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평 39번 차자 표기 문제에 나온 실제 예를 찾아보자!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797665
선지 1~5에 나온 한자는 다 하기 많아서 넘어가고요, 예시로 나온 물 수(水)랑 불 화(火)만 해 보겠습니다.
훈차나 음차들 훈독 훈가, 음독, 음가 이렇게 나누기도 하는데 몰라도 되고요 전 TMI 좋아해서 그냥 썼습니다. 삼국시대 초중기에는 지명이나 인명 등 고유명사 표기에 주로 쓰였지만 나중엔 향가처럼 문학에도 쓰이게 됩니다.
1. 훈독(훈으로 읽으면서 본뜻을 유지함.)
落句吾里心音水淸等
아야 우리 ᄆᆞᅀᆞᆷ 믈 ᄆᆞᆯ가ᄃᆞᆫ
아아, 우리 마음의 물 맑거든
청불주세가 中
水가 훈인 '믈'로 읽혔고 본뜻도 유지했습니다.
2. 훈가(훈으로 읽으면서 본뜻을 무시함)
丙午年四月 加火魚助史
병오년(766년) 4월, 가화어
경주 월지 목간 188호中
여기서 '加火魚'는 '가오리'를 나타냅니다. '가오리'의 '가'는 당연히 '加'일 건데 '오'가 '火'로 표기되었을까요? 이는 '가오리'의 ㅇ이 본래 ㅸ이었고 더 거슬러 가면은 ㅂ이었기 때문입니다. 즉 '*가보리>*가ᄫᅩ리>가오리'의 변화를 겪은 것이고, 고대 국어 시절에는 ㅂ이었을 테니 火의 뜻을 무시한 채 뜻(훈)인 '블'로 읽어 '가보리'의 ㅂ을 나타낸 것입니다.
大丘縣, 本逹句火縣
대구현은 본래 달구화현이다
삼국사기 中
여기서 '逹句火縣'이란 지명은 '達句伐'과 동일한 곳을 나타내는데 앞의 '達句'가 일치합니다. 여기서 縣은 행정 구역을 나타내는 거니 빼면 火와 伐이 대응해야 합니다. 고대국어에서 伐이나 火은 흔히 '벌(벌판)'을 나타내는 데 쓰였던 한자로, 火의 훈인 '블'이 '벌'과 소리가 유사하거나 혹은 동일했으니 火를 훈으로 읽으면서 본뜻을 무시한 것이죠. 즉 逹句火縣은 '달구벌현'으로 읽혔을 겁니다.
3. 음독(그 한자의 뜻으로 그 한자음으로 읽음)
木(水의 오자)銀城, 本召尸忽
'목(수)은성'은 본래 '소시홀'이다
'소시홀'을 '수은성'으로 개칭한 것인데 '수은'에서 '수'는 말 그대로 '물' 맞습니다. '수은'의 어원이 그렇거든요. '수은'과 '소시'가 대응되는데 '尸'는 고대국어 표기에서 'ri(리)'를 나타내는 데 쓰였으므로 '수은'과 '*소리' 정도가 대응됩니다. 이 '*소리'는 '쇠'의 고대국어 어형으로 ㄹ>j의 변화를 겪어 '*소리>쇠'가 됩니다. 이는 '*나리>내(川)', '*두리>뒤' 등에서 보이는 소위 r>j의 음운 변화입니다.
이는 현대에도 보이는데 '알아차리다'와 '알아채다'의 대응이 그러합니다. 그런데 중세국어의 ㅐ는 aj의 이중모음이었고 현대국어의 ㅐ는 단모음이므로 만약 '알아차리다'가 '알아채다'로 쓰였다면 아무리 늦어도 초기 근대국어 시기에 변해야 하지 않았을까 싶네요
4. 음가(그 한자의 뜻과 상관 없이 한자음으로 읽음)
이건 귀찮네 ㅋㅋ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손가락 ㅈㄴ 걸어서 다행이네 사회적 소수자 하나 틀려버린건 슬프네
-
자신의 오류 가능성을 인정하고 편견과 독선적 사고를 탈피해야 한다고 하네요…
-
근데 왜 자꾸 영어 어렵게 나온다고 호들갑 떠는 거지 5
뭐 있었어요?
-
면접문제 복기하면 구해갈ㅅ 있나요 알바가안구해짐 16일 17일
-
하 ㅈㄴ맛있다ㄹㅇ
-
메가 3
메가커피 메뉴 추천좀
-
신문물 접한 북한군, 우크라 파병서 음란물 시청설 제기 14
美 국방부 “확인 불가” 우크라이나 전쟁에 파병된 북한군 병사들이 인터넷 접속이...
-
진짜 몰라서 물어봐요 메가스터디가 그렇게 힘이 센가요?
-
둘 다 합격하면 어디 가세요?
-
수2 3
(나)조건을 이용해서 limx->4, x^2+ax+b/루트(2x+1)-1 =2라고 세워도 되나요?
-
before사탐런시절인 24수능도 전부 1컷 47이 나왔다는거임..
-
시험 운용 및 "겸연쩍게"로 변별하는 24수능 피지컬로 찍어 눌러야 하는 시험과...
-
성기다 2
그때 오르비 뒤집어졌다면서요
-
근데 화학은 ufc임
가장 충격인 거는 문법이 39번이라는 점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