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작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796907


4번 선지 청중의 이해도를 점검하는거라 볼 수 없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실검 ㄱㅅ
-
이성한테 말만 걸어도 똥씹은 표정 눈 못마주치는건 기본에 말도 더듬음 그리고 못생김
-
잠자기 싫은 이 기분 뭐임
-
✊️✊️
-
여섯-엿새-예순 3
여섯은 여슷 엿새는 엿쇄 예순은 여ᄉᆔᆫ 이었습니다. 여ㅅ이라는 공통점이 보이시나요?
-
.
-
야식을 뭘 시켜야 15
잘먹었다고 소문이 날까
-
ㄹㅇ
-
나말고도 또있었으면 좋겠다.. 실모->오르비->기출->오르비->피드백->오르비 진짜 옯붕이 쉽지않다
-
거의 한번도 없네... 그나마 작수가 깔끔한듯? 2022 29/30이랑 2023...
-
화1 제외하고요
-
소재 예측이 맞아도 진짜 크게 쓸모없다 오히려 수능장에서 대가리 깨지는게 확정이라...
-
지금 그냥 비유전 + 유전쉬운유형만 공부하는게 낫겠죠?
-
돈벌면 좋은점 3
그럼 안 좋겠음?
-
통합 전 기출 중에서 문학 어려운 년도 알려주실 수 있을까요..? 냅다 다...
-
To accomplish that, the organism must go...
-
제가 26수능 비용이 걱정이라 대성패스를 살까 메가패스를 살까 고민중인데요 김범준...
답은 4번입니다
이해도를 점검하려면 강의에서 나온 내용을 물어봐야 하는데 텅스텐의 녹는점은 나온적이 없어요
A를 설명함->A에 관해 물어봄
이래야 이해도 점검인데 저건 설명하지도 않은 걸 물어보는거라
그 전에 텅스텐은 금속 원소 중 녹는점이 가장 높은데요 >>라고 말해서
저는 저 질문 의도가 우라늄이 1132에서 녹으니까 발화자가 "텅스텐은 금속 원소 중 녹는점이 가장 높다고 설명 했으니까 제대로 이해한 친구들은 1132도 이상이라고 대답하겠지?? <<이렇게 생각할거라 생각했어요
보통 이해했는지 확인 했다면 대답하는 청중이 이해했다고 하는 경우가 많은데, 다양한 대답이 나온걸로 봐서 이해를 점검했다고 허용하긴 힘들듯
그럼 청중의 이해도를 점검했다가 맞는게 되려면
발화자:~~~까요? (청중의 대답을 듣고)
모두 잘 이해하셨군요~
이런식으로 나와야 하나요?
모두 잘 이해하셨군요 ~를 말하면 선지화 되기에 힘들어보입니다. 너무 명시적이라 너무 쉬우니, “~이렇게 되는겁니다 아시겠죠??” (청중의 대답을 듣고) ~다음 내용 정도로 나오지 않을까 싶습니다.
ㅇㅎ 감사합니다
그냥 관심을 끌려고 질문 한 거 아닌가
텅스텐 녹는점이 제일 높음>>우라늄은 1132에서 녹음>>"그렇다면" 텅스텐의 녹는점은 몇도일까요?
이 뉘앙스가 발화자가 원소중 텅스텐 녹는점이 제일 높다 했으니까 학생들이 1132도 이상으로 말하겠지
라고 점검하는걸로 이해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