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퀄모 미적28번 아무리봐도 문제이상같은데……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751329
28번 푼사람 있음??
t랑 넓이값 계산할때 x축과의 교점값이 서로 관련이 있어서
상수처리하고 미분하는게 불가능 하지 않나…
애초에 답지에서도 두개의 변수가 관련있다고 식을 써놨구만…
가령
y = x + t
x = t^2
에서,
y를 t에 대해서 미분하면 1인게 말이되나?
0 XDK (+10)
-
10
-
'북한강 토막살인' 피의자, 육군 중령 진급 예정자…피해자는 군무원 0
(춘천=뉴스1) 이종재 기자 = 강원 화천군 ‘북한강 30대 여성 변사체’ 사건과...
-
무우우물 23
-
기하 검색하면 포"기하"기 얘"기하"기 이런거 뜸
-
히히 그넫 투데이 모바일 버전으로 어케 보나여 그리구 근데 오ㅐ 팔로워가 줄었지...
-
님들 mbti 머임 10
ㅈㄱㄴ
-
경제해도 괜찮죠? 지금 고2임다
-
여전히 킬러에 힘이 빠진 채로 나올까요? 어려운 양적 중화는 못 풀고 올해 경향만큼...
-
짱구마냥 12
검,흰 반팔티만 1년내내 입는중 방금 또 두장씩 더 샀다 흐흐 스티브잡스가 되고싶구나..
-
ㄹㅇ임
-
난이도대결 1
ㅈㄱㄴ
-
고1 3모 백분위 국수영 77 55 1 고3 10모 백분위 국수영 87 99 1...
-
10일 남아서 둘중 하나만 하려고 하는데 둘중에 뭘하는게 나을까요?
-
그런 말은 항상 있어 왔다
-
힘내라고 해줘 10
으응...
h(s)는 't가 정해졌을 때' 함수 위의 임의의 한 점 s에서의 넓이를 의미합니다.
다시말해서 s와 t는 종속관계가 아닙니다.
다만, h(s)의 극대(최대)일 때의 s(특징점)은 t와 종속관계이기 때문에 이 경우의 s를 g(t)로 두고 푸는 겁니다.
답변감사합니다. 근데 이후에 문제풀이에서, h(s)를 미분하는 과정에서, s와 t의 관계가 나타나잖아요? (1-s)e^s=t였나? 뭐어쨋든,
그러면 이때의 s는 상수값이라고 보아야 하는건가요?
그림적으로 봤을때, t값이 변함에 따라, s의 값이, 즉 가장 크게 되는 s의 값이 달라지는 것 같아서 t와 s의 값이 종속적이라고 판단했는데, 이렇게 생각하면 안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가장크게되는 s값이 t에 종속이 되는 것이기 때문에 g(t)로 잡을 수 있는 것이지만 0<s<2인 실수 s는 t와 독립적인 변수입니다.
음 저도 어제 학원 학생 질문을 받아서 풀어준거라 문제 원문하고 해설이 없어서 더 자세한 답변이 어려울 것 같아유 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