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문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793539
‘사회 불평등 현상을 사회 병리적 현상으로 본다’ 이거 기능론이 긍정할 선지 아닌가요?
해설지에는 갈등론 기능론 둘다 해당하지 않는다고 하는데..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하 추억이다
-
9평보다 쉽긴 했는데 이건 아닌 거 같은데 영어 고능아 뭐임 2506영어가 독을 풀었다
-
적중예감 왤케 6
적중예감 원래 어렵나요..??? 1회 2회는 그래도 45~47 정도였는데 3회랑...
-
강E분 독서 1
지금사면진짜미친색히같겟지
-
지금부터는 1
한동안 정치글 없습니다.
-
밸런스 괜찮나…
-
진짜 반수 시작하면서 기출 볼 때도 유기다하다가 다시 봤는데 이해한게 맞는지 확인...
-
무시 안당하겠지...
-
학교 교육의 변화도 지원 정책 중의 하나인가 엄청 헷갈리네요ㅠㅠ
-
형이 나설때야? 1
-
S07.Naky
-
생윤 고수님들 간절합니다.. 제발 한번만 들어와주세요 8
제가 김종익쌤 커리를 탔는데, 오르비에 김종익쌤 관련 글이 있길래 읽다가 첫번째...
-
국어는 이감 풀고 11덮 수학 오늘 봤는데 80점(미적분) 맞았거든요,,? 근데...
병리적 ㄴㄴ
병리 = 일시적인 거고 비정상
기능론은 사회 불평등을 바람직한 현상으로 보니까
병리적이라고 안 봄
그럼 기능론은 대립과 갈등만 일시적이고 병리적현상이라고 주장하는건가요??
기능론은 ‘대립과 갈등’이라는 용어를 안 쓰고
‘사회 문제’(전체 사회의 균형을 깨거나 통합을 해치는 행위, 개인의 잘못된 사회화/부적절한 사회화, 주어진 사회규범 위반, 사회구성원 개개인의 미흡한 자기 역할 수행 등)
를 병리적 현상이라고 봅니다
완전 잘못알고 있었네요 감사함다 ㅠ
흠 갈등론은 병리적으로 볼수있을거같은데
둘다 아니라고 나와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