁해서...
-
11덮 22번 틀린거 30초전에 발견해서 절망스러웠는데 4
심지어 3분컷때리고 넘어가서 진짜 절망적이였음ㅋㅋㅋㅋㅋㅋㅋㅋㅋ아
-
팩트는 수능 끝나고 정시는 원서질 표점 걱정 하고 있을 때 3
수시는 원서 딸깍(이건 이미 함) 면접 딸깍하면 입시가 끝난다는 거임.. 내신.. 챙겨야겠지?
-
자기전에 비문학 연계 뜰거같다싶은거 적고 도망가셈요 3
저는 무난하게 단백질 접합인가 그거
-
지ㅣㅡ금봤는데 이게뭐노
독립적 기준이 아닌 공정한 절차가 필요하다고 생각하지 않나요
완전 절차적 정의는 기준 o 절차 o
불완전 절차적 정의는 기준o 절차 x
순수 절차적 정의는 기준x 절차 o
인데 롤스의 분배적 정의는 ㅅ순수 절차적 정의를
채택하지 않나용
롤스도 절차적 정의인건 아는데 그래도 저 부분이 이해가 좀 안가는데 결국 최소수혜자에게 최대 이득이 되어야 한다는 기준을 가지고 결과적으로 공정성을 고려하는거 아닌가요?
저건 그냥 롤스가 절차라고 정의해버린 부분 아닌가요?
그냥 외워버리고 제 자아 빼고 푸는게 생윤은 낫더라구요 해석이 아주 자기 마음대로라서..
참 잣같은 과목이군요
결과에 대한
님이 말한건 과정에 대한
차등의원칙이 결과를 고려하는거 아녀요?
둘 다 절차적 정의관이어서 결과에 대한 기준xx
롤스 독립적기준 요구 x에요
그러면 독립적 기준이 있다 이러면 맞는게 되는건가유?
그건잘ㅠㅠ 일단이건 브릿지4회내용인데
선지는 올바른 결과에 대한 독립된 기준이 있어야만 분배 정의가실현될 수 있다.이고
해설이 롤스는 특수한 상황의 우연성을 처리하기 위해 순수 절차적 정의에 따라야
한다고 보았다. 그에 따르면, 순수 절차적 정의가 성립하는 경우, 올바른
결과에 대한 독립적 기준은 없지만, 공정한 절차가 있어서 그 절차만 제대로
따르면 내용에 관계없이 그 결과는 공정하게 된다. 그에 따르면, 올바른 결과에
대한 독립된 기준이 없어도 분배 정의가 실현될 수 있다. 인데 제생각엔 독립적기준이있다고나오면 틀렸다보는게 맞는거같긴하네요
오호 감삼다 생윤황ㄷ..
절차에 대한 독립적 기준은 있어요 롤스는 분배의 결과에 대한 사후적 공정을 추구하는게 아니라 사회 기본 제도가 권리와 재화를 분배하는 방식이 정의로워야 한다고 보았기때문에 순수 절차적 정의 = 절차에 대한 독립적 기준만 있는것 을 추구한것이고요
즉 모든 분배에 대해 야 이건 공정하지 않아 재분배해 이러는게 아니라 사회 기본 제도가 분배를 하는 방식 자체의 정의를 추구한거죠. 그런 의미에서 봤을때 롤스의 차등의 원칙은 사적 거래가 아닌 사회 기본 제도에 적용된다는 말도 이해할수있습니다
또 그런 의미에서 보면 선천적 재능의 분포 자체에 대해 정의와 부정의를 논하는것이 아니라, 우리의 제도가 분배를 하는 방식에 대해 그것을 논의해야 한다라는 말도 이해가되죠
오 딱 이해됐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