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문황님들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799482
일탈자로서의 정체성 형성...
이거 차교론은 해당 안되나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국어 연계 4
이감보면 연계공부 안하고도 문학은 잘 맞추는데 독서에서 개딸리는데 독서 연계만 봐도될까요
-
뭉탱이월드 1
뽈롱 아이고난 한판해요
-
영단어는 예문, 연상, 그림, 어원 등등 영단어를 외우는 방법이 되게 다양하게...
-
이감 1
ㅈ같다 계속 60 후반 70중반 왔다갔다 거리는데 어캄 진짜
-
ㅂㅅ보는재미
-
오르비하다가 정신 조지는 사람들 많음 매우 일반적인 견해입닌다
-
가능함? 확통임 어케함 방법좀 ㅈㅂ ㅈㅂㅈㅂ
-
등급컷 나와있어요?
-
백양나무 아래에서의 생(生)윤 백양나무 교정에 선 백양나무처럼 흔들리지 않는 진실을...
-
오늘은 놀거얌! ㅋㅋㅋ
-
눈알굴리기로 풀어야하는 내용일치는 해당없는데 대부분의 추론형 킬러는 결국 하려고...
-
끊은지 3일됐는데 너무 하고 싶다….일주일을 어케 참아…
-
어차피 작수성적 나와도 인서울 끝자락 남들이 모르는 곳 가서 집에서 통학할 수...
낙인 이론만
네
정체성 형성 과정을 직접적으로 다루지 않음 차교는
부정적 자아 형성이라고 못박으면 차교론이 배제되는건 맞는것같은데 일탈자로의 정체성 형성되는건 맞다고 볼 수 있지 않나요?
일탈자로서의 정체성 형성 =\=일탈자가 되는 과정
차교론에서는 일탈 집단과의 접촉을 통해 일탈행동을 저지르는 방법을 배워 일탈자가 된다고 봅니다
따라서 타인과의 상호작용 과정에 주목 o
일탈자가 되는 과정(일탈의 학습)에 주목 o
그러나 일탈자로서의 정체성 형성의 경우는 이와 다릅니다
낙인이론의 경우, 사회적 낙인 때문에 부정적 자아(일탈자로서의 자아)가 형성되어 일탈이 발생한다고 봅니다
즉, 일탈자로서의 정체성 형성 과정을 다룬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차교론의 경우,
일탈자로서의 자아 형성 과정을 다룬다기보다는
일탈의 발생원인을 다루는 것에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헷깔렸는데 명쾌하게 해결되었네요 이부분을 수능에서 다룬다면 많이들 틀릴듯
해당 된다고 봐야할것같은데
안녕하세요~ 윤성훈 사회문화 연구실입니다!
이전 답변하신 조교님께서 실수를 하신 것 같습니다.
일탈자가 되어가는 과정에 주목하는 거,
일탈자가 되어가는 상호작용 맥락에 주목한다는 거 모두
낙인이론과 차교론의 공통점입니다.
차별적교제이론에서도, 상호작용에 기초하여서 일탈자가 되어가는 과정을
주목하지요~
답변이 도움이 되었기를 바라요 :)
될 여지가 있지 않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