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문학 기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608740
p=문제점
s=해결
삼각형
네모 등...
여러가지 있던데, 답변자님이 쓰시는 기호를 추천해주세요.(뜻도 부탁드립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 . . 음. 된 것 같아. 어이. 들려? 자, 내일은 무슨날? … 그렇지....
-
10월 더프 국어 언매 답지좀 알려주실수있나요
-
생방에서 리뷰중.
-
왕피곤 5
-
강k와 강x의 등급컷이 큰 차이가 나지않음.
-
무기한 휴릅 1
-
20대 초중반에 너무 늦은 거 아니냐는 걱정을 상당히 많은 사람들이 하고 있음...
-
홋홋 홋카이도 7
나는 간다 1월에 홋카이도
-
빈틈이 없네 진짜
-
23수능 응시했고 23수능 백분위 98 96 2 98 100 언매 확통 생윤 사문...
-
하지만 다른 사람들은 관짝 보고 얘기는 할 수 있는 거 아니겠어?
-
무슨 일이든 결과를 이루어 내기 전 가장 힘듭니다 -김준T
-
비가 와 0
주르르 주르르 그만 와 다오
-
실모에서 풀줄 아는 것만 풀면 되는데 항상 사칙연산, 적분 잘못하거나 문제 조건...
대부분 동그라미 쓰고, 정비례, 반비례 관계만 화살표 표시 써요
이런거는 대충 어떻게 표시하시나요?
상상적에 동그라미 한 번 치고 동일시에 동그라미 한번 치고
관객 = 영화 등장인물 이렇게 표시해요
답변자님께서 사용하시는 기호의 뜻은 무엇인지 알 수 있을까요!?
동그라미, 밑줄, 물결밑줄, 둥근밑줄, 위아래화살표
학자이름, 책이름엔 네모 세모 동그라미 별 마름모, 비례관계는 화살표또는 수식으로 처리하기...
/ <----이것만 써요
글 읽다가 무의식적으로 아무데나 끊어읽으면 잘 읽히는 것 같아서..?
대상의 특징이 서술되면 대상에 동그라미
한편, 그러나 등 역접나오면 /
대상이 나열되면 <>
학자 견해나오면 ~~
비례관계나 계산식 나오면 밑줄
강사분이 따로 일관되게 만들어놓고 강사하셔서 이렇게 합니다.
어떤 기호도 사용하지 않음.
심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