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는 왜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700878
사람마다 다 다르냐
누군 천천히 읽으라 하고
누군 빠르게 읽으라 하고
누군 영어 자체로 받아들이고
누군 해석하고 이해 해야 한다 하고
으아
분명 현역땐 영어에 걱정 없었는데 진짜 미치겠네
2년 연속 9 수능 6 9 ptsd 옴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작년의 나는 1
수능 수학 6번 19번 25번을 틀렸었구나 많이발전했다그래....
-
더프 기록 1
언매 확통 동사 사문 97 81 41 47
-
ㅇㅇ
-
김승모 수능대비 2회랑 10덮 11덮중에 어느순서대로 어렵나요???
-
고해성사) 1
오늘 문명6 3시간 플레이 함(승리못함) 반성합니다.
-
파이널 되니까 의결정족수 공법사법 국민참여재판 이런거 우수수 나오는데 공법사법...
-
국어 이감같은 연계 실모 한 30회 가까이 풀었고 따로 ebs는 안봤어요. 실모에서...
-
우린 들어가면 군필6수가 아니라 미필4수인거야 알겠지? 흐흐흐
-
님들 우주의 팽창속도 생각할때는 크기 그자체보다는 비율로 생각하는게 맞는거...
-
유튜브 ㅈㄴ보네 하 시발 ㅈ됐다
-
같은 94입갤ㅋㅋ
-
불안해 죽겠는데 2
이거 한국사 몇일 전부터 하는게 정배죠..?
-
너자신을알라...? 너알라?? 헉
-
곧 정병훈이 없는 수능판이 온다는 걸 받아들이기가 힘듦... 반쪽으로 호형밖에...
-
ㄹㅇ
-
몇강까지 인가요?
그냥 무작정 천천히 읽는 것, 무작정 빨리 읽는 것 둘 다 아닙니다. 중요한 부분은 천천히 이해하며 읽고, 빨리 넘겨도 될 부분들은 빨리 넘기는게 맞습니다.
이건 academic reading의 가장 기본적인 원칙이에요. 잘 읽는 법은 어느 정도 정형화되어있습니다. SAT, LSAT, GRE, GMAT 등의 영어 기반 해외 시험을 준비할 때도 속도감은 살리되, 중요한 정보를 이해하며 내려가는 연습을 하는 것이 기본입니다.
정보 경중 따져서 강약 조절하면서 읽으면 되는 거죠? 그리고 굳이 영어 자체로 이해할 수 있으면 굳이 해석하려 노력하지 않아도 되는 건가요??
영어를 굳이 억지로 해석하려고 들 필요는 없는 것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