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퀄모 미적28번 아무리봐도 문제이상같은데……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751329
28번 푼사람 있음??
t랑 넓이값 계산할때 x축과의 교점값이 서로 관련이 있어서
상수처리하고 미분하는게 불가능 하지 않나…
애초에 답지에서도 두개의 변수가 관련있다고 식을 써놨구만…
가령
y = x + t
x = t^2
에서,
y를 t에 대해서 미분하면 1인게 말이되나?
0 XDK (+10)
-
10
-
정시 고2 경제공부 12
이번 고3 10모 2등급나왔어요 마더텅은 이미 다풀었는데 뭘 공부하면 좋을까요???...
-
'잘생기다'는 형용사 같지만 사실은 품사가 동사다!
-
시험 어려워서 1등급 될거 같기도하고?? 가 아니라 79점이면 몇등급정도 되나요?...
-
올해엔 싱글커넥션만하고 내년 강의 나오는대로 아래에서부터 쭈욱 도장깨기해야지 (마플...
-
말을 많이 하는 사람들은 30~40% 정도를 자신의 이야기를 하는데 소모한다고...
-
어떤가요.. 긴장될때 먹음 진짜 효과좋나요?
-
1개당 덕코를 드려요
-
지구 수완 실모 1
2회차 진짜이거…어캄…30점나왓는데ㅜㅜ 하ㅜㅜ
-
영어모의고사 0
영어 모의고사 추천해주세요
-
경희대 국제캠의 단점 21
(공대, 외대, 멀관-교양, 정문) (예대, 자대, 중도, 학관)는 ㅈㄴ 멀리...
-
노니까 좋다 0
매일 놀고 싶다
-
사이트 보니까 없던데 예비 고3 1~2월꺼는 언제부터 신청 가능한가요 ?
-
여캐일러로 메타 정상화 12
-
나랑 맞팔하자 26
저도 은태 달고 싶어요...머쓱
h(s)는 't가 정해졌을 때' 함수 위의 임의의 한 점 s에서의 넓이를 의미합니다.
다시말해서 s와 t는 종속관계가 아닙니다.
다만, h(s)의 극대(최대)일 때의 s(특징점)은 t와 종속관계이기 때문에 이 경우의 s를 g(t)로 두고 푸는 겁니다.
답변감사합니다. 근데 이후에 문제풀이에서, h(s)를 미분하는 과정에서, s와 t의 관계가 나타나잖아요? (1-s)e^s=t였나? 뭐어쨋든,
그러면 이때의 s는 상수값이라고 보아야 하는건가요?
그림적으로 봤을때, t값이 변함에 따라, s의 값이, 즉 가장 크게 되는 s의 값이 달라지는 것 같아서 t와 s의 값이 종속적이라고 판단했는데, 이렇게 생각하면 안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가장크게되는 s값이 t에 종속이 되는 것이기 때문에 g(t)로 잡을 수 있는 것이지만 0<s<2인 실수 s는 t와 독립적인 변수입니다.
음 저도 어제 학원 학생 질문을 받아서 풀어준거라 문제 원문하고 해설이 없어서 더 자세한 답변이 어려울 것 같아유 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