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 퇴적 관련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845829

ㄱ.에서 A에서 건열 B에서 연흔 C에서 역전 안된 점이층리 순으로 나타나니까
위로 갈수록 입자가 작아져서 해수면이 상승한것 아닌가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드오브아너를 받는 반페르시
-
컴싸 주던가요? 3
왜 기억이 안나지 컴싸 사야하나
-
눈풀 하는 게 국룰 아녔음?
-
하…
-
2024년 수능 난이도 3.5 등급컷 84 / 74 / 65 전 문항...
-
나한테도 진양공주같은 배우자가 있었더라면.
-
시간나면보세요 0
몇년동안 사건사고 없이 이용했습니다. 많은 회원및 다양한이벤트 진행중입니다. 많은...
-
방금 줄거리 쫌쫌따리 읽어보고있는데 15권짜리라는거 듣고 즉시 유기함 사실상 비연계...
-
이데아 존재증명 5
"없는게 있다" 라고 말할때 "있다"는 어디에 있다고 말하는 거죠? "없는게...
-
일요일에도 야근이라니!!! 또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출근이라니!!! 야바이!!!
-
수특수완 다시봐야하나...
-
2345중에 하나가 정배인가요
아뇨 해수면 상승하면 입자는 커져요 그리고 맨 윗층이 건열이니까 육상에 노출된적이 있다~로 생각하셔도 풀림
해수면 상승하면서 퇴적되면 연직 위쪽으로는 입자 크기가 작아지는거 아닌가요?
두번째 해설은 이해했어요
그러니까 이제 해수면이 상승하면 퇴적되는 입자의 크기가 커져요 예를들어 수심이 100m일때 입자크기가 1 이면 해수면이 상승해서 150m가 됐을때 퇴적되는 입자의 크기가 2가 된다< 이런느낌 그러므로 현재 문제에선 최근의 지층으로 갈 때 입자가 작아졌으니 해수면이 하강했다<
역전이 없으니 시간이 흐름에 따라 C->B->A 순으로 퇴적되었고 점이층리에서 연흔 건열이니 해수면이 하강(ㄱ=감소)한거 아닌가요
ㄱ이면 증가한거 아닌가요?
입자크기는 뭔말인지 모르겠는데
점이층리 연흔 건열순으로 퇴적되었다고 줬으니 생성 원리로 판단했을때 해수면이 하강한거죠
ㄴ 방향으로 증가한거라서 그래프 상으로 해수면은 하강한것 같아요
...? 네 그렇죠?
퇴적순으로 봤을 때 점이층리 -> 연흔 -> 건열이니 퇴적물 입자 크기로 봐도 해수면이 하강하고 있다는걸 알 수 있어요 (해수면 높이가 낮아지면서 상향 조립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