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쥐와 밝은 쥐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658386
중세국어에는 그래도 현대국어보다 비통사적 합성어가 조금은 많이 보이는데 동물명에서도 좀 있다.
대표적으로 예전 틀딱 문법 지문에 나온 '두더지'라든가 이번에 소개할 '박쥐'가 있다
중세국어 ‘두디쥐’는 동사 어간 ‘두디-’와 명사 ‘쥐’가 결합된 비통사적 합성명사이다. '뒤지다'의 옛말은 ‘두디-’인데 얘가 구개음화하면 현대국어의 '뒤지다'가 된다. 즉 '두더쥐'의 옛말인 '두디쥐'는 왔다리 갔다리 하면서 땅을 들추는 습성이 있고 쥐처럼 생겼기 때문에 이렇게 붙은 것이다.
비슷하게 '박쥐'가 있다. 박쥐의 중세국어 어형은 'ᄇᆞᆰ쥐'로 첫 음절이 누가 봐도 '밝다'의 'ᄇᆞᆰ-'이다. 아마 박쥐가 출몰하는 환경이 동굴같이 어두운 곳이다보니 눈이 밝게 빛나서라든가 아니면 어두운 밤에 활동하는 야행성동물인 박쥐의 눈이 밝았을 거라서 이름을 그렇게 지었을까? 아무튼 15~18세기까지 'ᄇᆞᆰ쥐'로 쓰이다 자음군단순화가 적용된 '박쥐'라는 표기는 19세기에야 등장한다. 이는 어원 의식이 옅어짐에 따라 '밝쥐'로 쓰지 않게 된 것이고, 현재로선 더 이상 복합어로 인식되지 않는다.
즉 '두더쥐'와 '박쥐' 모두 원래의 형태와 달라지면서 단일어화를 겪은 것이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대성패스 구매하신 분 메가커피 쿠폰 이벤트 추천 문관데어쩌라구요 [672855]...
-
생각보다 잘봤네 개쳐망한줄알았는데 하방방어 ㅆㅅㅌㅊ
-
정답지를 잃어버린거같은데 김현우 선생님 스탠다드 모의고사 14회 빠른정답...
-
너네 모고 4회분 = EBS 파이널 국영수 27회분이다 이것들아
-
가슴아프다.. 2
이거 다시사려면 거덜나는데ㅠ 어쩌다가 일케됐누
-
틀딱기출들에서 아이디어 따오는 경우도 있긴하다만 대부분은 요즘 유형이랑 다 너무...
-
같은 지문을 원래 읽었던 방식으로 계속 보면 볼수록 안 보이던 것이 보이며 동시에...
-
내 꿈은 루비랑 결혼하기임
-
공군 ㅈ됐네.. 12
수능 끝나고 하루라도 빨리 입대해야되는데 한능검은 내년 5월되서야 봐서 못보고,...
-
대성 10패스 메가커피 1만원권 -----> insight1 앞으로 1년후에는...
-
이감 6-8 79점 경찰대 2025 1차시험 점수 말 못함 ㅠㅠ
-
13 29 30틀 88 13 바보같은 진수 조건 실수로 개수 잘못셈 29 도형만...
-
한 95점정도 되나
-
26학년도 준비중인 반수생입니다. 내년에 휴학하고 준비할꺼고요. 현역 24학년도...
-
풀어보신분 좀따 의견공유 부탁해용
-
최지광 코너 백정현 구자욱 원태인 강민호 우울한 가을이다
-
14 22 29틀인데 28 30 풀고 29 못 푼게 아쉽다 시간이 너무 부족함 문제는 너무 좋다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