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성적을 망치는 지름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672563
당연히 호머식 채점임
호머해서 당장 ‘이건 맞을 만한 문제이긴 했어 ㅋㅋㅋ 저스트 해프닝’하고 넘기면 그때 기분은 좋지만 문제는 영원히 시험장에서는 그 문제를 못 맞힐 거라는 사실임.
호머식 채점을 해도 될 때는 딱 하나뿐임
1. 없음
ㅇㅇ 그딴 상황따윈 없음. 만약 수학에서 마지막에 계산실수 하나해서 틀렸지만 과정 다 맞았으니 정답처리해도 된다? 수능 때 똑같은 계산실수로 틀리게 되어있음. 대학수학처럼 과정이 더 중요한 거면 모르겠는데 고등수학까지는 답을 내는 수학임. 답을 못 내거나 답이 틀렸다? 가차없이 그 문제는 0점이라는 얘기임.
수학은 그래도 국어보단 양반임. 국어에서 호머식 채점을 한다? 그건 그냥 내 만족을 위한 보상심리지 ’내 실력은 이 문제를 맞힐 실력이긴 해‘라고 위안 삼고 넘길 문제가 아님. 공부는 새로운 것을 배우는 것도 맞지만 생각해보면 님들은 더 이상 배우고 있는 게 없음. 지금 막 새로운 개념을 배워서 그걸 익히느라 혈안이 되어있음? 절대로 아닐 거라 생각함.
오히려 공부는 ‘익힘’으로써 그 진가가 발휘됨. 학습이란 단어는 ’배우고, 익히다.‘라는 뜻인데 이때 중요한 건 뒷부분임. 배우고, 그걸 어떻게 내것으로 만들어낼지 고민해야 하는 게 공부임. 틀린 문제가 있다면 어디서,어떻게, 왜 틀렸는지 고민하고, 수정해야 다음에 비슷한 문제를 맞닥뜨리더라도 발전된 모습을 보여줄 수 있어야 공부를 했다고 할 수 있는 거임. 근데 호머식 채점이 바로 이 점을 막아버리는 게 큰 문제임. 지금 님들이 실모를 매일같이 푸는 이유가 뭐임? 내 점수 보고 리딸 조질려고? 그럴 거면 대학 들어가서 친구들하고 모의고사 점수 내기를 하는 게 낫지… 발전하고 싶어서 그런 거잖음. 점차 분석하고 수정하면서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으려 하는 게 실모를 푸는 가장 큰 목적인데 호머식 채점은 그 목적성을 가장 흐리게 만드는 미꾸라지임.
내가 푼 게 정말 한끗차이라 하더라도 틀렸다면 그냥 틀린 거임. 틀린 문제에 의미부여를 할 건 ‘내가 이런 부분이 약하구나. 수정해야겠네.’ 뿐이지 ‘아 ㅋㅋ 개까비 이건 맞은 문제다’하면 스스로를 자멸의 길로 빠뜨리는 자충수 그 이상의 악수가 될 거임.
수능 20여일 정도 남은 상황에서 마무리 잘 하시길 바라고, 조금만 더 힘내시길 바랍니다. 당장은 앞이 보이지 않는 칠흑같은 터널이더라도 그날만 지난다면 여러분 앞에 있는 것은 찬란한 햇빛뿐일 겁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한국사퀴즈 3
-
고정1이다가 3개월 유기하니 감다뒤돼서 고정2 뜨는데 막판에 몰아쳐서 감 올릴려면...
-
저는 요즘 일련의 사건들을 겪고 생각해보니 그렇다고 생각해요. 여러분들은?
-
으앙 피곤행 4
-
스킬이란 말 '요령'이라고 하면 되게 사교육스럽지가 않은 거 같아 3
합성함수 스킬 합성함수 요령
-
기하 재능임? 5
중등 도형 포함
-
학벌 중요도가 조금씩 낮아지는거 같음 그냥 자기가 얼만큼 적극적으로 사냐에 따라 달린듯 아님말고
-
밀어줄려나 안해주겠지
-
큐브 질문 2
마스터 프로필 들어가면 만족도랑 답변수 뜨나요? 곧 1000답변 달성인데 으흐흐
-
72쪽 (나) 1문단 인간은 기존의 기호 체계를 수용할 수 밖에 없다. 여기서...
-
걍 기출갈무리 2로 갈까 기출갈무리 2 해본 분 후기가 급해요..
-
지듣노 0
오늘은 타카키맛으로
-
드가자
-
박광일 쌤 내년에 두각에서 안하시고 아예 대성 계열 아닌 다른 곳에서 현강...

갓 멋진 칼럼입니다..유링게슝한 칼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