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 환경저항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854061
ㄴ 애서 A에 작용하는 환경 저항이 구간a에서 더 크지 않나요...?
환경저항이 개체수랑 비례하는 거라고 생각했어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둘이 헷갈리게 생겼다고!!!!!!!!!!!! 구분 잘되는 문자로 써달라고!!!!!
-
수능 3일 전에 이런 메타가 열리는 게 걍 ㅋㅋㅋㅋ 3
ㅈㄴ 웃기노
-
옥린몽 지문만 5페이지네::
-
고생많았어 여태껏 군소리없이 따라와줘서 :)
-
학교인데두고왔어요제발부탁드립니다ㅠㅠ
-
알고 계셨나요? 2
전 몰랐습니다. 감사합니다.
-
작년, 재작년 항상 하루전 4시 50분쯤 조기발표 했으면서 올해 학부모들,학생들...
-
사르트르의 존재론 타자의 시선 -> 대상 -> 객체화 뇌피셜근거: 9월 에이젠시테인...
-
자연과 윤리 단원에서 이성적 존재라 하면 인간만 포함되는 건가요??? 아니면...
-
평가원스럽지 않다고 넘어가야되나요 아니면 오답 해야될까요 독서에 비해 너무 많이 틀려서 걱정이네요;
-
머리 아프고 몸 안좋고 온몸이 공부하기 싫다고 발악중 이제 물리 실모 7개만 풀고 쉬어야지..
-
걍 김밥이나 싸가서 후딱 먹고 잠이나 잘까 싶은데
-
에휴
B에서 더 크죠
많은 학생들이 개체수와 환경 저항을 비례 관계라 보시는데,
예를 들어 천적유입으로 개체수 급감한 경우
환경저항은 개체수 급감 후가 더 크죠. 왜냐면 환경 저항의 수많은 요인들 중에 개체수 밀도 증가는 하나의 요인일 뿐, 더 큰 요인 (여기서는 기생체의 도입)이 작용해서
그러면 J자형이랑 다르게 이런 그래프는 상호작용으로 인한 인과관계도 같이 따져서 푸는게 맞을까요?
개체수가 많으면 환경저항이 크죠? 환경저항이 크면 개체수가 줄어들죠? 인과의 문제죠
그럼 이런 자료에서는 개체수로만 단편적으로 보는게 아니라 상관관계를 따져서 풀어야 하는 걸까요? B가 기생해서 환경저항이 더 커지니 개체수가 감소했다 라고 보는 식으로요!
혹시 몰라서, 일반 J자형 그래프는 개체수 증가할 수록 환경저항 커지는 거 맞죠...?
그냥 진짜 단순하게 생각하시면 원인이 뭐냐를 보시면 되세요. 저 문제는 원인이 환경저항 증가예요.(B투입) 그러니까 결과는 A 개체수 감소인거죠. Y값이 감소한 결과를 나타낸거구요.
J자형 그래프는 원인이 개체수 증가니까 환경저항 커지는거 맞죠
헉 완전 이해했어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