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문황분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598140
절대적 빈곤이 최저 생계비를 기준으로 판단하는 거여도 사회 구성원의 소득 분포를 고려 안한다고 보는 건가요? 최저 생계비도 각각 나라마다 달라서 고려하는거 아닌가 싶어서요 무조건 저 워딩은 상빈으로 생각하면 될까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스카에 두고와서 못매기고있네요 ㅠㅠ 정품구매자입니다 부탁드려요..
-
20일 1
지구왜안망함
-
중간고사 학점이 1
내신이랑 맞먹게 생겼는데 이게맞나
-
나왜케약골이지..
-
이게 나오네 5
일본갔을때 5개 넘게 사먹었는데
-
날 시기 지났는데 면도날 때문인가
-
시험 망해야 한다
-
밸런스게임 3
내상황 아니고 친구랑 얘기하다 궁금해서 과는 경영학과라 햇을때 재수 동홍 vs 삼수 연고대
-
학교에서 친구들이 놀때 전 공부를하고싶습니다.사실 예전에는 놀았겠지만 현타도 오고...
-
언매황분들 3
어느곳이 그런게 있니? 에서의 ‘이’가 주격조사가 아니라 부사격조사 ‘에’ 대신...
-
을 뭐라고 부름? 궁금궁금
-
언매 95 (독서 16번 -3 문학 33번 -2) 괜찮은데..? 하면서 풀었는데...
-
뭔가 유력후보 느낌인데...
-
왜 폰만보는데 왜 가는데 내가 자리에 앉으니 공기가 달라졌다
-
10더프 후기 0
화작 90 영어 91 미적 80 탐구는 필요없어서 안봤어요 국어 연계체감 높고,...
절빈선은 나라마다 상이할 수 있지만 사회 구성원의 ‘소득 분포’와는 무관해요 무조건 상빈이구나 하시면 됨
1) 사회문화 교학사 교과서 152p (절대적 빈곤)
구체적으로는 '사회의 소득 분포와 관계없이' 최저라고 생각되는 절대적 빈곤선을 정하고 경제력이 이 수준에 미달하면 빈곤으로 정의한다.
2) 23학년도 수능 9번 2번 선지
절대적 빈곤은 사회 구성원의 소득 분포 상태를 고려하지 않는 개념이라는 평가를 받는다(O).
이 정도 선에서는 진리라고 생각하는 게 편합니다.
옯 비슷한 질문 게시물 댓글에서 긁어왔어요
사실 딥하게 들어가면 아예 고려하지 않는다고 단정짓기는 어려워서
절빈은 소득 분포를 고려하지 않는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런 식으로 보수적인 선지를 주지 싶어요
문제에 어떻게 나와있는지에 따라 다른데
절대빈곤선이 나라마다 시기마다 다른 것은 물가도 상황도 항상 고려해서 그 선을 설정하기 때문이죵