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문 잘하시는분 기초적인거하나만 도와주실분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785332
갑자기 기초적인게 헷갈리는데 기능론은 파업을 병리적현상이라고 본다고 개념강의적혀있는데 기능론은 사회불평등현상이 병리적인게 아니다라고 답지에나와있으면 뭔차이에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수능도 1 뜨면 좋겠다.....11덮도 무보1일거같긴해서 요새 긴장안하면 잘볼수...
-
11덮 컷 0
11투스 치느라 이제 11덮 컷 봤는데 보정은 말 할 것도 없고 무보 컷은 왜케...
-
새로 사실건가요 아니면 작년에 쓰던거 들고갈건가요 두개있는데 2년정도 된거라...
-
수능 100일 정도 남았을 때 즈음부터 오르비를 시작했었는데 참 많은 일이...
-
아이큐 때문에 상대적 박탈감 느끼는데 어떻게 극복하나요 19
2년 전 쯤에 지능검사를 받았는데 110이라네요 동생은 135나옴...
-
요즘 사설 다 꼬라박네 그냥 신경안써야겠다 사실 불안하지도 않긴함...
-
과외를 잡기 전까지는 대학 학부(메디컬은 예외) > 성별(여자 유리) >>>>>>...
-
그냥 개 아찔함 문제는 할 만하긴 했는데 그냥 그정도 난이도의 지문이 나온다? 그냥...
-
브레턴우즈도 솔직히 10
다시보면 그정도로 막 어려운 것 같진 않은데 생소한 단어가 좀 많아서 그런건가?...
-
현장에선 건드려보지도 못 했는데 기출 풀어보니까 쉽지않네..
-
현장에서 한비자한테 대가리깨지고 노자한테 싸다구얻어맞았는데 다들작수독서가.쉽다고하네
-
재종에서 자습시간에 노래 못듣게함?
-
차량카메라 화면이 보여요
-
자존감 채우기용 시험지 같아서 안푼 지 꽤 됐네요
-
45점 이거 1등급 되나요? 5, 11 틀림… 개념에서 걍 철저히 변별당하네
-
님들이 보기에 올해 22번 6,9모처럼 수열일까요? 3
어떻게 보시나요??
-
꼼꼼히 한다 하면 개념 얼마나 걸려요..???
기능론은 사회 불평등현상을 통해
사회구성원들에게 성취동기를 자극허고 사회적 효율성 향상에 기여한다는 입장이라서
사회불평등현상이 불가피하다(=반드시 필요하다)
라는 입장입니다
따라서 기능론은 사회불평등현상이
병리적이 아니라고 생각하는것입니다
그럼 파업이 병리적이라고보는건 왜그런건가요?? 파업을 사회불평등현상으로 보면 안되는건가여?
파업은 사회불평등현상이 아닌
일종의 사회문제,갈등으로 보는게 맞습니다
왜냐면 파업이란게 희소자원이 차등분배되어 있어
개인이나 집단을 차별화하는 현상(<-이게 사회불평등현상에 대한 정의입니다)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암튼 기능론은 사회문제나 갈등으로 간주하므로 이로인해 전체 구성원의 합의로 유지되어오던 사회 유지나 통합이
일시적, 병리적으로 잠깐 흐트러졌다 어그러졌다
라고 간주하기때문에
파업을 병리적현상으로 간주합니다
감사합니다 ㅠ 수능에 만약 파업아닌 다른 사회문제현상이 나오면 어떻게 판단해야할까요 보통 그냥 사회불평등현상이라고 나오면 병리적인게아니라고 판단하면 될지 ㅠ 걱정이네요
수능때 파업 말고 다른 사회문제현상이 나올때 판단은 출제된 해당 사회문제현상에 대한 설명에 따라
판단을 다르게 해야해서 지금 막 판단법 알려주긴 섣부른거 같고 대신에 좀 기능론이랑 갈등론에 대한
키워드 정리를 알려드리자면
1. 사회문제,갈등,대립에 대한 시선
기능론->일시적,병리적 현상 (부정적이미지로 판단하기)
갈등론->필연적, 사회변동의 원동력 (긍정적이미지로 판단하기)
2. 각각 어떤것을 불가피하다고(=반드시 필요)여기는가
기능론-> 사회불편등현상
갈등론-> 사회변동, 대립과 갈등
3. 기능론과 갈등론의 공통점
둘 다 “사회불평등은 보편적 현상이라고 간주”
다만 차이점은 기능론은 사회불평등이 불가피하다고 여기지만 갈등론은 제거의 대상이라고 판단함
이해가 가긴하네요 ㅠ 자세한답변 진짜 감사합니다 수능화이팅하세요!
기능론 입장에서 생각해보세요
부정적이라고 느껴지는 현상이 다 병리적인 것은 아닙니다
사회문제현상만 병리적이라고 보면 되려나요? 불평등은 아니고

불평등은 정당한 것이에요 (기능론 입장에서)님근데 사문도 잘하시는건가요 ㅋㅋㅋㅋ 생윤 고수시잖아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