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작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796907


4번 선지 청중의 이해도를 점검하는거라 볼 수 없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1주일 남았네요 2
다들 화이팅입니다. 날씨가 넘나 추워진것...
-
제 뇌피셜로는 독서는 가나지문만 불로 나올거같고 나머진 평이 언매 불 수필은...
-
이감도 한수도 이투스도 교육청도 평가원도 심지어 수완도 시간안에 못풀구나 한심하지만...
-
ㅈㄹㄱㄱㅇ..
-
ㅠㅜ
-
독서 22수능보다 좀 쉽게 문학 24수능보다 좀 쉽게 화작 24수능정도? 아니면...
-
그냥 연계 다 없애고 정정당당하게 승부보면 안됨? 10
수능까지 벼락치기하고싶지 않아요
-
ㅅㅂ 14번 왜틀린거지
-
155일차
-
식초 유형 있잖아요 그거 무조건 식초로만 해야함? 보통은 식초 1g에들어있는...
-
아름다운 밤이구나..........
-
군대에서 아프지 마라 10
불침번 서는데 서글프다
-
티치미
-
연소근로자를 고용할때 친권자 또는 후견인의 동의서를 사업장에 갖추어 두어야 한다 1
그럼 18세는 동의서가 필수지만 연소근로자가 아니니까 사업장에 동의서를 비치할 필요는 없나요?
-
삼수선만쓰다가 병훈햄 공간좌표쓰는거보니까 이해가 안댐
답은 4번입니다
이해도를 점검하려면 강의에서 나온 내용을 물어봐야 하는데 텅스텐의 녹는점은 나온적이 없어요
A를 설명함->A에 관해 물어봄
이래야 이해도 점검인데 저건 설명하지도 않은 걸 물어보는거라
그 전에 텅스텐은 금속 원소 중 녹는점이 가장 높은데요 >>라고 말해서
저는 저 질문 의도가 우라늄이 1132에서 녹으니까 발화자가 "텅스텐은 금속 원소 중 녹는점이 가장 높다고 설명 했으니까 제대로 이해한 친구들은 1132도 이상이라고 대답하겠지?? <<이렇게 생각할거라 생각했어요
보통 이해했는지 확인 했다면 대답하는 청중이 이해했다고 하는 경우가 많은데, 다양한 대답이 나온걸로 봐서 이해를 점검했다고 허용하긴 힘들듯
그럼 청중의 이해도를 점검했다가 맞는게 되려면
발화자:~~~까요? (청중의 대답을 듣고)
모두 잘 이해하셨군요~
이런식으로 나와야 하나요?
모두 잘 이해하셨군요 ~를 말하면 선지화 되기에 힘들어보입니다. 너무 명시적이라 너무 쉬우니, “~이렇게 되는겁니다 아시겠죠??” (청중의 대답을 듣고) ~다음 내용 정도로 나오지 않을까 싶습니다.
ㅇㅎ 감사합니다
그냥 관심을 끌려고 질문 한 거 아닌가
텅스텐 녹는점이 제일 높음>>우라늄은 1132에서 녹음>>"그렇다면" 텅스텐의 녹는점은 몇도일까요?
이 뉘앙스가 발화자가 원소중 텅스텐 녹는점이 제일 높다 했으니까 학생들이 1132도 이상으로 말하겠지
라고 점검하는걸로 이해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