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브
오르비
아톰
내 태그 설정
테란인데요 [1318383] · MS 2024 · 쪽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799482
일탈자로서의 정체성 형성...
이거 차교론은 해당 안되나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쪽지 보내기
알림
스크랩
신고
낙인 이론만
네
정체성 형성 과정을 직접적으로 다루지 않음 차교는
부정적 자아 형성이라고 못박으면 차교론이 배제되는건 맞는것같은데 일탈자로의 정체성 형성되는건 맞다고 볼 수 있지 않나요?
일탈자로서의 정체성 형성 =\=일탈자가 되는 과정 차교론에서는 일탈 집단과의 접촉을 통해 일탈행동을 저지르는 방법을 배워 일탈자가 된다고 봅니다 따라서 타인과의 상호작용 과정에 주목 o 일탈자가 되는 과정(일탈의 학습)에 주목 o 그러나 일탈자로서의 정체성 형성의 경우는 이와 다릅니다 낙인이론의 경우, 사회적 낙인 때문에 부정적 자아(일탈자로서의 자아)가 형성되어 일탈이 발생한다고 봅니다 즉, 일탈자로서의 정체성 형성 과정을 다룬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차교론의 경우, 일탈자로서의 자아 형성 과정을 다룬다기보다는 일탈의 발생원인을 다루는 것에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헷깔렸는데 명쾌하게 해결되었네요 이부분을 수능에서 다룬다면 많이들 틀릴듯
해당 된다고 봐야할것같은데
안녕하세요~ 윤성훈 사회문화 연구실입니다! 이전 답변하신 조교님께서 실수를 하신 것 같습니다. 일탈자가 되어가는 과정에 주목하는 거, 일탈자가 되어가는 상호작용 맥락에 주목한다는 거 모두 낙인이론과 차교론의 공통점입니다. 차별적교제이론에서도, 상호작용에 기초하여서 일탈자가 되어가는 과정을 주목하지요~ 답변이 도움이 되었기를 바라요 :)
될 여지가 있지 않나
24/11/08 20:20
김승모 그대로 수능에 출제되면 1컷 몇 나올까 0
87?
24/11/07 23:45
요즘 수2 22는 할만한듯 10
수1 나오면 좀 토할 거같아서 ㅋㅋ 오늘 수2 22 두 개 다 맞았는데 수1 수열...
24/11/08 20:17
수학 실모 밀린거 걍해답지 공부 어떰 0
내년에 보긴싫음
24/11/08 00:56
감기2쥬 넘게 안 낫는데 주사맞아야댐? 6
ㅜㅜ
24/11/08 20:15
학군지 네임드 학교 제외하고 평범한 일반고들은 0
내신 수준이 어느 정도라고 봄? 난이도로 평가했을때 하 중하 중 중상 상 중에
24/11/08 00:12
인싸빙고 아싸라서 울었다 8
0빙고 ㅠㅠ
24/11/08 00:30
전 인스타안함 7
그래서 친구가 없나
24/11/07 23:52
ㅇㅈ 9
24/11/07 22:57
사문황들 이 선지 헷갈리는데 도와주실분...? 13
ㄹ선지가 왜 맞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갈등론은 "구성 요소 간에 본질적으로 중요성...
24/11/08 20:06
과탐 사탐 둘 다 해봤는데 0
사탐이 더 쉬움. 근데 사탐은 경제 사문밖에 안해봄.
24/11/08 00:04
적중예감 등급컷이 9
수능에 나와도 44~45인게 말이되나. 이 문제가 작수기준 정답률 40프로대,...
24/11/07 23:18
버튜버 졸업이 뭐랑 비슷한 느낌인거지 11
왤케 우는거임 진쩌모름
24/11/08 00:02
내 입문애니 8
기어와라 냐루코양
2026 수능D - 194
영어만점의대생
민사고 의대생 수과학과외
좋은 연이 닿기를 희망합니다
고등국어 학원 원장 출신입니다.
고등학교진짜영어쌤
고등 내신/수능 물리학1, 물리학2, 고급물리학, 일반물리학
낙인 이론만
네
정체성 형성 과정을 직접적으로 다루지 않음 차교는
부정적 자아 형성이라고 못박으면 차교론이 배제되는건 맞는것같은데 일탈자로의 정체성 형성되는건 맞다고 볼 수 있지 않나요?
일탈자로서의 정체성 형성 =\=일탈자가 되는 과정
차교론에서는 일탈 집단과의 접촉을 통해 일탈행동을 저지르는 방법을 배워 일탈자가 된다고 봅니다
따라서 타인과의 상호작용 과정에 주목 o
일탈자가 되는 과정(일탈의 학습)에 주목 o
그러나 일탈자로서의 정체성 형성의 경우는 이와 다릅니다
낙인이론의 경우, 사회적 낙인 때문에 부정적 자아(일탈자로서의 자아)가 형성되어 일탈이 발생한다고 봅니다
즉, 일탈자로서의 정체성 형성 과정을 다룬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차교론의 경우,
일탈자로서의 자아 형성 과정을 다룬다기보다는
일탈의 발생원인을 다루는 것에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헷깔렸는데 명쾌하게 해결되었네요 이부분을 수능에서 다룬다면 많이들 틀릴듯
해당 된다고 봐야할것같은데
안녕하세요~ 윤성훈 사회문화 연구실입니다!
이전 답변하신 조교님께서 실수를 하신 것 같습니다.
일탈자가 되어가는 과정에 주목하는 거,
일탈자가 되어가는 상호작용 맥락에 주목한다는 거 모두
낙인이론과 차교론의 공통점입니다.
차별적교제이론에서도, 상호작용에 기초하여서 일탈자가 되어가는 과정을
주목하지요~
답변이 도움이 되었기를 바라요 :)
될 여지가 있지 않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