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문 잘하시는분 기초적인거하나만 도와주실분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785332
갑자기 기초적인게 헷갈리는데 기능론은 파업을 병리적현상이라고 본다고 개념강의적혀있는데 기능론은 사회불평등현상이 병리적인게 아니다라고 답지에나와있으면 뭔차이에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물리 아예 노베이스 인데 생지 하다가 생명이 너무 안맞는거같아서 물지로 바꾸려는데...
-
3점 풀림 존나잘풀림 답 근거까지 딱 딱 보임 근데 2점 내용일치 문제에서 계속...
-
D-371 공부 0
-
범위를 동성까지 늘리면 됨
-
어려운거 맞나요??? 8회차까지 다 풀었는데 87부터 72까지 점수폭이 너무 큰데…...
-
[★풀모 배포] 수능 영어 1등급, 걱정되는 친구들에게 40
안녕하세요.오르비 X 매시브 강원우 연구실 입니다. 이제 어느덧 수능이 일주일...
-
유기하면 내 대입이 유기되겟지,,
-
기술 - 키트 과학 - 비타민 K 경제 - BIS 인문 - 신분제 법 - 행정 명령...
-
살도 빼는 빼빼로를 먹으면서 빼빼 말라지는
-
삼디다스 슬리퍼에 후드집업으로는 감당이 안되네요...
기능론은 사회 불평등현상을 통해
사회구성원들에게 성취동기를 자극허고 사회적 효율성 향상에 기여한다는 입장이라서
사회불평등현상이 불가피하다(=반드시 필요하다)
라는 입장입니다
따라서 기능론은 사회불평등현상이
병리적이 아니라고 생각하는것입니다
그럼 파업이 병리적이라고보는건 왜그런건가요?? 파업을 사회불평등현상으로 보면 안되는건가여?
파업은 사회불평등현상이 아닌
일종의 사회문제,갈등으로 보는게 맞습니다
왜냐면 파업이란게 희소자원이 차등분배되어 있어
개인이나 집단을 차별화하는 현상(<-이게 사회불평등현상에 대한 정의입니다)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암튼 기능론은 사회문제나 갈등으로 간주하므로 이로인해 전체 구성원의 합의로 유지되어오던 사회 유지나 통합이
일시적, 병리적으로 잠깐 흐트러졌다 어그러졌다
라고 간주하기때문에
파업을 병리적현상으로 간주합니다
감사합니다 ㅠ 수능에 만약 파업아닌 다른 사회문제현상이 나오면 어떻게 판단해야할까요 보통 그냥 사회불평등현상이라고 나오면 병리적인게아니라고 판단하면 될지 ㅠ 걱정이네요
수능때 파업 말고 다른 사회문제현상이 나올때 판단은 출제된 해당 사회문제현상에 대한 설명에 따라
판단을 다르게 해야해서 지금 막 판단법 알려주긴 섣부른거 같고 대신에 좀 기능론이랑 갈등론에 대한
키워드 정리를 알려드리자면
1. 사회문제,갈등,대립에 대한 시선
기능론->일시적,병리적 현상 (부정적이미지로 판단하기)
갈등론->필연적, 사회변동의 원동력 (긍정적이미지로 판단하기)
2. 각각 어떤것을 불가피하다고(=반드시 필요)여기는가
기능론-> 사회불편등현상
갈등론-> 사회변동, 대립과 갈등
3. 기능론과 갈등론의 공통점
둘 다 “사회불평등은 보편적 현상이라고 간주”
다만 차이점은 기능론은 사회불평등이 불가피하다고 여기지만 갈등론은 제거의 대상이라고 판단함
이해가 가긴하네요 ㅠ 자세한답변 진짜 감사합니다 수능화이팅하세요!
기능론 입장에서 생각해보세요
부정적이라고 느껴지는 현상이 다 병리적인 것은 아닙니다
사회문제현상만 병리적이라고 보면 되려나요? 불평등은 아니고

불평등은 정당한 것이에요 (기능론 입장에서)님근데 사문도 잘하시는건가요 ㅋㅋㅋㅋ 생윤 고수시잖아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