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 퇴적 관련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845829

ㄱ.에서 A에서 건열 B에서 연흔 C에서 역전 안된 점이층리 순으로 나타나니까
위로 갈수록 입자가 작아져서 해수면이 상승한것 아닌가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2페이지에 나온 문제를 다들 틀림 처음 보는 신유형이었음 현재는 그걸 다들 흥분의...
-
작수 57364 (화작 미적 생지/6모 9모가 재수생 시험인 것도 모르고 투과목...
-
뭐가 제일 좋으셨나요??
-
전 모름 ㄷㄷ
-
. 약불인데 지금 불조절이 고민이에요
-
글쓴이가 잘못한거 같은데 나만그런가
-
사설은 30점대 평가원,교육청은 40후반....... 사설 풀 때 1,2페이지에서...
-
인원은 적은데 일은 몰려들고... 초임이라 모르는거 투성이인데 요구하는건 겁나게...
-
요즘 답개수 안맞게 내던데
-
평소엔 2121 진동해유….
-
11더프 영어 0
영어가 11더프가 많이 쉬웠나요? 비율은 혹시 어디서 볼수 있나요?
-
국 수 영 99 100 1일때 삼룡의 안되나요?
-
“절대자에 대해 회의” 때매 답으로 판정 하신거에요? 아니면 “현실에 얽매이지...
아뇨 해수면 상승하면 입자는 커져요 그리고 맨 윗층이 건열이니까 육상에 노출된적이 있다~로 생각하셔도 풀림
해수면 상승하면서 퇴적되면 연직 위쪽으로는 입자 크기가 작아지는거 아닌가요?
두번째 해설은 이해했어요
그러니까 이제 해수면이 상승하면 퇴적되는 입자의 크기가 커져요 예를들어 수심이 100m일때 입자크기가 1 이면 해수면이 상승해서 150m가 됐을때 퇴적되는 입자의 크기가 2가 된다< 이런느낌 그러므로 현재 문제에선 최근의 지층으로 갈 때 입자가 작아졌으니 해수면이 하강했다<
역전이 없으니 시간이 흐름에 따라 C->B->A 순으로 퇴적되었고 점이층리에서 연흔 건열이니 해수면이 하강(ㄱ=감소)한거 아닌가요
ㄱ이면 증가한거 아닌가요?
입자크기는 뭔말인지 모르겠는데
점이층리 연흔 건열순으로 퇴적되었다고 줬으니 생성 원리로 판단했을때 해수면이 하강한거죠
ㄴ 방향으로 증가한거라서 그래프 상으로 해수면은 하강한것 같아요
...? 네 그렇죠?
퇴적순으로 봤을 때 점이층리 -> 연흔 -> 건열이니 퇴적물 입자 크기로 봐도 해수면이 하강하고 있다는걸 알 수 있어요 (해수면 높이가 낮아지면서 상향 조립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