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쥐와 밝은 쥐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658386
중세국어에는 그래도 현대국어보다 비통사적 합성어가 조금은 많이 보이는데 동물명에서도 좀 있다.
대표적으로 예전 틀딱 문법 지문에 나온 '두더지'라든가 이번에 소개할 '박쥐'가 있다
중세국어 ‘두디쥐’는 동사 어간 ‘두디-’와 명사 ‘쥐’가 결합된 비통사적 합성명사이다. '뒤지다'의 옛말은 ‘두디-’인데 얘가 구개음화하면 현대국어의 '뒤지다'가 된다. 즉 '두더쥐'의 옛말인 '두디쥐'는 왔다리 갔다리 하면서 땅을 들추는 습성이 있고 쥐처럼 생겼기 때문에 이렇게 붙은 것이다.
비슷하게 '박쥐'가 있다. 박쥐의 중세국어 어형은 'ᄇᆞᆰ쥐'로 첫 음절이 누가 봐도 '밝다'의 'ᄇᆞᆰ-'이다. 아마 박쥐가 출몰하는 환경이 동굴같이 어두운 곳이다보니 눈이 밝게 빛나서라든가 아니면 어두운 밤에 활동하는 야행성동물인 박쥐의 눈이 밝았을 거라서 이름을 그렇게 지었을까? 아무튼 15~18세기까지 'ᄇᆞᆰ쥐'로 쓰이다 자음군단순화가 적용된 '박쥐'라는 표기는 19세기에야 등장한다. 이는 어원 의식이 옅어짐에 따라 '밝쥐'로 쓰지 않게 된 것이고, 현재로선 더 이상 복합어로 인식되지 않는다.
즉 '두더쥐'와 '박쥐' 모두 원래의 형태와 달라지면서 단일어화를 겪은 것이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6평 85(1) 찍맞있음 9평 100(1) 시간 안남음 10덮 무보4 보2 시발...
-
오또k
-
A는 B보다 A에 비해 B는
-
쉬운 비문학 한지문임ㅋㅋ
-
맞으면 뭐함 시간이 존나 오래걸리는데
-
선택과목 변경 하려는데 수능때 미적할지 확통할지에따라 바뀌는데 제가 경우의수도 원래...
-
10덮에 반영된건 봤습니다
-
근거가 불분명했던데 지금까지 독서론중 젤 난이도 있나요
-
OMR 화이트 참사를 1번씩들 겪는것같은데 꿀팁이나 주의사항 있을까요 9모에서 저도...
-
4덮 풀다가 gg 7덮 70점대 이번에 첫 현장응신데 잘볼 수 있겠죠 엉엉이
-
지구 애들 개잘하네 45점이 1컷일정도의 시험은 아니였던거같은디..
-
내가 잘보면 모집정지되면 안되고 내가 못보면 모집정지해도 알빠노임ㅇㅇ
-
열심히 풀어도 빈순삽에서 5~6문제는 못 풀고 종치는데 몇번을 버리는 게 좋을까요?...
-
그렇게까지 쉽진 않았는데.....
-
적중예감 파이널 풀기전에 적중예감 시즌프리 5회분 풀엇는데 대부분 3등급이...
-
강기원 어싸 0
수능까지 5-6권은 남을 거 같은데 끝나도 팔리나요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