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밌는 어원 이야기: 염소에서 얌생이까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616330
다들 ‘얌생이'란 말을 들어보셨을 겁니다. 아마 ‘얌치가 없는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인 ‘얌체'와 동의어로 알고 계실 거고, 대부분 속임수 등의 떳떳하지 않은 행동을 하는 사람들을 부를 때 쓰죠.
그렇지만 ‘얌생이'의 사전적 정의는 ‘남의 물건을 조금씩 슬쩍슬쩍 훔쳐 내는 짓을 속되게 이르는 말'입니다. 쉽게 말해서 도둑질이죠. 여기서 접미사 ‘-꾼(사실 이건 한자 軍이 문법화한 것)'이 붙어 ‘얌생이꾼'이 나왔지만 대부분 ‘얌생이'를 사람에게도 쓰는 추세입니다. 그렇지만 하나 특이한 관용구가 있습니다. 아래에 보이는 ‘얌생이 몰다/치다'입니다.
‘몰다'는 ‘어떤 대상을 바라는 처지나 방향으로 움직여 가게 하다’의 뜻이니 당연히 저 ‘치다'는 ‘양치기'에 보이는 ‘가축이나 가금 따위를 기르다’의 뜻의 ‘치다'겠지요. 도둑질을 몰 수 있을까요? 좀 이상하지 않나요?
여기서 우리는 ‘염소'의 동남방언으로 ‘얌생이'가 있음을 떠올릴 수 있습니다. ‘염소'는 어원적으로 ‘염+소(현재는 단일어)'로 분석되는데 원래 15~16세기에는 ‘염'이라는 형태로 쓰였습니다. 중세국어 시기 ‘羔’가 ‘염 고’로, ‘羊’이 ‘염 양’으로 실린 것만 봐도 원래 ‘염소'가 아니라 ‘염'이었고, 여기에 ‘소'가 붙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즉 원래 ‘염소'라는 동물을 나타내는 말은 ‘염'이었고, 여기에 ‘소'가 붙으면 ‘염소'가, 접미사 ‘-생이’가 붙으면 ‘염생이’가되는 것입니다. 이 ‘-생이/셍이'는 ‘강생이', ‘말생이', 괴생이' 등의 방언형에서 자주 보이는데 주로 동물이나 식물 뒤에 붙습니다.
근데 어째서 ‘염생이'가 아니라 ‘얌생이'냐고요? ‘여덟'은 지역에 따라 첫 음절이 ‘여'로도, ‘야'로도 나타납니다. 보통 방언에서 다른 형태가 나타나는 건 기원적인 형태에서 서로 다른 음운 변화를 겪었기 때문입니다. ㅕ와 ㅑ가 모두 기원적인 형태를 공유한다면 그것은 쌍아래아여야 한다는 것이 종래의 의견입니다. 즉 '여덟'이 '*ᄋᆢᄃᆞᆲ(이 경우 모음조화까지 지켜짐)'으로 재구되듯이 ‘염소'의 ‘염'은 ‘*ᄋᆢᆷ’으로 재구됩니다. 이 쌍아래아는 ‘ᆝ’로도 적는데 그건 쌍아래아의 음가가 아래아 앞에 반모음 ㅣ가 붙은 발음이기 때문입니다. 아무튼 이 쌍아래아가 지역에 따라 ㅑ 또는 ㅕ로 분화되었고, 제주 방언에서 아래아가 남아있듯이 쌍아래아 역시 남아 있습니다. 이러한 방언의 흔적으로 이기문(1972) 이래로 국어학계에서는 쌍아래아를 재구합니다. 그리고 이 ‘염' 또는 ‘얌'에 ‘-생이'가 붙어 ‘염소'를 뜻하는 ‘염생이', ‘얌생이' 등이 형성됩니다.
그렇다면 ‘염소'라는 동물에서 ‘도둑질'이라는 뜻으로 변하게 되었을까요? 조항범 교수는 이를 역사적 배경으로 설명합니다.
“‘얌생이’가 ‘도둑질’과 ‘도둑’이라는 의미를 얻은 데에는 그만한 역사적 배경이 있다. 해방 후 미군정 시절, 막 독립한 한국을 돕기 위한 다량의 원조 물자가 미국에서 부산 미군 부대로 들어왔다. 이 물자를 훔쳐 내다 파는 도둑이 많아 경비가 삼엄했는데, 어느 날 물자를 쌓아놓은 철망 안쪽으로 한 마리의 염소가 들어왔다. 당황한 주인은 미군 초병에게 양해를 구해 염소를 쫓아 철망 안쪽 으로 들어갔다가 물건을 슬쩍 훔쳐 나왔다. 여기에 맛을 들인 염소 주인은 계획적으로 염소를 철망 안으로 몰아넣고는 들어가서 물건을 훔치기를 거듭했다. 그러다가 들통이 나 결국 철창 신세를 지게 되었다고 한다.11)
11) 이와 비슷한 유래담이 경향신문 1952년 3월 5일 자 신문 기사를 비롯하여 여러 신문 기사에 나온다.
이런 일로 해서 계획적으로 다른 일을 빙자해 물건을 훔쳐내는 것을 ‘얌생이 몰다’라고 표현하였고, 이러한 관용구의 의미로부터 ‘얌생이’에 ‘물건을 훔쳐 내는 짓(도둑질)’ 또는 ‘그와 같은 짓을 하는 사람(도둑)’이라는 의미가 생겨난 것이다. 이로써 ‘얌생이’가 등 장한 시기는 광복 후 ‘미군정기(美軍政期)’이고, 장소는 ‘부산’임이 드러난다.”
ㄴ 조항범(2018), 우리말 비속어의 어원에 대하여(1)
이처럼 계획적으로 물건을 훔치는 걸 ‘얌생이 몰다' 즉 ‘염소를 몰다'라고 표현하게 되고, 이러한 관용구의 의미로부터 ‘얌생이'에 ‘도둑질'이라는 의미가 추가된 것이죠. 그리고 이 ‘도둑질'이라는 것은 아무래도 떳떳하지 못한 표현 아니겠습니까? 여기서 ‘속임수를 쓰는 사람', ‘비겁한 사람’ 등의 의미도 추가되었습니다. ‘얌생이'의 ‘얌'이라는 형태와 ‘염치/얌치'의 1음절이 비슷한 점도 한몫했을 겁니다. 즉 결국 ‘얌생이'에 ‘속임수'라는 뜻이 추가된 것 역시 최근에 일어난 일입니다.
‘염소'에서 시작하여, ‘도둑질', 그리고 ‘속임수/비겁함'까지 ‘얌생이' 이 단어 정말 특이한 의미 변화를 겪은 단어입니다.
관련 기록
"이번엔 미 五五보급 창고에서 절취하다가 총에 맞아 입원 가료 중에 있는 얌생이꾼이 있다."
「美軍物品 竊取라」(동아 일보 1952. 3. 26.)
"‘한국’ 하고 싸웠더라면 그 굉장한 위력을 가진 ‘원자폭탄’도 비행기에 싣기도 전에 한국 ‘얌생이’꾼들한데 도적을 맞았을 것이라는 것 – 하긴 해방 직후 혼란기의 생활난은 소위 ‘얌생이’라는 괴상한 동물(?)들을 수없이 배출하였다."
「해방 십년의 특산물 5 얌생이」(동아일보 1955. 8. 20.)
"과거 군정 시에 있어서는 미군 및 항만 사령부 철도 경찰의 엄중한 경비에도 불구하고 소위 ‘얌생이’이라는 절도배가 발호하여 상당한 수량의 물자가 분실되었던 것으로..."
「外資 保管에 萬金」(동아일보 1949. 10. 11.)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박광일=훈련도감 훈련도감 사면 박광일 배송 오나요?
-
예비고3 수리논술 시작하려고 하는데 여상진쌤 어떤가요?
-
원트 더 한다 0
제곧내…
-
집 가고 싶어요
-
토익 990은 자신이 없는데...
-
스블부터 해도 괜찮겠죠? 난이도가 어떻게 되나요?
-
수능 미응시자도 정시지원에 불이익이 없어야함 ㅇ
-
https://orbi.kr/00071168300 칼럼에 표를 보면 영어는 1.6%...
-
지금부터 4시간 동안
-
버스지나간다 1
부지런행
-
대한민국 국민 모든사람이 봐주길.... 내용이 너무 좋네
-
서울대 검정고시 대체서식에 대한 K씨의 주장에 대한 반박 10
https://orbi.kr/00071753767/%5BAgent-K%5D-%EC%8...
-
근데 난 미필인데? 가려면 6년남았는데 이게뭐지 음
-
수학 인강 추천 0
일단 지금 대성패스 밖에 없긴한데 대성에서 정 괜찮은 선생님 못고르면 메가도 할...
-
그래도 이번주면 끝 3월부턴 3개만 해야지
-
대가리 깨져도 경제
-
첫과외시급 4
국영수 자신잇음/ 과탐 별로.. 지거국의대 수시 지방에서 첫과외 구하는중 시급 얼마나받아야될까요?
-
흠
-
다 어디 갔음 3
살아있는 사람 손
-
아 ㅁㅊ 오늘 과외였네 11
요일착각함 세시간 뒤에 나가야되는데 그냥 프리스타일로 풀어줘야되나
-
뿌웅뿡 12
뿌지지지직
-
콜드부르 ㅃㄹ 오라고 ㅅㅂ
-
커뮤 안하면 심심해서 뭐함..?
-
T-27
-
사회봉사 때문인가요?
-
학교에서 하라는데로 다 신청하고 그냥 안가요? 아님 수강 신청도 안해요? ㅜㅜ
-
[EBS영어듣기 플랫폼] 2025학년도 수능 영어듣기 17문항 중 14문항이 EBS 수능교재와 연계되어 출제 0
선배들이 알려주는 진짜 영어듣기 꿀팁 1. 많이 들어야 한다. 2. 시험에 출제되는...
-
기출 마더텅 대신 환완기 풀고싶은데 둘이 다른점이 있나요?
-
지금 젠지 0
기대가 없는데 기대 해도 되나?
-
주변은 이제 새로 입학한다고 새터 오티도 가고 수강신청도 하고 새내기 생활에...
-
공부 희한하게 하는 중 10
희한한 대학 가고 싶다
-
ㄹㅇ..
-
잡으러 왔쇼... 아이고 할배요 머하능교..
-
민주 40%-국힘 34%…이재명 34%-김문수 9% [갤럽] 4
민주 2%p 상승, 국힘 5%p 하락 최상목 권한대행, 우원식 국회의장, 권영세...
-
빨리 4단원으로 고고 ㅋㅋ 개꿀잼과목이네요
-
귀신같이 330점대 맞추고 손절하는 시험 아님?
-
요즘 너무 안 들어왔나봐요...
-
국어를 어렵게 공부하려면 어떤선생님이 좋을까요??? 2
대성이나 메가에서요
-
근데 텝스는 3
327이 백분위50이 되게 만든 절상평 절충 시험이라 표본 수준이 제일 중요함 내가...
-
네 대영 1 스타트한 사람 살아있어요
-
비냉먹고싶은데 0
배달은 개비싼데
-
씹년들아
-
얼버기 1
이제 공부하러
-
내가 장바구니에 담고 결재를 안했네 크아아악
-
크크 합격했어요
-
어른의 사치 ㅇㅈ 12
“구슬아이스크림 4가지 맛 한 번에 먹기“
-
자신감을 갖고 텝스 진심을 다해서 봄 존나 넉넉한 점수로 기영 뜸 아
-
수학 자이풀때 0
근데 수학 자이풀때 해설은 인강 강의로 봐요 보통? 자이 해설구리다던데
GOAT
참고로 거란어 ema(염소)와 동원이라는 주장도 존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