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문 잘하시는분 기초적인거하나만 도와주실분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785332
갑자기 기초적인게 헷갈리는데 기능론은 파업을 병리적현상이라고 본다고 개념강의적혀있는데 기능론은 사회불평등현상이 병리적인게 아니다라고 답지에나와있으면 뭔차이에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수학 하방 유지 7
다른 과목은 몰라도 수학만큼은 하방이 88점입니다 정확히는 공통은 거의 항상 다...
-
불안하게... 감기는 아니겠지...? 테라플루 먹고 바로 디비 누워 자야겠다...
-
국어는 어딘가에서 판단을 잘 못 하거나 해서 진짜 틀린거고 수학은 그냥 못 푼거에 가까운듯
-
독서론>사회>문학>화작>가나지문>과학
-
상상은 80후반에서 90초 강k도 비슷한데 이감만 이렇게 나옴 수능전날에...
-
독서론 -5 문학 -10(그중에 옥린몽 -7) 독서 -3 독서보다 독서론을 더틀렸네...
-
살 ㅈㄴ 쪘네 11
10kg는 빼야 축구 예전 실력 회복 가능할 듯요
-
그냥 전투력 5000배 상승
-
수학실모 슬럼프 8
미적 6모 88, 9모 100 맞았는데 최근 들어 실모를 볼 때마다 주로...
-
좀 어렵고 퀄 좋은 교육청 년도랑 월 추천좀 해주세요
-
본인학교 몰카덮음 14
올해초에 고1남자애들이 몰타로 여자화장실 ㄷ촬한거 지들이 떠벌리고 다닌거 학교에서 덮었음 ㅋㅋ
-
사문 질문 5
분모가 다를때 ㄴ 어떻게 구하나요?
-
어렵다는 걸 인지를 못하는 게 아닐까? 왜 수학 고정 100인 애가 5등급이...
-
강민철 대기 2
강기분 독서 현강 대기 220번이면 절대 안빠지겠죠? 빠진다고 해도 언제쯤 들을 수 있을까요?
-
대부분 편식해서 하니까
기능론은 사회 불평등현상을 통해
사회구성원들에게 성취동기를 자극허고 사회적 효율성 향상에 기여한다는 입장이라서
사회불평등현상이 불가피하다(=반드시 필요하다)
라는 입장입니다
따라서 기능론은 사회불평등현상이
병리적이 아니라고 생각하는것입니다
그럼 파업이 병리적이라고보는건 왜그런건가요?? 파업을 사회불평등현상으로 보면 안되는건가여?
파업은 사회불평등현상이 아닌
일종의 사회문제,갈등으로 보는게 맞습니다
왜냐면 파업이란게 희소자원이 차등분배되어 있어
개인이나 집단을 차별화하는 현상(<-이게 사회불평등현상에 대한 정의입니다)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암튼 기능론은 사회문제나 갈등으로 간주하므로 이로인해 전체 구성원의 합의로 유지되어오던 사회 유지나 통합이
일시적, 병리적으로 잠깐 흐트러졌다 어그러졌다
라고 간주하기때문에
파업을 병리적현상으로 간주합니다
감사합니다 ㅠ 수능에 만약 파업아닌 다른 사회문제현상이 나오면 어떻게 판단해야할까요 보통 그냥 사회불평등현상이라고 나오면 병리적인게아니라고 판단하면 될지 ㅠ 걱정이네요
수능때 파업 말고 다른 사회문제현상이 나올때 판단은 출제된 해당 사회문제현상에 대한 설명에 따라
판단을 다르게 해야해서 지금 막 판단법 알려주긴 섣부른거 같고 대신에 좀 기능론이랑 갈등론에 대한
키워드 정리를 알려드리자면
1. 사회문제,갈등,대립에 대한 시선
기능론->일시적,병리적 현상 (부정적이미지로 판단하기)
갈등론->필연적, 사회변동의 원동력 (긍정적이미지로 판단하기)
2. 각각 어떤것을 불가피하다고(=반드시 필요)여기는가
기능론-> 사회불편등현상
갈등론-> 사회변동, 대립과 갈등
3. 기능론과 갈등론의 공통점
둘 다 “사회불평등은 보편적 현상이라고 간주”
다만 차이점은 기능론은 사회불평등이 불가피하다고 여기지만 갈등론은 제거의 대상이라고 판단함
이해가 가긴하네요 ㅠ 자세한답변 진짜 감사합니다 수능화이팅하세요!
기능론 입장에서 생각해보세요
부정적이라고 느껴지는 현상이 다 병리적인 것은 아닙니다
사회문제현상만 병리적이라고 보면 되려나요? 불평등은 아니고

불평등은 정당한 것이에요 (기능론 입장에서)님근데 사문도 잘하시는건가요 ㅋㅋㅋㅋ 생윤 고수시잖아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