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문황분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598140
절대적 빈곤이 최저 생계비를 기준으로 판단하는 거여도 사회 구성원의 소득 분포를 고려 안한다고 보는 건가요? 최저 생계비도 각각 나라마다 달라서 고려하는거 아닌가 싶어서요 무조건 저 워딩은 상빈으로 생각하면 될까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앤드 샤이 1
-
오늘은 가볍게 넘어가는 날 난이도 : 1/5
-
체체쳋체체체리시말럽
-
음 역시이쁘군
-
6평 9평 69인 허수인데.. 최저 때문에 3은 받아야해..ㅠㅠㅠ 션티 찍먹 해보자...
-
공통은 작수 난이도에 미적이 핵불로 나올것같음 의대휴학생들과 메디컬 준비생들...
-
독서실인데 앞자리 남자애고 뒷자리 여자애라 가끔 지나가면서 공부하는거 보면 남자애는...
-
왜 최대가 되는 경우가 접선일 때 인가요??
-
딱 30분이다 3
밴드부 보컬 연습할거다 아무도 날 막을수없이레즈
-
10/28까지라는 거 오늘 알았는데 11/10에 월급받아서 그 이후에 결제할 수...
절빈선은 나라마다 상이할 수 있지만 사회 구성원의 ‘소득 분포’와는 무관해요 무조건 상빈이구나 하시면 됨
1) 사회문화 교학사 교과서 152p (절대적 빈곤)
구체적으로는 '사회의 소득 분포와 관계없이' 최저라고 생각되는 절대적 빈곤선을 정하고 경제력이 이 수준에 미달하면 빈곤으로 정의한다.
2) 23학년도 수능 9번 2번 선지
절대적 빈곤은 사회 구성원의 소득 분포 상태를 고려하지 않는 개념이라는 평가를 받는다(O).
이 정도 선에서는 진리라고 생각하는 게 편합니다.
옯 비슷한 질문 게시물 댓글에서 긁어왔어요
사실 딥하게 들어가면 아예 고려하지 않는다고 단정짓기는 어려워서
절빈은 소득 분포를 고려하지 않는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런 식으로 보수적인 선지를 주지 싶어요
문제에 어떻게 나와있는지에 따라 다른데
절대빈곤선이 나라마다 시기마다 다른 것은 물가도 상황도 항상 고려해서 그 선을 설정하기 때문이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