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성적을 망치는 지름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672563
당연히 호머식 채점임
호머해서 당장 ‘이건 맞을 만한 문제이긴 했어 ㅋㅋㅋ 저스트 해프닝’하고 넘기면 그때 기분은 좋지만 문제는 영원히 시험장에서는 그 문제를 못 맞힐 거라는 사실임.
호머식 채점을 해도 될 때는 딱 하나뿐임
1. 없음
ㅇㅇ 그딴 상황따윈 없음. 만약 수학에서 마지막에 계산실수 하나해서 틀렸지만 과정 다 맞았으니 정답처리해도 된다? 수능 때 똑같은 계산실수로 틀리게 되어있음. 대학수학처럼 과정이 더 중요한 거면 모르겠는데 고등수학까지는 답을 내는 수학임. 답을 못 내거나 답이 틀렸다? 가차없이 그 문제는 0점이라는 얘기임.
수학은 그래도 국어보단 양반임. 국어에서 호머식 채점을 한다? 그건 그냥 내 만족을 위한 보상심리지 ’내 실력은 이 문제를 맞힐 실력이긴 해‘라고 위안 삼고 넘길 문제가 아님. 공부는 새로운 것을 배우는 것도 맞지만 생각해보면 님들은 더 이상 배우고 있는 게 없음. 지금 막 새로운 개념을 배워서 그걸 익히느라 혈안이 되어있음? 절대로 아닐 거라 생각함.
오히려 공부는 ‘익힘’으로써 그 진가가 발휘됨. 학습이란 단어는 ’배우고, 익히다.‘라는 뜻인데 이때 중요한 건 뒷부분임. 배우고, 그걸 어떻게 내것으로 만들어낼지 고민해야 하는 게 공부임. 틀린 문제가 있다면 어디서,어떻게, 왜 틀렸는지 고민하고, 수정해야 다음에 비슷한 문제를 맞닥뜨리더라도 발전된 모습을 보여줄 수 있어야 공부를 했다고 할 수 있는 거임. 근데 호머식 채점이 바로 이 점을 막아버리는 게 큰 문제임. 지금 님들이 실모를 매일같이 푸는 이유가 뭐임? 내 점수 보고 리딸 조질려고? 그럴 거면 대학 들어가서 친구들하고 모의고사 점수 내기를 하는 게 낫지… 발전하고 싶어서 그런 거잖음. 점차 분석하고 수정하면서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으려 하는 게 실모를 푸는 가장 큰 목적인데 호머식 채점은 그 목적성을 가장 흐리게 만드는 미꾸라지임.
내가 푼 게 정말 한끗차이라 하더라도 틀렸다면 그냥 틀린 거임. 틀린 문제에 의미부여를 할 건 ‘내가 이런 부분이 약하구나. 수정해야겠네.’ 뿐이지 ‘아 ㅋㅋ 개까비 이건 맞은 문제다’하면 스스로를 자멸의 길로 빠뜨리는 자충수 그 이상의 악수가 될 거임.
수능 20여일 정도 남은 상황에서 마무리 잘 하시길 바라고, 조금만 더 힘내시길 바랍니다. 당장은 앞이 보이지 않는 칠흑같은 터널이더라도 그날만 지난다면 여러분 앞에 있는 것은 찬란한 햇빛뿐일 겁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점수 등락폭이 너무커요 47 ~ 37까지 비유전 빠르게 처내면 47에서 44왔다갔다...
-
수학 88 → 92 >>>>> 노베 → 5 >>>>>>>>>>> 넘사벽...
-
수능 끝나면 바로 안 나오실까요??ㅠㅠ
-
오늘 하루도 수고하셨습니다. 오늘도 남들에게 부끄러운 하루를 살았습니다. >국어...
-
윤석열[윤서결/운성녈] 15
이름은 성+이름 구조임. 그니까 '윤+석열'로 인식되는데 여기서 '석열'을 언중이...
-
주변 현역중에 3합7 13
맞춘사람 꽤 있나요(일반고기준) 6.9모도 맞췄다는 가정하에....
-
오늘 친구랑 논쟁했는데 오르비 회원님들 생각은 어떠신지요
-
23수능 96 87 2 85 84 << 이걸로 어디갔을지 맞추면 천덬 언미물지
-
수학실모 풀 거+ 푼 거 6평 9평 7모 10모 기준 낮2~중간 2정도인데 빡모...
-
레데리1 샀음 4
갓 나온 게임 풀프라이스로 산 거 처음인 것 같은데 대가리 제대로 깨진 듯
-
수능으로 화학1을 고르지 않을 것임을 다짐하게 됨

갓 멋진 칼럼입니다..유링게슝한 칼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