님들아 '술'은 원래 ㅂ이 있었다는 거 알고 계신가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634515
*수블>수ᄫᅳᆯ>수을>술
‘술(alcohol)’이라는 단어 다들 알고 계시죠? ‘술'의 옛말은 '수을'인데 여기서 ㅜ의 영향으로 ‘수을'이 ‘수울'이 되고 ‘수울'이 축약된 ‘술'이란 형태도 만들어졌는데 이 세 가지 모두 15세기부터 17세기까지 공존했습니다. 그러다 18세기부터 ‘술'만이 남아 쭉 이어지다 표준어가 되었습니다.
고려 시대 자료인 <계림유사>에선 ‘酥孛(수발)’로, <조선관역어>에는 ‘數本(수본)’으로 나타났는데 이를 통해 ‘술(수을)'이란 단어 역시 ㅂ이 약화되어 순경음이 되었다 그 순경음이 탈락한 형태라고 볼 수 있습니다. 또 삼국사기 자료에는 “豊夫城 夲肖巴忽”란 문장이 있는데 이는 “豊夫城(풍부성)은 본래 肖巴忽(초파홀)이다"라는 뜻입니다. 현재 豊은 ‘풍부할 풍'의 약자로만 쓰이지만 원래는 ‘禮(예절 례)’였습니다. 일단 저 기록에서 ‘豊夫’와 ‘肖巴’가 대응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고, ‘豊’의 상형을 고려하면 ‘술'과 관련이 있다고 볼 수가 있습니다. ‘肖’의 중고한어 발음은 /*sjewH/이고 ‘巴’의 발음은 /*pae/인데 당연히 고대 한국인들이 한자를 받아들일 때 모음이 변했을 것이므로 *수블(swupul)과 연관 지을 수 있습니다.
또 다른 문헌 근거로는 “酒多後云角干”가 있습니다. “酒多(주다)는 이후에 角干(각간/서불한)이라고 불렸다.”라는 뜻입니다. 角은 ‘뿔'에 대응하는데 ‘뿔'의 15세기 표기는 ‘ᄲᅳᆯ’이며 어두자음군은 본디 모음이 탈락하면서 형성된 것으로 추정되기에 ‘서불한'의 ‘서불'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니 酒多과 角干이 동일한 대상을 나타내는 말이라면 酒은 당연히 훈독자일 것이니 ‘술'의 고대 국어 형태와 ‘角(뿔)'의 고대 국어 형태가 매우 유사하게 발음됐음을 뜻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삼국사기의 표기를 통해 ‘술(酒)'과 ‘뿔(角)'이 유사하게 발음되었음을, 경덕왕의 한화 정책으로 ‘술'의 옛말에는 ㅂ 소리가 있었음을 알 수 있으니 고대 국어 시기의 형태를 ‘*수블'로 볼 수 있는 근거가 생긴 겁니다.(물론 모음은 ㅜ와 ㅡ가 아니었을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이 ㅂ이 계림유사에서도 보이니 고려 초기까진 대충 ‘*수블'이었고 고려 말에 ㅂ이 약화되어 ‘수ᄫᅳᆯ’이 되고 ㅸ이 탈락한 ‘수을'이 조선 시대에 보이게 된 거라는 결론에 이를 수 있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3점기출까진 수월하게 풀리는데 (가끔 어려운 3점에서 막힙니다..) 4점기출은...
-
굿모닝 9
1시간이면 잘 잤다
-
수학 실모 80~84점 진동사람 유일하게 구원해줄 빛 한줄기 1
그딴거 없고 아침밥 먹었으면 퍼뜩 공부하자
-
으악 나 아직 준비안됐는데 하면서 보고나서 끝나고 친구들이랑 얘기하다가 어?...
-
생윤 비킬러 0
킬러주제 다맞고 공맹순+예술 자꾸틏림 즉고싶다
-
닭발 먹을까 16
주먹밥에 계란찜 추가로
-
원래 12시 반에 고정적으로 잤는데 오랜만에 스트레스 푸느라고 유튜브에 꽂혀서...
-
ㅈㄴ 빠름 벌써 6모 벌써 9모 벌써 수….임
-
시계 어플 추천 0
실모 칠 때 실제 수능 시간으로 맞춰서 시계 보고 싶은데 아이패드에서 깔 수 있는...
-
이제야 현실을 알아차린 게 허수인데요.. 찍기특강은 어디서 들을 수 있나요? 알려주세요…
-
시즌4와서 극대 찍은 듯
-
9평급 개물로켓이나 강k같은 쌉어려운 실모 아니면 거의 84임 잘나오면 88 쉽든...
-
4,8,13,16,17 틀 입니다 3 뜰까요...?
-
정말이지 유튜브보고싶다
-
이거 풀면 앞으로 영어 문장 삽입은 걱정 없습니다! 0
안녕하세요~ 일등급의 공부법학교 일공학교 입니다^^ 오늘은 1~2등급들도 까다로워...
이러니까96이라는소릴듣지
이러네
시작됐다
alcohol도 재밌는데
전 gas 어원 좋아함. 노근본 단어

이분을 언매 지문형 어법 문제 출제 위원으로님 국어국문이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