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국어 지문에서 물어보는 거하고 평가원, 수능에서 물어보는 거하고 차이가 있는 거 같음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748815
웬지 모르게 사설은 디테일함을 물어본다면 평가원, 수능은 디테일함 약간에 전반적인 지문 이해를 했는 지 확인하는 거 같은 느낌이 듬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문과 성대 11
대충 어느정도면 가지? 수학 높3이거나 2등급이라는 가정하
-
30번 하나남았는데 어캐하는지 모르겟넹
-
나 대학 잘 가면 엄마 아빠가 진짜 좋아하실텐데... 내 돈으로 사먹겠다고 해도...
-
다들 몇 점이고 어떠신가요? 예상 1컷이랑요
-
전 84 예상합니다
-
되고싶어!!!! 그러니까 최저만 맞추게 해줘!!!
-
서울대 간 친구 맞팔은 서울대생이 80%임.. 내 인스타 맞팔은 숭실대 30%...
-
9월 말부터 이감 파이널 가격 때문에 부모님께 말하기 죄송해서 고민, 남은 시간...
-
내신강사들만 나온듯?
-
약 먹으면 졸리고 휴지로 막아도 금방 젖고 신경쓰이고.. 진심 x같네요ㅠㅠ
맞긴함 평가원 지문은 구조를 중시하는 반면에 사설은 냅다 숨은단어찾기 개념 잇기/구분하기로 난이도를 높여서
평가원, 수능은 디테일함도 중요하지만 전반적으로 지문을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는 지 물어보는 거 같아요
사설은 이 부분을 알텐데 왜 디테일함에 신경쓸까요?
변별때문이겠죠?
'글을 못 쓰니까'
강사와 교수님의 수준차이가 엄청 드러나네요
국어는 아무리 사설이 발전하더라도 따라잡을 수 없겠네요
반농담으로 이렇게 말하기는 했다만 능력의 차이보다는 출제에 주어진 시간도 퀄리티의 차이에 한몫한다고 생각함
사설에 필요한 능력도 도움이 되기는 한다만은 갠적으로 '사설스러움'의 이유는 문제가 일주일만에 급조돼서라고 봄
매주 나오는 문항을 평가원처럼 뽑아내기에는 시간도 인력도 딸리는데 변별력은 갖춰야 하니까 이따구로 내는듯
매주 뽑아낸다면 퀄이 안 좋을 수 밖에 없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