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퀄모 미적28번 아무리봐도 문제이상같은데……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751329
28번 푼사람 있음??
t랑 넓이값 계산할때 x축과의 교점값이 서로 관련이 있어서
상수처리하고 미분하는게 불가능 하지 않나…
애초에 답지에서도 두개의 변수가 관련있다고 식을 써놨구만…
가령
y = x + t
x = t^2
에서,
y를 t에 대해서 미분하면 1인게 말이되나?
0 XDK (+10)
-
10
-
ㅇㅈ 5
하기귀찮
-
만약 인원이 적은 과목 한다고 했는데 어떤애가 인원적어서 1등급따기 어려운데 왜...
-
아니면 제일 자주쓰는거 하나만 있으면 된다고 생각하시나요
-
물리황들께 질문... 14
실모를 풀다가.. 이런 문제를 만나면 정말... 시간 내에 다 풀 자신이 없는데...
-
22 30틀 92 21번 어렵고 15번은 신박했음 28번이 좀 쉬워서 놀람 21번...
-
와 십 21
고등학교 내내 다닌 학원이라 쌤이랑 엄청 친해서 쌤이 가끔 뽑을거있으면 오라해서...
-
33점.
-
팔취있네 0
부담스러웠나 잘됬다
-
사범대 안에서도 복수전공 가능한가요?
-
가천대 논술 지원했는데 인강이나 책같은거 추천할만한거 있을까요
-
ㄱ
-
나은줄 알았는데... 자세가 잘못됬나
-
원래 수능 전에 선정업체 알려주지 않았나..? 올해 바뀐 샤프라고 많이 얘기하길래...
-
대학 연애 하니까 10
반수 할거라는 마인드 + 연애 크게 관심없어서 1학기에 선배나 동기한테 호감작이랑...
h(s)는 't가 정해졌을 때' 함수 위의 임의의 한 점 s에서의 넓이를 의미합니다.
다시말해서 s와 t는 종속관계가 아닙니다.
다만, h(s)의 극대(최대)일 때의 s(특징점)은 t와 종속관계이기 때문에 이 경우의 s를 g(t)로 두고 푸는 겁니다.
답변감사합니다. 근데 이후에 문제풀이에서, h(s)를 미분하는 과정에서, s와 t의 관계가 나타나잖아요? (1-s)e^s=t였나? 뭐어쨋든,
그러면 이때의 s는 상수값이라고 보아야 하는건가요?
그림적으로 봤을때, t값이 변함에 따라, s의 값이, 즉 가장 크게 되는 s의 값이 달라지는 것 같아서 t와 s의 값이 종속적이라고 판단했는데, 이렇게 생각하면 안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가장크게되는 s값이 t에 종속이 되는 것이기 때문에 g(t)로 잡을 수 있는 것이지만 0<s<2인 실수 s는 t와 독립적인 변수입니다.
음 저도 어제 학원 학생 질문을 받아서 풀어준거라 문제 원문하고 해설이 없어서 더 자세한 답변이 어려울 것 같아유 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