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심생윤] 2025 수능 대비 점심생윤 FINAL-Z 모의고사 무료 배포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792641
2025학년도 수능 대비 점심생윤 FINAL-Z 모의고사 문항(배포용).pdf
2025학년도 수능 대비 점심생윤 FINAL-Z 모의고사 해설(배포용).pdf
좋아요는 무료 자료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이제 수능이 정말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수능을 앞두고 긴장과 불안으로
힘들어하고 계실 여러분들께
수능대비 점심생윤 모의고사를
무료로 배포합니다!
첨부파일 확인!
점심생윤 FINAL-Z 모의고사는
기출과 연계 교재, 미출제 요소까지
모두 대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다른 모의고사와 달리
주요주제(9)+독해형(1)으로
총 10문항으로 구성된
하프 모의고사입니다.
쉽지 않은 난이도입니다. 결과에 좌우되지 마세요!
이로써 점심생윤의 커리큘럼이
마무리됩니다.
일 년간 점심생윤 컨텐츠를 이용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앞으로 빛날 여러분들의 미래를
점심생윤이 응원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팝송이나 신나는 케이팝이나 뭐 신나는 노래면 다 돟음
-
현재 6평 성적으로 올키 장학 받았는데 올키 신청한 뒤인 7, 8월 딱 두 달만...
-
헤지도록 입고 다니던 남색 져지랑 돌려입을 뉴 저지 샀음 대치동 롯데백회점에서 학원...
-
킬캠 풀어봤는데 0
점수가 좋다고 기분이 좋은게 아니라, 어떤거 틀리는지가 딱 보여요. 적분 퍼즐같은건...
-
지금 수특수완 하는 중이고 9덮 공통 14,15,21,22 기하 29,30 틀렸는데...
-
똥 2
테 됐다!
-
누가더이쁨? 2
-
주말 실모 기록 0
킬캠 시즌2-1 : 92점 기하 #22,30 22풀려다가 30을 날림 판단미스...
-
ㅈㄱㄴ 개념도 복습시켜줌?
-
개념은 한번돌렸는데 뭐부터 커리타는게좋을까요 말하시면 책 바로살려고요
-
핫 10
트러플와퍼
-
도오페구케 ㅈㅂ
-
흠뭐지 6
저녁먹으려고집왓는대 집오자마자 아까 안 챙긴 국바 기억이 나서 일단 챙겨두고 먹자!...
-
수잘싶 0
-
가서 인종차별 발언 듣고 울어버리기
-
옆자리학생들 13
수악기출얘기하네 나도 끼워줘
-
내가 심찬우 잠깐 듣다가 독학 하는중인데 문학이 감이 안잡혀,
-
생윤황만 오세요 3
생윤하시는분들 생윤사설 푸시나요? 푸신다면 뭘 푸시나요? 다들 현돌모 추천하는데...
-
막국수를 먹어야하나
-
확실히 더 잘 보이긴 한다 시험지 보니까 무지성 성분분해네 ㅋㅋㅋ
-
하루 7시간은 너무 많이씀
-
으흐흐 5
-
각 과목별 난이도 어떰?
-
잡귀=여우 인 걸 어떻게 알아여????? 다른 존재라 생각했는데 큐엔에이 올리니까...
-
모고 평균 2등급정도 나와요. 최저러라서 안정 2등급 유지하고 싶은데 커넥션이랑...
-
군대에서 lck 얘기하니까 나빼고 6명 다 t1팬이었음 Kt팬이라고 하니까 존나...
-
아니 아무리 시험이 어려워도 어케 저런 등급이나올수가 있지
-
마더텅 GDP/총생산 파트 풀고 있는데 잘 안풀려요ㅜㅜ 듣기론 이 부분은 킬러...
-
6평 96 9평 96 9덮 96 내 적백 돌리도
-
총정리 과제에서 기출말고 다른지문들은 그냥 잘 읽고 잘 풀엇으면 그낭 뭐 분석...
-
"中 왜 전쟁 선호할까"…전지현 드라마 대사에 中네티즌들 발끈 1
"中에 오명" 반발…홍콩매체 "비난 속 전지현 광고 내려가" (베이징=연합뉴스)...
-
거의 다 1분~2분 안쪽으로 풀리고 맞은 문제들인데 그래도 보는게 마즘요??
-
연애를 하는 사람에 비해서 결격사유가 있는건 없어보이는데 눈이 높아서 못하는거뿐인가
-
위에 기름칠 해야지
-
겨울방학부터 인생 첫 덕질이란 걸 하게 됐는데 3-1 중간고사 성적 레전드 개나락...
-
이쁘다 10
-
더프에 인강 기출문제집도 다 모아서 팔고있네 저게 뭐임 ㅋㅋ
-
고전 소설 현대소설 고전시가,현대시 중에 2파트정도만 시간날때마다 인강(kbs나...
-
5꽉이다 3
더 이상 뒤가 없다 4시드는 안된다
-
의대 정시 탐구 0
의대 정시 일반전형 목표면 생1지1이 정배인가요?
-
그나마 할만하다길래.. 시즌1 일주일에 많이 할 건 아니고 1개씩 하다가 최대...
-
손목 부러짐 2
와이라노
-
최수현 호수비 1
라이브로는 첨 보는데 재밌네
-
화작 84 미적 92 정법 46 사문 44
-
알려주실 분 계신가요 ㅠㅜ
-
무제에서 계속 기출 섞어놓는데 걍 거르고싶네
-
찍맞 두개라던데 찍기 쉬웠나요?
-
으흐흐
-
ㄹㅇ GOAT임뇨
6번 문항 관련하여 저는 노직 입장에서 교정의 원리에 의해 개인에게 소유권리가 부여되는 것은 아니라고 보았는데요,
불의가 발생한 상황은 이를테면 소유권리가 존재하는 A에게 소유물이 있는 것이 아니라 B가 해당 소유물을 점유하고 있는 것이므로
이러한 경우에도 여전히 소유권리는 A에게 있는 것이고, 그렇게 소유권리를 가진 자와 소유물을 가진 자가 일치하지 않는 상태를 국가가 교정해준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했습니다.
비슷한 논리가 사용된 평가원 기출도 있었던 것 같은데,, 권리 자체가 교정에 의해 부여된다는 표현은 오해의 소지가 있는 것 같습니다 ‘
연계교재 선지입니다. 참고 바랍니다.
③ 노직(O) : 불의에 대한 교정의 원리에 의해서도 소유 권리가 부여될 수 있다.
→ ③ 노직은 생산물을 수탈하거나 타인의 물건을 훔치는 것과 같은 불의가 발생하는 경우 교정의 원리에 따라 소유 권리가 부여될 수 있다고 보았다.
[2025학년도 수능완성 129p]
그리고 9번 문항 관련해서 차등의 원칙이 시민 불복종의 정당화 근거가 될 수 없음은 여러 번 기출된 적이 있고 가장 기본적인 개념 중 하나인데 수정이 필요할 듯합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시민불복종을 정의의 제1원칙인 평등한 자유의 원칙에 대한 심한 위반이나 제2원칙의 두 번째 부분인 공정한 기회 균등의 원칙에 대한 현저한 위배에 국한시킬 것을 내세우는 데는 나름의 추정 근거가 존재한다. … 이와는 대조적으로 차등의 원칙의 위반은 확인하기가 더욱 어렵다. … 그래서 예를 들어 세제법이 기본적인 평등한 자유를 침해하거나 박탈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 아닌 한 그것은 보통 시민 불복종에 의해 거부되어서는 안 된다." (롤스, 『정의론』, 484p~485p)
대상과 근거를 명확히 구분해주시기 바랍니다.
차등의 원칙은 시민 불복종의 정당화 근거가 될 수 없습니다. 롤스 원전에도 그렇게 제시되어 있고 많은 강사분들이 그렇게 가르치고 있습니다.
롤스의 시민 불복종 정당화 근거는 ‘공적 정의관’이고, 시민 불복종의 대상은 ‘평등한 자유의 원칙과 기회 균등의 원칙에의 현저한 위배’에 국한되고 있습니다. 공적 정의관은 정의 원칙과 동일한 의미는 아니지만, 간단히 표현하면 ‘정의의 원칙에 입각한 만민의 공통된 의견이나 의사’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정의의 원칙에는 차등의 원칙 역시 포함됨을 숙지해주시기 바랍니다.
시민 불복종은 그것이 정치권력을 쥐고 있는 다수자에게 제시된다는 의미에서뿐만 아니라 그것이 정치적 원칙, 즉 헌법과 사회 제도 일반을 규제하는 정의의 원칙들에 의해 지도되고 정당화되는 행위라는 의미에서 정치적 행위라는 점을 또한 주목해야 한다. (정의론, 477)
이와는 대조적으로 차등의 원칙의 위반은 확인하기가 더욱 어렵다. … 그래서 예를 들어 세제법이 기본적인 평등한 자유를 침해하거나 박탈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 아닌 한 그것은 보통 시민 불복종에 의해 거부되어서는 안 된다. (정의론)
롤스는 차등의 원칙은 그것의 위반을 명확히 확인하기가 어렵기에 그것을 시민불복종의 근거로 삼으면 안 된다고 합니다. 해당 내용은 출제하신 선지와 전면적으로 상충됩니다. 롤스가 저렇게 포괄적으로 제시한 것과 별개로 ‘차등의 원칙’을 불복종의 근거로 삼아야 한다고 하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차등의 원칙이 아닌 1원칙과, 2원칙 중 기회균등의 원칙으로 시민불복종의 정당화 근거를 제한해야 함을 명백히 밝히고 있습니다.
누차 말씀드렸듯이 롤스의 표현에서 ’현저한 위배(serious infringements)‘는 대상을, ‘의거(invokes)’는 근거를 의미하며, 양자는 구분됩니다.
롤스의 시민 불복종론에서 ‘대상’ 내지는 ‘위배’의 표현이 아닌 ‘근거’로써 차등의 원칙이 기능할 수 없다는 명확한 자료를 제시해주시면, 해당 의견에 따라 수정하겠습니다.
다른 의견에서 제시해주신 현자의 돌 저자님의 블로그를 첨부하겠습니다.
https://blog.naver.com/cucuzz/222404139046
환경윤리 테일러 같은 경우에도 불간섭의 의무가 절대적인 의무인 것은 아니며 조건부 의무이고, 게다가 불간섭의 의무는 자연존중의 네 가지 의무 중 그 우선순위도 4순위입니다. ‘인간이 생명 공동체에 개입하는 것이 정당화되는 경우가 있다’는 최근 평가원 선지로도 기출된 바 있으며 교육과정 내 모든 환경윤리 사상가가 동의한다고 보는 것이 타당합니다.
이러한 점에서 ‘좋은 결과가 발생하더라도 생명 공동체에 개입하는 것은 도덕적으로 옳지 않다’고 단정적으로 서술한 10번의 ㄴ 선지에 대해서, 해당 선지는 수험생들에게 자칫 혼란을 불러일으킬 우려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관련 현자의돌님 링크 참조
“9평에서는 레오폴드& 테일러&레건이 모두 동의할 선지로
"인간이 생명 공동체에 개입하는 것이 정당화되는 경우가 있다."라는 선지가 출제되었다.”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cucuzz&logNo=222865245536&referrerCode=0&searchKeyword=%EB%B6%88%EA%B0%84%EC%84%AD%EC%9D%98%20%EC%9D%98%EB%AC%B4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cucuzz&logNo=222866784993&referrerCode=0&searchKeyword=%EB%B6%88%EA%B0%84%EC%84%AD%EC%9D%98%20%EC%9D%98%EB%AC%B4
해당 선지는 해설지에서 충분히 설명되어 있다고 판단됩니다.
해설지를 전부 읽고 말씀드리는 것입니다. 확실히 수정이 필요한 부분이라고 사료됩니다
해당 의견 역시 출제 과정에서 고려하였으며, 따라서 ’안된다‘는 식의 서술이 아닌, ’도덕적으로 옳지 않다‘는 식의 서술을 채택한 점 참고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